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ailer brand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How have retailers led the HMR industry in Japan and UK?

  • CHO, Young Sang
    • 융합경영연구
    • /
    • 제9권6호
    • /
    • pp.25-3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aiming at providing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ith new insights to analyse how retailers have mad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HMR market in Japan and UK. Research design: The second section will look at the definition of HMR, and then, introduce each county's case, while analysing how retailers have developed the HMR market and illustrating some implications. Finally, the authors will draw a conclusion. Results: Retailers have established the retailer brand development department with the sophisticated retail information system which has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HMR market. Also, it enables retailers to accumulate retail knowledge associated with ready-to-eat meals and train top-level experts, whilst helping them to build the trustworthy supply chain relationships by sharing the POS data with food manufacturers. Consequently, the cooperation with food manufacturers has enhanced in the HMR market in both Japan and UK, on the basis of sophisticated delivery system as well as the concept of innovation into the HMR sector. Conclusions: Retailers have to benchmark Japanese and British retailers' Knowledge to grow ready meal market in Korea and invest their marketing resources in developing various HMR foods, on the basis of innovative thinking.

Factors Influencing Association of Intermediaries in the Supply Chain of Consumer Healthcare Brands

  • SURESH, A.S.;VASUDEVAN, M.;VINOD, Sharma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05-113
    • /
    • 2021
  • Purpose: The rural market in India provides tremendous scope for FMCG consumer healthcare companies to market their products because of a significant increase of rural purchasing power. Many empirical studies in this area highlight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marketers in the FMCG space. Research articles are not in abundance to understand intermediaries' expectations in the supply chain specific to consumer healthcare products. The existing literature did not significantly address the challenges of channel partners in the rural market. The present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tailer expectations from manufacturers and channel members' mutual expectations in the FMCG distribution channel.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The present study adop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Fifty respondents from each level of distribution channel such as super-stockist, distributors and retailers in central India were identified and an interview method was adopted to collect the data. Results: Nineteen factors were identified to influence the intermediaries for involvement in the business with any FMCG brand. Factors like Profit margin, reverse logistics, credit terms, return on investment, timely payments were crucial for managing the expectations of all intermediaries.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enabling the industry to align its channel management strategies accordingly.

유통업체에 대한 신뢰가 Private Label 제품과 제조업체에 대한 신뢰로 전이되는 현상에 관한 연구 (Transference of Trust from Retailers to Private Label Products and their Manufacturers)

  • 김향미;김재욱;이종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4권2호
    • /
    • pp.67-95
    • /
    • 2009
  • 본 연구는 개별 소비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신뢰가 전이되는 현상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신뢰가 전이되는 과정에 관한 언급은 있었지만,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유통업체에 대한 신뢰가 전이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신뢰 전이의 대상으로 PL(Private Label) 제품을 선정하였다. PL제품은 유통업체에서 판매되는 제품들 중 신뢰가 전이됨에 있어 기본 가정이 되어야 하는 평가대상의 애매 모호성이라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PL제품 자체가 제조업체 브랜드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게다가 최근 유통업체는 PL제품의 판매영역을 늘리고 있다. 먼저 저자들은 선행연구가 가지고 있는 이론적/실증적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신뢰의 전이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인지적 신뢰의 전이에 있어서는 '균형이론'과 '가용성 간편추론법'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감정적 신뢰에 있어서는 '감정전이'와 '정보로서의 감정'이라는 2가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을 보완하였으며, PL제품 구매자 206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PL제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신뢰의 전이 현상이 나타남을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매개효과를 포함한 제안모델이 매개효과가 없는 모델과 비교해서 그 모델 적합도가 크게 개선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경로계수가 매개효과가 없는 모델에 비해 향상되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뢰의 2가지 차원인 인지적 신뢰와 감정적 신뢰에 있어서, 인지적 신뢰는 PL제품의 제조업체 및 제품 자체에 대한 신뢰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감정적 신뢰에 있어서는 PL제품의 제조업체에 대한 신뢰의 전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정적 신뢰는 직접적인 경험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PL제품은 유통업체 브랜드와 같은 브랜드 이름을 사용하고 많은 상품군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많이 노출되어 친숙함과 같은 감정적인 부분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와 달리 제조업체와는 감정적 신뢰가 전이될 만한 직접적인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 PDF

대형유통업체 가정간편식 PB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One Authorized District for Large Retailers' Home Meal Replacement PB Products)

