• 제목/요약/키워드: reversed phase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31초

동아시아 몬순 지역에서 IODM과 ENSO의 영향 : NCAR Community Atmospheric Model을 이용한 모의 실험 (Impact of IODM and ENSO on the East Asian Monsoon: Simulations through NCAR Community Atmospheric Model)

  • 오재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0-249
    • /
    • 2005
  • 일반적으로 인도양 동쪽 해수면 온도는 따뜻하고, 서쪽 해수면 온도는 차갑다. 이러한 인도양 동/서쪽의 해수면 온도 변화는 인도 해양 다이폴 현상(Indian Ocean Dipole Mode, IODM)이 그 원인이다. 다이폴의 양의 위상은 서쪽 인도양에 양의 SST 아노말 리가 나타나고, 남동 인도양에는 음의 SST 아노말리가 나타나고 음의 위상은 이와 반대의 SST 아노말리가 나타난다. 반면 태평양의 경우, 일반적으로 서쪽 해수면 온도는 따뜻하고, 동쪽 해수면 온도는 차갑다. 중앙/동(서) 태평양 해양의 양(음)의 SST 아노말리가 현상이 나타날 때는 엘니뇨 시기이다. 이와 반대의 SST 아노말리 현상은 라니냐 시기이다 이러한 태평양의 대기-해양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엘니뇨 난방진동(El Nino Southern Oscillation, ENSO)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IODM과 ENSO현상에 따른 동아시아 몬순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해 관측자료와 NCAR MCA모델 자료를 사용하였다 IODM과 ENSO 현상과 관련된 SST 아노말리 5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IDO모드는 최고의 값이 나타난 이후 약 $3\~4$계절의 시간 지연을 가지고 동아시아의 여름 몬순 활동에 영향을 주는 반면, ENSO는 동아시아 여름 몬순과 같은 계절에 영향을 준다. IODM 음(양의)위상과 태평양에서의 엘니뇨(라니냐) 현상은 한국과 일본지역에서 몬순 활동을 강화(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중국 지역에서는 IDOM과 몬순 변동성과는 별다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엘니뇨(라니냐)일 때, 중국 지역에서 몬순 활동은 억제(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IODM은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이 강화 할 때 나타나고, ENSO는 북서 태평양 알류산 저기압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태평양으로부터 동아시아 쪽으로의 수분 공급은 아열대 고기압과 알류산 저기압의 강화/약화에 의해 결정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방사흐름 전기화학전지를 이용한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동시 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ions of anthracycline antibiotic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radial-flow electrochemical cell)

  • 조용희;한영희
    • 분석과학
    • /
    • 제20권4호
    • /
    • pp.308-314
    • /
    • 2007
  • 방사흐름 전지를 연결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노갈라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및 아이다루비신을 동시에 정량 할 수 있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을 개발하였다.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들은 이동상 용매 중에서 은/염화은 (0.01 M NaCl) 기준전극에 대하여 확산 전류를 나타내는 -0.74 V에서 검출되었다. 부피 흐름속도 ($V_f$)를 1.0 mL/min로 고정하였을 때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및 아이다루비신은 각각 6.4 분, 7.4분, 12.7분 및 18.4분의 머무름 시간 ($t_r$)에서 나타났으며, $V_f$ 0.6 mL/min 에서는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노갈라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및 아이다루비신의 $t_r$은 각각 9.9분, 11.5분, 13.5분, 19.6분 및 28.7분에서 나타났다. 주입된 각각의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농도 ($2.40{\times}10^{-7}M{\sim}1.42{\times}10^{-5}M$)에 대하여 봉우리 면적 (전하)를 도시하였을 때 상관계수의 제곱 ($R^2$)은 0.999 이상으로 직선 성이 우수하였다. 다섯 가지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검출한계는 $1.0{\times}10^{-8}M{\sim}1.5{\times}10^{-7}M$이었으며 정밀도는 $0.7{\mu}M$ 이하의 농도를 제외하고는 상대 표준편차3%($1.00{\times}10^{-6}M{\sim}1.42{\times}10^{-5}M$) 미만이었다. 사람의 혈청 중에 포함된 $1.00{\times}10^{-5}M$ 에피루비신, $0.48{\times}10^{-5}M$ 노갈라마이신 및 $1.52{\times}10^{-5}M$ 다우노루비신을 $C_{18}$ 카트리지로 고상 추출하였을 때 회수율은 각각 97%, 100% 및 90% 이었다.

