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erse transcription

검색결과 1,360건 처리시간 0.025초

Field and laboratory investiga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6 and H5N8 in Quang Ninh province, Vietnam, 2020 to 2021

  • Trong Duc Tran;Suwicha Kasemsuwan;Manakorn Sukmak;Waraphon Phimpraphai;Tippawon Prarakamawongsa;Long Thanh Pham;Tuyet Bach Hoang;Phuong Thi Nguyen;Thang Minh Nguyen;Minh Van Truong;Tuan Pham Dao;Pawin Padungtod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0.1-20.15
    • /
    • 2024
  • Background: Avian influenza (AI) is a contagious disease that causes illness and death in poultry and humans. High pathogenicity AI (HPAI) H5N6 outbreaks commonly occur in Quang Ninh province bordering China. In June 2021, the first HPAI H5N8 outbreak occurred at a Quang Ninh chicken farm.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PAI H5N6 and H5N8 outbreaks in Quang Ninh.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in Quang Ninh from Nov 2021 to Jan 2022. The cases were households with susceptible poultry with two or more clinical signs and tested positive by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ontrols were households in the same village as the cases but did not show clinical symptoms of the diseas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constructed to assess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PAI outbreaks at the household level. Results: There were 38 cases with H5N6 clade 2.3.4.4h viruses (n = 35) and H5N8 clade 2.3.4.4b viruses (n = 3). Compared to the 112 controls, raising poultry in uncovered or partially covered ponds (odds ratio [OR], 7.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44-39.27), poultry traders visiting the farm (OR, 8.66; 95% CI, 2.7-27.69), farms with 50-2,000 birds (OR, 3.00; 95% CI, 1.06-8-51), and farms with ≥ 2,000 birds (OR, 11.35; 95% CI, 3.07-41.9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PAI outbreaks. Conclusions: Combining biosecurity measures, such as restricting visitor entry and vaccination in farms with more than 50 birds, can enhance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HPAI in Quang Ninh and its spread across borders.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human placenta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 SO‑HYE HONG;SEUNG CHUL KIM;MEE‑NA PARK;JEA SIC JEONG;SEUNG YUN YANG;YOUNG JOO LEE;OK‑NAM BAE;HOE‑SAENG YANG;SUNGBAEK SEO;KYU‑SUP LEE;BEUM‑SOO AN
    • Molecular Medicine Reports
    • /
    • 제19권5호
    • /
    • pp.3903-3911
    • /
    • 2019
  • Female sex steroid hormones, including estradiol (E2) and progesterone (P4), serve significant physiological roles in pregnancy. In particular, E2 and P4 influence placenta formation, maintain pregnancy and stimulate milk production. These hormones are produced by ovaries, adrenal glands and the placenta, of which the latter is a major endocrine organ during pregnancy. However, the mechanism of hormone production during pregnancy remains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the regulation of steroid hormones and steroidogenic enzymes was examined in human placenta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In human placental tissues, expression levels of steroidogenic enzymes were determined with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CYP17A1, HSD17B3 and CYP19A1,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synthesis of dehydroepiandrosterone (DHEA) and E2, was elevated at different gestational ages in human placenta. In addition,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and placental-produced hormones, steroid hormone levels, including pregnenolone (PG), DHEA, P4, testosterone (T) and E2, were examined in serum and placenta. Serum and placenta expression of DHEA and E2 increased with gestational age, whereas T and P4 were differently regulated in placenta and serum. To confirm the mechanism of steroidogenesis in vitro, placental BeWo cells were treated with E2 and P4,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hormones during pregnancy.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was significantly altered by E2 in vitro.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centration of steroid hormones was differently regulated by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placenta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ormones, which may be critical to maintain pregnancy.