  • 김동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9-318
    • /
    • 2018
  • 본 연구는 대형유통업체 가정간편식 PB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로 가정간편식 PB상품을 구입하여 경험해 본 1인가구 소비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으로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따라 대형유통업체가 개발 및 출시하는 HMR형태의 PB상품이 1인가구에 어떠한 의미와 주관적인 수용의 모습을 나타내는지 Q방법론적 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그 함의를 분석하며, 앞으로의 대형유통업체의 1인가구를 위한 외식상품개발 및 출시의 다양한 방향성과 그 개선책에 대해서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유형 분석결과 5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제 1유형(N=5) : 브랜드 이미지 신뢰형(Brand image trust type), 제 2유형(N=5) : NB상품 선호형(NB product preference type), 제 3유형(N=2) : 간편조리 추구형(Easy cooking preference type), 제 4유형(N=2) : 가격대비 맛 추구형(Pursuing taste for price type), 제 5유형(N=2) : 가격대비 양적 추구형(Quantitative pursuit for price type)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브랜드애호도에 따른 가격할인율의 차이가 소비자의 획득가치와 거래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ce Discount Rate According to Brand Loyalty on Consumer's Acquisition Value and Transaction Value)

  • 김영이;김재영;신창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47-269
    • /
    • 2007
  • 현대에 있어 동질적인 품질과 편익을 제공하는 제품을 가지고 다수의 기업들이 시장점유율 증대와 고객확보를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가격할인은 기업이 즐겨 사용하는 촉진수단이다. 가격할인은 단기적 매출향상, 소비자의 브랜드전환, 신제품의 시장침투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실제로 과거의 실증연구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가격할인이 판매증대에 효과적이며 가격할인은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하지만 할인된 가격은 제품의 품질을 의심하게 하거나 낮게 평가하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모든 제품카테고리와 모든 구매상황에 대하여 가격할인이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애호도의 차이가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가격할인율에 따라 소비자의 지각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으로서 브랜드애호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경우에는 가격할인에 의한 지각희생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고 브랜드 자체에 대한 신뢰도와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가격인하가 브랜드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경우에는 제품으로부터 획득하게 되는 편익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낮은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보면 가격할인이 클 때에 제품의 품질과 편익을 더욱 평가절하하거나 심리적으로 지각희생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지각가치가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백화점의 판매수수료 현황 및 정책대응 방안 (Sales Commission of Department Store and Policy Implications)

  • 이정희;황성혁;김성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37-60
    • /
    • 2010
  • 백화점은 우리나라 유통시장에서 전통적인 대형 유통업체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1997년 우리나라의 외환위기 이후, 백화점은 3사를 중심으로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납품업자와의 관계에서 우월적인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판매수수료이다. 판매수수료란 제조업체를 대신하여 제품 판매에 기여를 한 유통업체가 판매 가격에 일정 부분을 가져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백화점에 입점한 업체들이 제품 판매액의 일정부분을 백화점에 지불하는 것이다. 그런데 납품업체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판매수수료가 매우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 백화점은 납품업체를 대신하여 고객을 모으고 판촉활동을 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순히 판매수수료가 높다고 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은 백화점이 직매입 보다는 수수료 위주의 매장 운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백화점의 수입은 판매수수료에 좌지우지 될 수밖에 없고, 규모화와 백화점 브랜드파워를 통한 거래교섭력 증대로, 납품업체와의 관계에서 판매수수료의 주도권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와 관련된 대응정책으로 백화점의 독과점 구조 심화를 방지해야 하며, 납품업체와 공정한 계약 체결을 할 수 있도록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백화점 업계의 자율적인 상생과 공정거래가 정착되도록 하는 환경조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한국 소상공인의 조직화 인식도 상호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와 정책적 시사점 : 군집분석을 이용한 접근 (An Empirical Study and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Correlations of Korean Small Businessman's Perception of Systematization Using Cluster Analysis)

  • 서근하;이광노;윤성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57-1164
    • /
    • 2011
  • 본 연구는 소상공인 조직화를 프랜차이즈, 공동브랜드, 업종별 협회, 시 군 구에 등록된 상인회로 구분하고,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의 경영전략 선정에 있어서 어떠한 가치관을 가지는 지에 대하여 군집분석에 의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은 인구통계적인 특성에서 성별, 학력, 연령별로 유의한 조직화 인지와 조직화 효과 그리고 최종적인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조직화된 소상공인들의 경영전략 가치관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격 경쟁지향과 마케팅 경쟁지향, 무개념 경영등 3가지 유형의 프로파일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소상공인의 조직화에 대한 프로파일 도출과 조직화 인식도에 따른 경영성과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향후 정부에서는 자영업의 시설개선과 현대화 사업 못지않게 소상공인 조직화 개발과 지도와 같은 경영현대화 사업에 더욱 많은 노력을 경주하여야 하는 필요성을 밝혀 주었다.

