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oration material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29초

토석채취지의 복구 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Restoration Actual Conditions on the Quarries)

  • 박재현;박종민;이준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8-14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ditions of quarries. aiming to offer preliminary data to help with restoration efforts of quarries after extracting rock mater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current state of business, a classification of all sites surveyed showed the ratio of ceased operations: ongoing operations: quarries under restoration to be 58:5:37. Classified by the permit area, the ratio of the number of quarries with areas less than $20,000m^2$ (2ha) : between $20,000m^2$ (2ha) and $50,000m^2$ (5ha) : $50,000m^2$ (5ha) or more was 15:60:25. The classification by use of the rocks showed the ratio of construction aggregate (such as civil construction material) : building material : craft material to be 60:28:12. The ratio of quarrying methods of bench cut : slope quarry : vertical quarry wall is 40:18:42. It is indicated that 85% of all quarries surveyed are difficult to reclaim while 15% seem to be easier to restore. Among all surveyed, 34 sites were considered to be extremely difficult to restore. 17 of the 34 sites (50%) were quarry walls almost vertical that have been neglected after extraction. 16 of them (47%) were underground quarries that have left quarry walls deep under the ground. For the remaining 1 site, there doesn't seem to be any need for reclamation as it became totally flat after the extraction.

훼손 도자기 결실부 복원을 위한 3D 세라믹 프린팅 기술의 기초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3D Ceramic Printing Technology for Restoration of the Missing Part of Damaged Ceramics)

  • 오승준;위광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65-173
    • /
    • 2020
  • 훼손 도자기의 결실부 복원은 ABS, PLA 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도자기 재질과는 유사하지 않아 세라믹 수지에 대한 물성 및 적용성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하였다. 기존 복원 방법인 거푸집과 ABS 수지 복원, 세라믹 수지의 실제 복원 및 물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라믹 수지의 복원부 제작은 기존 재료에 비해 정밀도가 높아 미세한 형상의 출력이 가능하고, 표면 질감, 광택이 L30과 ABS 수지보다 우수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수축, 변형이 없고 압축강도가 높아 기존 재료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나 비중과 경도 값은 복원부 제작 후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는 요소로 작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세라믹 수지의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신뢰성 및 안정성 평가, 너무 얇거나 긴 형태의 복원부 출력 시 원형복원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역성을 갖는 도자기 복원용 무황변 우레탄 수지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도자기의 복원 (The Development of the Unfading Urethane Polymer Based on Reversible Properties for Ceramics and Restoration with This Urethane Product)

  • 한원식;박기정;임성진;이영훈;홍태기;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3-190
    • /
    • 2010
  • 무황변 가역성 도자기 복원 재료를 위하여 우레탄을 제조하여 이용하였다. 이 저점도형 우레탄은 사용자가 강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조하였다. 이 우레탄 복원재는 매우 강한 접착 강도와 전단 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간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에폭시 복원재와 같은 충진성, 수축성, 도색성을 갖도록 제조되었다. 특히,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폭시계 복원재의 문제점인 황변 현상과 비가역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도자기의 복원의 항구성과 지속적인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본 우래탄 복원재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직접 적용 복원하였으며 복원 후, 이를 재 용해하여 복원제를 완벽히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복원의 가역성도 보이고자 하였다.

하천 고수부와 제방 비탈면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표토의 집토와 부설 (The Stockpiling and Spreading of Topsoil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Floodplains and the Levee Slope of a Stream)

  • 한승완;김형준;채병구;김정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99-104
    • /
    • 2015
  • 다수의 매토종자를 함유하고 있는 표토는 중요한 생태복원 재료로서 많이 알려져 있으나, 이를 실제로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하천복원 재료로서 표토의 가치에 대해 재평가하였다. 또한 실제로 황구지천 하천환경정비사업에서 완경사 호안, 고수부 복원, 식재 등에 표토를 활용한 결과 생태적, 치수적, 경제적 및 시공적 측면에서 자연친화적 하천 복원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표토가 하천복원의 유용한 재료인 것을 확인하였다.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for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 Davi Ariel Nobuo Bepu;Renata Siqueira Scatolin;Natalia Saud Junqueira Franco;Luiza Pejon Sanchez;Aline Evangelista Souza-Gabriel;Silmara Aparecida Milori Coron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9권3호
    • /
    • pp.24.1-24.13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performance of an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in molars that had undergone root can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research was registered in Brazilian Registry of Clinical Trials. The randomized clinical trial involved 33 patients, each with at least 1 mandibular molar requiring restoration after receiving endodontic treatment.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bulk-fill resin composite (Tetric N Ceram Bulk Fill, Ivoclar Vivadent) or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Cention N, Ivoclar Vivadent). Upon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s, 3 calibrated professionals utilized the United States Public Health Service criteria to assess various factors, including retention, secondary caries, marginal adaptation, restoration color, marginal pigmentation, and anatomical form. Evaluations were conducted at intervals of 7 days, 6 months, and 17 months. Additionally, the assessment encompassed the presence of radiolucent lines adjacent to the restoration, material deficiencies or excess, contact points, and caries recurrence. The data underwent analysis using the Friedman and Mann-Whitney tests (α = 0.05). Results: After 17 month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exhibited greater wear of anatomical shape compared to the bulk-fill resin composite (p = 0.0189). Furthermore,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natural tooth color in most cases (p = 0.0000). However, no other criteria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terials or over time (p > 0.05). Conclusions: The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Cention N) emerges as a viable option for restoring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displaying clinically acceptable alterations after a 17-month evaluation period.