흰쥐에서 에탄올과 phenobarbital이 벤지딘의 헤모글로빈 부가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and phenobarbital on hemoglobin adducts formation in rats exposed to benzidine)

  • 김치년;이세훈;김현수;윤영식;노재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8-125
    • /
    • 2001
  • Recently, biochemical analysis using hemoglobin adduct is frequently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osure to chemical carcinogens. However, data on the effect of co-exposure with other chemicals on hemoglobin adduct formation are seldom provid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f ethanol(EtOH) and phenobarbital(PB), which are known to affect metabolism of xenobiotics, on the formation of hemoglobin adducts in the rats(Sprague-Dawley) administered benzidine(BZ). The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 EtOH, and P8 groups. Rats were pretreated with EtOH or PB 24 hours before the oral administration of BZ. Blood sampling was taken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the chemicals and 0.5, 3, 6, 9, 12, 24, 48, 72, 96, and 144 hour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BZ in 5 rats each. The blood was separated into hemoglobin and plasma immediately after taking the blood samples, and the adducts were undergone basic hydrolysis to convert them into aromatic amines. Hydrolyzed BZ, monoacetylbenzidine (MABZ), and 4-aminobiphenyl(4ABP) were separated by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without derivat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them were performed by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equipped with electrochemical detector. The quantitative amount of the metabolites was expressed by hemoglobin binding index(HBI), BZ-, MABZ-, and 4ABP-HBI of EtOH and PB groups were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ese results ar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EtOH and PB induced N-hydroxylation related to the hemoglobin adduct formation. The ratio of N-acetylation (viz, MABZ-HBI/BZ-HBI)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tOH group and control group. It means that EtOH increased N-hydroxylation and N-acetylation in a similar degree. The N-acetylation ratio of PB group was relatively lower than control group because the PB increased N-hydroxylation induction. The N-acetylation ratios of all groups were higher than 1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EtOH or PB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biochemical monitoring for the assessment of intermittent exposure of benzidine.

  • PDF

국내에서 소비되는 상용 식품의 비타민 K1 함량 분석 (Analysis of Vitamin K1 in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 이성응;성지혜;최용민;김영화;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94-119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식품의 비타민 $K_1$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 분석방법을 검증하며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의 비타민 K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포스트칼럼이 장착된 역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채소류에서는 고구마 잎이 $1,467.3{\mu}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일류는 녹색 키위가 $42.7{\mu}g/100g$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두류에서는 녹두가 $63.4{\mu}g/100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분석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선성, 재현성, 반복성, 회수율 및 peak purity를 구하였으며 분석관리 차트를 작성하여 분석 결과 값을 관리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물질의 피크 머무름시간과 모시잎 시료의 피크 머무름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 계수는 0.9999 이상으로 높은 유의 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반복성과 재현성의 변동계수는 각각 2.33, 3.93%로 나타났고 회수율은 103.6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자료는 표준화된 식품성분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PLC Method for Simultaneous Quantitative Detection of Quercetin and Curcuminoid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 Ang, Lee Fung;Yam, Mun Fei;Fung, Yvonne Tan Tze;Kiang, Peh Kok;Darwin, Yusrida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49
    • /
    • 2014
  • Objectives: Quercetin and curcuminoids are important bioactive compounds found in many herbs. Previously report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ltraviolet (HPLC-UV)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quercetin and curcuminoids have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unsatisfactory separation times and lack of validation according the standard guideline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Methods: A rapid, specific, reversed phase, HPLC-UV method with an isocratic elution of acetonitrile and 2% v/v acetic acid (40% : 60% v/v) (pH 2.6) at a flow rate of 1.3 mL/minutes, a column temperature of $35^{\circ}C$, and ultraviolet (UV) detection at 370 nm was developed. The method was validated and applied to the quantif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market available Chinese medicine extracts, pills and tablets. Results: The method allowe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quercetin, bisdemethoxycurcumin, demethoxycurcumin and curcumin in the concentration ranges of $0.00488-200{\mu}g/mL$, $0.625-320{\mu}g/mL$, $0.07813-320{\mu}g/mL$ and $0.03906-320{\mu}g/mL$, respectively. The limits of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respectively, were 0.00488 and $0.03906{\mu}g/mL$ for quercetin, 0.62500 and $2.50000{\mu}g/mL$ for bisdemethoxycurcumin, 0.07813 and $0.31250{\mu}g/mL$ for demethoxycurcumin, and 0.03906 and $0.07813{\mu}g/mL$ for curcumin. The percent relative intra day standard deviation (% RSD) values were $0.432-0.806{\mu}g/mL$, $0.576-0.723{\mu}g/mL$, $0.635-0.752{\mu}g/mL$ and $0.655-0.732{\mu}g/mL$ for quercetin, bisdemethoxycurcumin, demethoxycurcumin and curcumin, respectively, and those for intra day precision were $0.323-0.968{\mu}g/mL$, $0.805-0.854{\mu}g/mL$, $0.078-0.844{\mu}g/mL$ and $0.275-0.829{\mu}g/mL$, respectively. The intra day accuracies were 99.589%-100.821%, 98.588%-101.084%, 9.289%-100.88%, and 98.292%-101.022% for quercetin, bisdemethoxycurcumin, demethoxycurcumin and curcumin, respectively, and the inter day accuracy were 99.665%-103.06%, 97.669%-103.513%, 99.569%-103.617%, and 97.929%-103.606%,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ethod was found to be simple, accurate and precise and is recommended for routine quality control analysis of commercial Chinese medicine products containing the flour flavonoids as their principle components in the extracts.