에어리어 마케팅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주)진로의 참이슬의 시장탈환- (On the Area Marketing Strategy and the Case Study of Alcoholic Company(JINRO, Chamjinislro Soju))

  • 김창호
    • 정보학연구
    • /
    • 제7권4호
    • /
    • pp.71-87
    • /
    • 2004
  • 본 연구는 에어리어 마케팅 전략개념을 정형화하고 소주시장에 적용하여 경험적 사례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국내의 지역 시장에 중심으로 진행되는 주류업체의 실천적 마케팅 수단을 개발하기위한 환경 분석을 필두로 구체적인 마케팅 수단의 개발과 적용에 에어리어 마케팅의 단계별 절차와 내용을 적용하였다. (주)진로 참이슬을 중심으로 국내 7개의 권역으로 구분된 에어리어 마케팅을 통해 뚜렷한 성과를 얻었다. 시장점유율의 신장은 1998년 38%에서 2000년 51.4%를 나타낸 이후 지속적인 확대를 꾀한 결과 2004년 11월 현재 55.3%를 나타내는 커다란 성과를 얻었다. 또한 에어리어 마케팅 성과로 지역별 시장점유율의 확대를 꾀한 바, 수도권을 비롯한 충남과 충북, 전북 등의 지방 권역에서도 시장지위를 회복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지역적으로 편향된 소주 브랜드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고객관계개선에 있어서도 커다란 변화를 나타내는 등 효과를 얻었다. 소주 업계 사례를 통해 에어리어 마케팅전략의 중요성과 실천영역을 제시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연구는 보다 확장된 범위와 정교한 연구모형을 통해 실증적 연구시도가 요구된다.

  • PDF

Dimensions of Experiential Value: Is it the same across Retail Channels?

  • Jin, Byoung-Ho;Lee, Yong-Ki;Kwon, Soon-Hong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3-245
    • /
    • 2007
  • Purpose: While empirical importance of dimensionality of perceived value is widely accepted, our understanding of experiential value dimensions in other retail channels and other cultures has not been explicitly tested.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if the dimensions of experiential value scale (EVS) by Mathwick, Malhotra, and Rigdon (2001) identified in US catalog and Internet contexts could be applied in other international markets (South Korea) and in other retail channels (department store versus Internet shopping mall). Methodology/Approach: Two data sets, one from 220 department store shoppers and the other from 359 Internet shopping mall shoppers, were analyzed. Finding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four different EVS dimensions by retail channels. Overall, entertainment and intrinsic enjoyment values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in department store while economic and efficiency value dimensions were interpreted critical in Internet shopping mall context. Visual appeal aspect constitutes distinct value dimension in two channels. Practical Implications: One separate dimension of time efficiency in Internet shopping mall suggests that more efficient web design and functions that can save time and promote convenience are needed to better accommodate their customers. Internet has heavily relied on traditional attributes, such as factual information, price comparability, and brand name reliance.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net shopping mall retailer should offer visual diversion and stimulation just as brick and mortar shopping malls do. Originality /Value of Paper: Although the research findings must be viewed as tentative because the results are from one country, they provide a rich basis for further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experiential value in other international markets and other retail channels. Category: Research Paper

  • PDF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의 발전과 시장진출 전략 (Chinese Online Circulation Market and Market Approaching Strategy)

  • 송재두;이찬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477-487
    • /
    • 2017
  • 중국의 소비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중국은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통관 물류 시스템 개선 및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게임이론과 국내 제조기업의 진출사례 SWOT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에 대한 접근전략을 도출하였다.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은 Alibaba와 Jingdong이 전체 시장의 약 80%를 차지하는 과점 형태로 게임이론을 따르면 한국 기업과 중국 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저 위험 저 수익의 진출 최소화에서 중등 위험 중등 수익의 시험적 수용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에 진출한 기업의 SWOT 분석을 통해 중국 온라인 유통시장진출에 앞서 오프라인 시장에서 자사 제품 및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하여야 한다는 점과 중국 현지에 적합한 현지화 모델을 준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