팽창재료를 이용한 지하공동의 비개착식 긴급복구 공법에 대한 실내실험 및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and Laboratory Experiment of Rapid Restoration of Underground Cavity Using Expansive Material without Excavation)

  • 이기철;최병현;박종호;김동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5-6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도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에 대하여 팽창재료를 이용한 긴급복구공법을 적용하고 이러한 공법의 적합성을 수치해석적으로 판단하고자 한다. 수치해석에 적용된 팽창재료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으로 구한 팽창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공동 형상(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공동에 대하여 다양한 높이와 폭 조합)에 대하여 팽창재료를 적용하였을 경우 팽창재료 및 지반 거동을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공동의 상단과 하단의 연직변위는 공동의 높이보다는 공동의 폭에 큰 영향을 받으며, 공동 측면부의 수평변위는 공동 폭 보다는 공동의 높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팽창압이 작용하였을 경우 도로상부 표층의 수직변위량은 공동의 높이보다는 공동의 폭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rcaptan계와 Diamine계를 이용한 저수축·절삭력이 우수한 Epoxy Putty의 개발 및 물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operty of Epoxy Putty with Excellent Low Shrinkage and Cutting Force Using Mercaptan Type and Diamine Type)

  • 오승준;위광철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4호
    • /
    • pp.137-14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문화재 보존 처리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를 대체하여 금속, 목재, 도자기, 토기, 석재 유물 등 재질별 문화재 복원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용 접합, 복원재료인 에폭시 퍼티(epoxy putty)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는 높은 강도로 인한 절삭력의 문제, 긴 경화 시간으로 인한 처짐 현상, 도구나 장갑에 묻어 유물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현상, 재료의 황변 현상으로 인한 재처리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차적으로 문화재 보존 처리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페이스트(paste)형태의 복원 재료를 선정하여 물성을 파악한 후 이를 비교 대상으로 선택하고, 주제 및 경화제와 충전제의 종류에 따른 에폭시 퍼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에폭시 퍼티는 기존 재료의 문제점 해결 및 유사한 물성을 지니기 위해 성상(性狀)이 다른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선정하여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종 모두 페이스트 형태로 경화 시간은 5~10 min 내외로 기존 재료에 비해 약 3~10배 정도 짧아 작업의 편리성과 처짐 현상을 개선하였으며, 절삭력을 높이기 위한 마모율은 약 3배 정도 향상시켜 쉽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작업 중 발생하는 표면 오염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충전제로 탈크(talc)와 백색의 micro-balloon을 첨가하여 사용 중 손에 묻어 나와 끈적거리는 현상을 줄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컬러링(coloring), 경량성, 절삭력 등이 높은 저수축, 저황변, 절삭력이 우수한 다목적 복원 재료를 개발하였다.

Metal stain on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A case report

  • Cha, Min-Sang;Lee, Sang-Woon;Huh, Yoon-Hyuk;Cho, Lee-Ra;Park, Chan-Ji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2호
    • /
    • pp.138-142
    • /
    • 2017
  • In restorative treatment using fixed dental prostheses, dentists should select appropriate restoration material among various types of dental materials. The strength, marginal fit, esthetics, wear resistance, biocompatibility, and cost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choice of restoration materials. The present case showed a surface stain on a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that was due to wear between the monolithic zirconia restoration and the base metal alloy restoration. This phenomenon was confirmed by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and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자동차용 안전부품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복탄처리의 영향 (Effect of Carbon-Restor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Automobile Safety Parts)

  • 김무길;정병호;정상훈;이병찬;김상수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6-31
    • /
    • 2003
  • Decarburized zone of metal tongue which is used in seat belt for automobiles was carbon-restoration quenched and tempered using nitrogen-methanol gaseous atmosphere. The effects o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l tongue on the effectiveness of carbon-restoration during tempering was studied. Metal tongue showed $20{\sim}30{\mu}m$ decarburized zone. However, after carbon-restoration, it has uniform microstructure and thus hardness without decarburized zone. Carbon-restoration quenching and tempering process resulted in better wear and corrosion resistances than quenching and tempering process.

Skull Reconstruction with Custom Made Three-Dimensional Titanium Implant

  • Cho, Hyung Rok;Roh, Tae Suk;Shim, Kyu Won;Kim, Yong Oock;Lew, Dae Hyun;Yun, In Si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6
    • /
    • 2015
  • Background: Source material used to fill calvarial defects includes autologous bones and synthetic alternatives. While autologous bone is preferable to synthetic material, autologous reconstruction is not always feasible due to defect size, unacceptable donor-site morbidity, and other issues. Today, advanced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techniques allow for fabrication of titanium implants customized to the exact need of individual patients with calvarial defects. In this report, we present three cases of calvarial reconstructions using 3D-printed porous titanium implants. Methods: From 2013 through 2014, three calvarial defects were repaired using custom-made 3D porous titanium implants. The defects were due either to traumatic subdural hematoma or to meningioma and were located in parieto-occipital, fronto-temporo-parietal, and parieto-temporal areas. The implants were prepared using individual 3D computed tomography (CT) data, Mimics software, and an electron beam melting machine. For each patient, several designs of the implant were evaluated against 3D-printed skull models. All three cases had a custom-made 3D porous titanium implant laid on the defect and rigid fixation was done with 8 mm screws. Results: The custom-made 3D implants fit each patient's skull defect precisely without any dead space. The operative site healed without any specific complications. Postoperative CTs revealed the implants to be in correct position. Conclusion: An autologous graft is not a feasible option in the reconstruction of large calvarial defects. Ideally, synthetic materials for calvarial reconstruction should be easily applicable, durable, and strong. In these aspects, a 3D titanium implant can be an optimal source material in calvarial re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