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onsive teaching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9초

반응적 교수법이 예비화학교사들의 증발과 끓음에 관한 수업설계 인식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Responsive Teaching Method on the Recognition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bout Instructional Design related to Evaporation and Boiling)

  • 조나연;김은지;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23-13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H대학교 화학교육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반응적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론을 학습자 생각의 본질 존중하기, 학습자 생각에서 학문적 연결 관계 인식하기, 학습자 생각의 본질 확장하기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학습자 생각의 본질 존중하기 단계에서는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증발과 끓음에 관련된 예비교사들의 생각의 본질을 파악하였다. 이 중에서 5명의 예비교사를 선발하여 자신의 생각과 학문적 연결 관계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증발과 끓음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의 본질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생각의 본질을 학문적으로 연결하여 사고의 프레임을 수정하거나 확장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또한 예비교사 스스로 자신의 개념이 역동적인 변화하는 과정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반응적 교수법의 효과를 인식하였다.

반응적 교수(Responsive Teaching)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학습 과정 탐색 (Exploring of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of Responsive Teaching)

  • 김동석;김우중;김지숙;오필석;권난주;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2호
    • /
    • pp.233-251
    • /
    • 2024
  • 의미 있는 배움은 교사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 속에 교육 내용과 관계 맺는 능동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생각을 수업의 중심에 두도록 지원하는 반응적 교수(responsive teaching, RT)를 학습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그들의 배움과 어려움,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초기에 서로 다른 관점으로 RT를 받아들였고 자신들이 이해한 방식으로 실천하는 과정에서 좌충우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과학을 직접 지도하는 교사의 사례에 집중하여 RT에 대해 더 깊이 탐색하였고, 해당 교사는 보람과 혼란스러움을 함께 겪기도 했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습 과정을 마무리하며 자신만의 방식대로 RT를 정의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교육 현장에서 RT의 실천 의지를 다졌다. 이러한 교사 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교사를 바라보아야 하고, 교사 공동체를 통해 협력적으로 배우고 탐구하는 자세가 요구되며, 현장의 다양한 실천 사례들을 계속 탐구하는 연구자적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PDF

초등 과학 수업에서 '반응적 교수'의 실현 가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sponsive Teaching' (RT)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 오지언;오필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227-2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responsive teaching (R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s.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yielded a tentative framework of RT which consisted of three characteristics of RT and example practices for each characteristic. The RT framework was used to analyze elementary science lessons on the topic of the transpiration in plant leaves. The data sources were audio recordings of three $5^{th}$ grade classrooms which included both the whole-class instruction and student group activities. The data were examin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teacher who had taught the lessons and a university-base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It was reveal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RT was limited when the teacher's intervention was focused on completing tasks; when it was out of the contexts of student activities; when the teacher provided earlier what students were supposed to find out by themselves; and when the teacher's comments were evaluation-centered. By contrast, the implementation of RT was made highly possible when the teacher's intervention induced an intellectual debate among students; when the teacher negotiated meanings with students; when the teacher connected what students shared to scientific knowledge; and when the teacher prompted students to solve a new problem. Implications about implementing and studying RT were discussed.

ADHD 위험 아동에 대한 반응성 부모교육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중심축 발달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Respons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on Child's Behavioral Problems an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신희선;김정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9-4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responsive teaching strategies is effective for parenting stress,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ADHD risk group was determined by scores on the Korean-ADHD Rating Scale.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Dr. Mahoney's responsive teaching curriculum. Mo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8 sessions. Treatment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parenting stress,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chil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Mann-Whitney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fter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Z=-1.00, p=.320) was foun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hild's internal behavior problems (Z=-2.05, p=.040), and als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 (Z=-2.67, p=.00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responsive teaching strategies are effective and that application of a program is recommended to prevent behavioral problems and improve maternal child interaction for children at risk for ADHD.

소집단 논변 활동 후 전체 논의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과 인식론적 프레이밍 탐색 (Exploring th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Epistemological Framing in Whole Class Discussion After Small Group Argumentation Activity)

  • 하희수;이영미;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6
    • /
    • 2018
  • 본 연구는 소집단 논변 활동을 도입한 과학 수업에서 소집단 논의 후 이루어지는 교실 전체 논의에서의 반응적 교수 실행을 탐색하고, 이로부터 드러나는 교사의 인식론적 프레이밍을 파악했다. 이를 위해 교사 3명과 이 교사들이 담당한 학급의 학생들 총 84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고, 자극과 반응 단원의 학습 개념을 바탕으로 설계된 논변 수업을 진행했다. 연구자들은 수업에서 이루어진 학생들의 논의를 녹화하고 교사와의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교사와 학생들의 담화와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 연구 결과, 교사의 반응적 교수 실행은 교실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특성과, 논변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개념적 또는 인식론적 자원이 누구로 부터 활성되었는지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교사가 전체 논의를 '학생들이 논의를 통해 정답에 도달하는 활동'으로서 프레이밍한 경우에는 각 소집단의 논변을 과학 개념과의 비교하고 과학 개념을 전달했고, '적절한 개념적 자원을 이끌어내어 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하는 활동'으로 프레이밍한 경우에는 각 소집단의 논변을 과학 개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자원으로서 여기며 교사가 직접 논의에 참여하여 학생과 함께 정당화를 수정하는 반응적 실행을 보였다. 전체 논의를 '소집단의 논변을 명확히 표현하여 공유하는 활동'으로서 프레이밍한 경우에는 각 소집단의 논변을 하나의 나름대로 타당한 논변으로 보아 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도록 지원했으며, '비판적 평가를 바탕으로 교실 전체에서 합의된 논변을 구성하는 활동'으로 프레이밍한 경우 각 소집단의 논변을 교실 전체의 합의된 논변을 구성하기 위한 자원으로 여기고 학생들 간 상호작용을 통해 논변의 비판적 검토와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중재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맥락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프레이밍과 반응적 교수 실행이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을 살펴보아, 현장의 상황을 고려한 논변 활동에서의 반응적 교수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다양성 경험과 신념 및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간의 관계 : 문화다양성 신념의 매개효과와 교사교육 단계간 다집단 분석 (The Relations among the Experiences and Belief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Efficacy of Americ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Mediating Effect of the Beliefs and Multi-group Analysis of Teacher Education Stages)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79-107
    • /
    • 2013
  • 본 연구는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 경험, 문화다양성 신념 및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문화다양성 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며, 그러한 관계가 교사교육의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미국 남서부 5개 대학의 K학년 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273명이었다. 문화다양성 경험은 Schroeder(2008), 문화다양성 신념은 Pohan과 Aguilar(2001),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은 Siwatu(2007)의 연구에서 사용된 일부 문항들로써 측정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한 결과, 직접효과로서 문화다양성 경험이 많을수록, 직업 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반응적 교수효능감이 높아지고, 긍정적인 문화다양성의 경험이 많을수록 개인 신념의 수준이 높아지며, 개인 신념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 신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다양성 경험은 개인 신념을 매개로 직업 신념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교사교육 단계에 따라서는 직업 신념과 교수효능감간 경로계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에서의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반응적 교수법에 의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질량 보존과 부피 변화에 대한 사고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Thought Change of 11th Grade Students related to Conservation of Mass and Volume Change by Responsive Teaching)