모감주나무군락의 구조 및 유지기작

  • 이창석;김홍은;박현숙;강상준;조현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4호
    • /
    • pp.377-395
    • /
    • 1993
  • 모감주나무의 내륙지방 자생지인 충북 월악산 송계계곡과 대구시 내속동 소재 모감주나무군락을 대상으로 군락형성지의 생육환경유형, 군락의 구조, 개체군 특성 등을 조사하여 군락형성지의 특징과 그 군락의 확장 및 유지기작을 밝혔다. 모감주나무군락의 모래 언덕(Type 1), 계류내 암반 위(Type 2), 계류변 암극지(Type 3)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월악산 지소에서 모감주나무군락의 계층구조는 대 부분 아교목층, 관목층 및 초본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졌고 대구시 지소의 것은 교목 층을 포함하여 4층 구조로 이루어졌다. 모감주나무군락의 식생조성에서 보면 습지소의 개활지에 자주 출현하는 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는데, 교목성식물은 느티나무와 물푸 레나무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모감주나무개체군의 지표직경급의 빈도분포도는 역 J자 형을 나타내었다. 모감주나무의 전파기작은 인간에 의한 식재,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 물의 흐름에 의한 전파 등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본 연구를 수행한 지소의 것은 모두 첫 번째 기작보다는 두 번째와 세 번째 기작에 의해 전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감 주나무의 초기 생식연령은 5년이었으며, 초기 전파단게에 있는 월악산의 한 지소에서 모수와 유식물 사이의 연형 차이는 5년 이상이었다. 군락의 발달단계에서 노쇠기에 접 어든 것으로 판단되는 대구시 지소의 모감주나무 성숙림의 임상에는 성숙목의 후속수 가 될 수 잇는 다수의 유식물이 성숙목의 수관 밑과 주변분에 모두 고르게 정착해 있 어 모수로부터 산포된 종자에 기인한 이러한 유식물들이 다음 시대의 모감주나무군락 을 형성할수 있을 것으로 판된되었다. 한편, 내륙지방 모감주나무군락의 기원은 인위전 파설과 자생설로 설명되었다.

  • PDF

시판 영양강화식품중 판토텐산의 분석 (Determination of Pantothenic acid in Fortified Foods by HPLC)