PTEN/AKT signaling mediates chemoresistance in refractory acute myeloid leukemia through enhanced glycolysis

  • Min Jeong Ryu;Jeongsu Han;Soo Jeong Kim;Min Joung Lee;Xianshu Ju;Yu Lim Lee;Jeong Hwan Son;Jianchen Cui;Yunseon Jang;Woosuk Chung;Ik-Chan Song;Gi Ryang Kweon;Jun Young Heo
    • Oncology Letters
    • /
    • 제42권5호
    • /
    • pp.2149-2158
    • /
    • 2019
  • Primary refractory acute myeloid leukemia (AML) and early recurrence of leukemic cells are among the most difficult hurdles to overcome in the treatment of AML. Moreover, uncertainties surrounding the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refractory AML pose a challenge when it comes to developing novel therapeutic drugs. However, accumulating evidence suggests a contribution of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TEN)/protein kinase B (AKT) signaling to the development of refractory AML. To assess PTEN/AKT signaling in AML, two types of AML cell lines were evaluated, namely control HL60 cells and KG1α cells, a refractory AML cell line that is resistant to idarubicin and cytarabine (AraC) treatment. Changes in the expression level of glycolysis- and mitochondrial oxidative phosphorylation-related genes and proteins were evaluated by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es, respectively. The mitochondrial oxygen consumption and extracellular acidification rates were measured using an XF24 analyzer. CCK8 assay and Annexin V/PI staining were used to analyze cell viability and cellular apoptosis, respectively. The PTEN protein was found to be depleted, whereas AKT phosphorylation levels were elevated in KG1α cells compared with HL60 cells. These chang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1 and hexokinase 2, and increased lactate production. AKT inhibition decreased the proliferation of KG1α cells and decreased extracellular acidification without affecting HL60 cells. Notably, AKT inhibition increased the susceptibility of KG1α cells to chemotherapy with idarubicin and AraC. Taken together,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ctivation of AKT by PTEN deficiency sustains the refractory AML status through enhancement of glycolysis and mitochondrial respiration, effects that may be rescued by inhibiting AKT activity.

Sex-biased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associated genes in cancer cell lines

  • Sun Young Kim;Seungeun Lee;Eunhye Lee;Hyesol Lim;Ji Yoon Shin;Joohee Jung;Sang Geon Kim;Aree Moon
    • Oncology Letters
    • /
    • 제18권6호
    • /
    • pp.6852-6868
    • /
    • 2019
  • There is a wide disparity in the incidence, malignancy and mortality of different types of cancer between each sex. The sex-specificity of cancer seems to be dependent on the type of cancer.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have been demonstrated as sex-specific in a number of different types of cancer, such as liver cancer, whereas sex-specificity is not noticeable in certain other types of cancer, including colon and lung canc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basis for sex-biased gene expression in cancer. The mRNA expression of the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associated genes was investigated, including E-cadherin (also termed CDH1), vimentin (VIM), discoidin domain receptor 1 (DDR1) and zinc finger E-box binding homeobox 1 (ZEB1) in female- and male-derived cancer cell lines by reverse transcription (RT)-PCR and the Broad-Novartis Cancer Cell Line Encyclopedia (CCLE) database analysi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DDR1 and ZEB1 only in the female-derived cancer cell lines via RT-PCR analys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DR1 index (defined by the logarithmic value of DDR1 divided by ZEB1, based on the mRNA data from the RT-PCR analysis) and an invasive phenotype was observed in cancer cell lines in a sex-specific manner. Analysis of the CCLE database demonstrated that DDR1 and ZEB1, which are already known to be sex-biased,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female-derived liver cancer cell lines, but not in male-derived liver cancer cell lines. In contrast, cell lines of colon and lung cancer did not reveal any sex-depende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DDR1 and ZEB1. Kaplan-Meier survival curves using the transcriptomic datasets such as Gene Expression Omnibus, European Genome-phenome Archiva and The Cancer Genome Atlas databases suggested a sex-biased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DDR1 expression pattern and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liver canc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sex factors may affect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contributing to the sex-biased progress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cancer, particularly liver cancer.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alyse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DR1 and ZEB1 may prove useful when investigating sex-biased cancers.