  • 조나연;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5호
    • /
    • pp.304-317
    • /
    • 2020
  • 이 연구는 중소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반응적 교수법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반응적 교수법의 3단계를 세분화하여 6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학생들의 거시적 생각 드러내기, 2단계는 학생들의 초기 미시적 생각 이끌어내기, 3단계는 입자에 대한생각을 학문과 연결하기, 4단계는 교사가 개입하여 입자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명료히 하기, 5단계는 학생 생각 심화하기, 6단계는 학생 생각 확장하기였다. 4단계까지의 과정을 통해 질량의 원인은 원자이며, 부피의 원인은 분자라는 학생들의 생각이 명료하게 드러났다. 5단계에서 학생들은 양성자와 중성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매우 작으므로 분자 자체의 부피는 무시한다는 개념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생각을 확장하는 6단계에서 입자의 부피를 무시한 질점의 개념으로 분자 운동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아보가드로의 법칙에서 요구되는 입자의 질량보존과 부피변화의 관계에 대한 관점을 획득하고, 어떤 시스템은 직접 관찰하기에 너무 작거나,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려서 간접적으로만 연구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Developing Student-Teacher Interaction Through Task-Based Instruction

  • Alsamadani, Hashem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47-52
    • /
    • 2022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teacher interaction can be developed through task-based teach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Saudi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five weeks on 85 male undergraduate students at a Saudi public university based in Jeddah, Saudi Arabia. The study investigated different types of student-teacher interaction through task-based teaching (speaking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43 students) evinced much more enthusiasm, willingness, engagement and readiness in their inclass participation than their peers in the control group (42 students). The student-teacher interaction also helped students to be more responsive to general and specific topics in speaking activities. The study recommends that decision-makers in education make student-teacher interaction part of the student's monthly assessment. It also recommends that more efforts be made to foster the awareness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the academic and non-academic importance of interaction. One final recommendation of the research is that student-teach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and integrat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and adopted as a critical teaching strategy.

Teaching Indigenou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bedding the Cultural Practices of Dance, Movement, and Music in Pedagogy

  • Jegatheesan, Brinda;Ornelles, Cecily;Sheehey, Patricia;Elliot, Emma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7권1호
    • /
    • pp.1-13
    • /
    • 2017
  • The rich cultural backgrounds and practices of children from native cultures are often absent in classroom instruction, as teachers might feel that they have inadequate knowledge and backgrounds in the unique practices of these populations. Historically, children from native cultures have had challenging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oor educational outcom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we propose a Family and Culture Based (FCB) framework that draws from family-centered practice, asset-based practice, and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This article describes the three steps of the FCB framework, which uses a teacher-as-learner approach to instruct students from native cultures by engaging teachers in reflection, gaining knowledge about the cultural practices of the family and community, and integrating the new knowledge into practice. We use a Pacific Islands case (Native Hawaiian family) and a Pacific Northwest case (First Nations family) to illustr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using the FCB framework with indigenous students.

중등학교 교실의 이산화탄소(CO2) 관리를 위한 지능형 창호개폐 작동 프로세스 (Intelligent and Responsive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Process for Carbon Dioxide(CO2) Management of Secondary School Classroom)

  • 최윤영;이현수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9-30
    • /
    • 2018
  • The school classroom is a common living place where students spend 7 to 14 hours a day to prepare for their careers. Therefore, if the ventilation of the classroom is not properly performed, it may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learning ability due to the unclear ai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classroom is reported to be high, and the increase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intelligent and responsive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process that can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O_2$ in the classroom in order to build a support space that can creat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for adolescents. The specific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e define the concept of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Secondly, twe develop the operation process of window opening-closing. Thirdly, we develop an algorithm for real-time window opening and closing (process)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Process). Finally, we verify the intelligent responsive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process through developing examples of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process using the parametric design program.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lgorithms necessary for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 Based on the first-order algorithm, We simulated window opening-closing operations according to a hypothetical scenario. As a result, This study can show that the window is open and close depending on the $CO_2$ concentration, but the $CO_2$ concentration in the room is higher than outdoors. Consequentially,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lgorithm to supplement these results because window is often not working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n winter is l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