  • 최윤주;장재희;박혜경;박건상;구용의;황인경;김대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81-385
    • /
    • 2004
  • 기존의 미생물학적 분석법의 많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식품중 판토텐산의 HPLC 분석법을 시도하였다. 추출용매는 20 mM potassium phosphate를 사용하였고, PDA spectrum 결과 최대 흡광도를 200 nm에서 분석하였다. HPLC 방법에 의한 판토텐산의 평균 회수율은 83.5∼109.5%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5 ppm이었다. 또한 HPLC 분석법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미생물학적 분석법도 병행했는데 그 결과 회수율은 87.0∼118.3%이었고 검출한계는 0.000375 ppm으로서 미생물학적 분석법이 검출한계는 훨씬 낮았다 HPLC법이나 미생물학적 분석법(MBA)에서 대상식품중 판토텐산의 측정값은 13건의 시료에서 모두 표시값보다 높았다. 미생물학적 분석법 (MBA)에 대한 HPLC 분석 회수율은 91.9∼117.6%이었고, paired t-test 및 회귀분석결과, 두 상법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p<0.01)가 없었으며, 상관관계(r=0.9842, y=1.1428x-0.2269)가 양호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개발된 HPLC 분석법은 기존의 미생물학적 분석법에 비하여 간단하면서 정화하여 분석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채소류의 비타민 K1 분석을 위한 추출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Vitamin K1 in Vegetables)

  • 김현기;최용민;조영숙;성지혜;함현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91-17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HPLC를 사용하여 채소류 식품군에서 비타민 K1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에 대한 분석법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시험법에서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부추 추출액의 피크유지시간이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4 이상으로 높은 유의수준을 보여 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검출한계는 0.1335 ng/injection volume($50{\mu}L$)이었고 정량한계는 0.2784 ng/injection volume($50{\mu}L$)으로 설정되었다. 일내, 일간분석에서 정밀도를 나타내는 변동계수(coefficient variation, CV)는 표준용액에서 각각 1.979%, 2.107%로 나타내었고 정확성은 99.439%로 나타내어 채소류에서 비타민 K1의 분석법이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 본 분석법에 따라 채소류의 비타민 K1을 분석한 결과 식품공전의 효소를 이용한 분석법보다 더 높은 추출률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물질의 간섭 없이 분석 가능하여 채소류의 비타민 K1의 검출에 응용되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콩과 벼 현탁배양(懸濁培養) 중 PCP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의 동정(同定);3. PCP glucose conjugates의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Water Soluble Metabolites of Pentachlorophenol(PCP)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and Rice Cells;3. Identification of PCP Glucose conjugates)

  • 김필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8
    • /
    • 1996
  • 전보에서 대두(大豆)와 벼의 현탁배양세포(懸濁培養細胞)에서 생성된 PCP의 주요 수용성대사물은 PCP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염화페놀과 glucose간 ${\beta}-linkage$로 연결된 ${\beta}-glucoside$ 구조를 가질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njugates를 가수분해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기기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cetyl화(化) 한 glucose conjugates는 aglycones 분석에서 예상한 대로 3종류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충분히 정제한 각각의 acetyl화(化) 대사물을 FAB-M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과 aglycones part와 관련된 특징적 spectral data 등 conjugates 구조 확인에 필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정보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즉 현탁배양초기에 생성된 PCP의 glucose conjugates는 ${\beta}-glucosidase$에 의해 특징적으로 가수분해되고, aglycones이 PCP 외에도 tetrachlorophenol 및 tetrachlorocatechol 등이라는 사실을 종합할 때 현탁배양에서 생성된 conjugates는 주로 pentachlorophenyl ${\beta}-D-glucopyranoside$, tetrachlorophenyl ${\beta}-D-gluco$ pyranoside 및 2-hydroxy-3,4,5,6-tetrachlorophenyl ${\beta}-D-glucopyranoside$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국내 콩(Glycine max L.)자원의 lutein 함량 (Lutein Contents of Soybeans (Glycine max L.) Cultivated in Korea)

  • 최용민;임호;우선희;김홍식;정승근;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80-5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콩 자원의 lutein 함량 변이를 분석함으로써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 신품종 육성연구와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려품종 23종과 육성품종 140종(장콩품종 56종, 나물콩품종 44종, 지역재래품종 40종)을 lutein 분석에 사용하였다. 검화방법을 이용하여 lutein을 추출하였고 역상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려품 23종의 평균 lutein 함량은 $240.27{\pm}90.74{\mu}g/100g$으로 IT No. 24634가 $402.48{\mu}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장콩은 $777.73{\mu}g/100g$으로 IT No. 153398이, 나물콩은 $588.88{\mu}g/100g$으로 IT No. 25490이, 지역재래종은 $861.07{\mu}g/100g$으로 IT No. 22564가 높은 lutein 함량을 나타내었다. 장려품종과 육성품종간의 그 평균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장려품종 보다는 육성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lutein 함량을 나타내는 품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콩 유전자원의 품종개량 및 고 부가가치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