배양세포에서 Semi-quantitative RT-PCR에 의한 조류인플루엔자 H9N2의 전사활성 분석 최적 시기 결정 및 전사체 분석 (Deterimination of an Optimal Time Point for Analyzing Transcriptional Activity and Analysis of Transcripts of Avian Influenza Virus H9N2 in Cultured Cell)

  • 나기윤;이영민;변승준;전익수;박종현;조인수;주이석;이윤정;권준헌;구용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86-290
    • /
    • 2009
  •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mRNA의 전사는 감염 동안에 시간적으로 조절되어진다. 감염 후 세포 내에서 증식된 바이러스가 방출되어 세포를 다시 감염하게 되면 전사 수준 분석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이러스가 방출 되기 이전에 전사 수준의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 H9N2를 감염시킨 닭의 섬유아세포주 UMNSAH/DF-1에서 바이러스 감염 후 증식된 바이러스의 방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양액 중에 방출되는 바이러스 RNA 게놈 수준을 semi-quantitative RT-PCR에 의해 측정하였다. 배양액 중의 바이러스 RNA 게놈의 분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RNA 회수율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mouse의 전체 RNA를 배양액 시료에 넣어서 바이러스 RNA 분리에 carrier로 사용하고 그 속에 포함된 mouse의 GAPDH를 RNA를 역전사 반응 및 PCR의 내부 대조 RNA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감염 후 방출까지 16~20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염 후 12시간 후에 세포 내에서 합성된 8종의 전사체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8종의 mRNA 중 PA를 제외한 7종의 mRNA (HA, NA, PB1, PB2, NP, M, NS를 암호화하는 mRNA)는 뚜렷한 증폭 band를 보였으며, 이것은 이들이 전사활성 측정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전사수준의 측정 방법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RNA polymerase를 표적으로 한 항바이러스제의 검색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폐암 세포주에서 염색체 3p14.2에 위치한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the FHIT gene Located in Chromosome 3p14.2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 김철현;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84-991
    • /
    • 1998
  • 연구배경: 폐암을 포함한 여러 종양에서 3p의 allelic loss가 매우 흔하게 관찰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이 구역에 암억제유전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어 과거부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몇몇 후보 유전자들이 밝혀져 있을 뿐, 확실한 암억제유전자를 규명해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HIT(Fragile Histidine Triad) 유전자는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후보 암억제유전자로서 3p14.2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도, 위, 두경부암 등의 여러 종양에서 이 위치의 homozygous deletion이 보고된 바 있다. 서열 분석상 이 유전자는 human genome 중 손상에 가장 취약한 곳중 하나인 FRA3B fragile site와 신세포암에서 잘 발견되는 t(3;8) chromosomal translocation의 breakpoint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정과 함께 폐암에서 3p의 allelic loss가 특히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자들은 폐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을 살펴봄으로써 암억제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총 21개 세포주(비소세포폐암 : 16, 소세포폐암 : 5)를 배양하여 RNA를 분리하였고 reverse transcription을 시행하여 single-strand 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FHIT 유전자의 exon 5에서 exon 9에 해당하는 coding region을 PCR로 증폭하였다. 이 PCR product를 ethidium bromide로 염색된 1.5 %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시킨 후 band를 관찰하였다. 결 과: 총 21개 폐암 세포주중 12개(57%) 세포주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3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9개). 16개의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중 7개 (44%)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2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5개). 5개의 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는 5개(100%) 모두에서 비정상적인 band가 관찰되거나(1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 (4개). 결 론: 이러한 결과를 살펴볼 때, FHIT 유전자의 발현 이상은 폐암, 특히 소세포폐암에서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FHIT 유전자가 폐암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암억제유전자일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소견이라 생각된다.

  • PDF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미백활성 검증 (Whitening Activity of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Nakai) Extract)

  • 유단희;김진태;오민정;염현지;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9-286
    • /
    • 2019
  • 본 연구는 말오줌나무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를 검증하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실험은 $1,000{\mu}g/ml$에서 86.21%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97.9%의 소거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mu}g/ml$ 농도에서 37%의 효과를 보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진행하였는데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25, 50, $1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beta}-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각각 $100{\mu}g/ml$ 농도에서 34.5%, 45.6%, 58.4%, 79.6%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발현을 RT-PCR로 25, 50, $1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100{\mu}g/ml$ 농도에서 각각 85.4%, 67.5%, 85.2%, 67.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의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 of Erigeron annuus (L.) Pers. Ethanol Extract on Melanoma Cell (B16F10))

  • 주다혜;유단희;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8-157
    • /
    • 2019
  • 개망초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여 $500{\mu}g/ml$에서 82%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500{\mu}g/ml$에서 87%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결과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이 $100{\mu}g/ml$에서 6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100{\mu}g/ml$에서 32.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개망초 추출물에 대한 수렴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00{\mu}g/ml$에서 80%이상의 우수한 수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농도 구간이 $100{\mu}g/ml$ 일 때 96%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따라서 관련 실험을 세포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25, 50, $100{\mu}g/ml$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에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MITF, TRP-2의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RP-1과 tyrosinase 발현양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 단계 유전자인 ERK와 CREB의 발현양은 미비했으나, 인산화된 ERK와 인산화된 CREB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망초 에탄올 추출물을 25, 50, $100{\mu}g/ml$의 농도 별로 처리하였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및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그 하위 유전자 및 상위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국화과에 속하는 신귀화식물 개망초를 기능성 천연 미백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친환경 소재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a Mixture of the Eco-friendly Materials Pinus koraiensis and Hibiscus cannabinus L.)

  • 오민정;염현지;채정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5-313
    • /
    • 2021
  • 본 연구는 친환경 소재인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고, 잣나무 목재 추출물과 케나프 줄기 추출물을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유효성분들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ABTS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00 ㎍/ml에서 추출물 성분들의 상승작용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93.7%, 94%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tyrosinase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 ㎍/ml 농도에서 40%, 27.5%, 43%의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의 상승효과로 혼합 추출물의 높은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잣나무 목재, 케나프 줄기 및 혼합 추출물의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 1,000 ㎍/ml 농도에서 각각 87.4%, 80.2%, 98%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결과적으로 혼합 추출물은 길항작용을 통해 같은 농도에서도 100%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 혼합 추출물의 Western blot에 의한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ml 농도에서 53.9%, 64.8%, 67.3%, 56.1%로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RT-PCR을 통해 혼합 추출물이 미백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ml 농도에서 각각 54.4%, 64.9%, 66.6%, 63.1%로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1:1 비율로 혼합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잣나무 목재와 케나프 줄기를 혼합한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찹쌀떡버섯 균사체로 생물전환된 루모라고사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umohra adiantiformis Extracts Fermented with Bovista plumbea Mycelium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홍지혜;장은서;길명철;이계원;조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71-48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생물전환 루모라고사리 추출물(B-RAE)의 항염증 효과 및 작용기전을 연구하였다. B-RAE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379.26±7.77 mg/g과 50.85±3.08 mg/g으로 각각 나타났다. B-RAE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을 농도의존적으로 소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B-RAE는 세포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NO 생성을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 실시간 PCR로 측정한 결과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발현량을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B-RA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 관련 단백질(iNOS, COX-2)의 발현 및 전사인자인 NF-κB와 MAPK 신호경로 단백질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Western blot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에 의하여 증가된 iNOS와 COX-2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LPS 처리에 의하여 증가된 NF-κB와 IκB의 인산화가 B-RAE 처리에 의하여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PK 신호경로 단백질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ERK와 p38 MAPK 단백질의 인산화는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JNK의 인산화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B-RAE의 항염증 효과는 높은 항산화 활성, iNOS와 COX-2 발현 억제를 통한 NO 생성 억제, NF-κB경로 저해, MAPK 신호경로 조절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저해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