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onse assessment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연구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s)

  • 김래영;이민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33-551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 교사가 서술형평가의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문항을 개발하는지, 서술형평가의 목표와 효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과 같은 서술형평가 전반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실제 학교현장에서 서술형평가문항의 채점방법과 활용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총 189명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서술형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있어 알고리즘적 문제해결과 정답을 강조하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실제 문항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형 평가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서술형평가에 대한 인식은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채점 방식을 조사한 결과 분석적 채점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교사들 간의 협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서술형평가가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시사점 및 함의점을 제공하였다.

  • PDF

중등 수학과 서술형평가 체계의 실제와 대안적 발전 방향 모색 - 경기도 창의.서술형 평가와 미국 오하이오 주 평가를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s - Cases of secondary mathematics in Gyeonggi-do and Ohio -)

  • 김래영;김구연;노선숙;김민경;전지훈;김기영;이민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273-299
    • /
    • 2012
  • 최근 서술형 평가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경기도 창의 서술형 평가와 미국 오하이오 주 평가의 서술형 평가에서 제시한 서술형 평가의 정의, 문항 유형, 제공하는 정보, 채점 기준 및 그 활용 등에 초점을 두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술형 평가 체계에 대한 대안적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서술형 평가의 정의와 측정하고자 하는 사고의 종류와 다양성뿐만 아니라, 두 평가가 제공하고 있는 평가관련 자료에 대한 접근 용이성 및 다양성, 교육당사자들에게 제공하는 자료의 구체성 및 실용성, 서술형 문항의 채점 방법과 기준, 그 활용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 현 서술형 평가 체제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발휘하고 평가할 수 있는 문항 개발, 교육당사자들에게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보 제공, 효율적인 서술형 평가 체제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초등 실과의 서술식 평가 실태와 개선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the Reformation Strategy on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 정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57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n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problem and find out the reformation strategy for them. To achieve these purposes. 180 teachers working in al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gu-city was selected by systematic cluster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mail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there was a response rate of 91.7%. Findings showed that it was not realized the valid and reliable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because it was not fixed throughly in the elementary school. So many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assessing the practical arts subject and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They used the computer programs of CMI(Computer Management Instruction) . Black Box. SA(Stand Along) for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It was recommended that valid and reliable criteria of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should provided, and on-the-job training on the developing and selecting a good tools for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should required. And. it was also required that the various codes of stating a summary of assessments should developed. and the various materials. equipments. and systems should provided for teachers.

  • PDF

Principles of Chemical Risk Assessment: The ATSDR Perspective

  • Johnson Barry L.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예방의학회 1994년도 교수 연수회(환경)
    • /
    • pp.405-411
    • /
    • 1994
  • Hazardous wastes released into the general environment are of concern to the public and to public health authorities. In response to this concern,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Response, Compensation, and Liability Act, as amended (commonly called Superfund), was enacted in 1980 to provide a framework for environmental, public health, and legal actions concerning uncontrolled releases of hazardous substances. The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was created by Superfund to address the public health issues of hazardous wastes in the community environment. Two key Agency programs, Public Health Assessments and Toxicological Profiles, are designed to assess the risk to human health of exposures to hazardous substances that migrate from waste sites or through emergency releases (e.g., chemical spills). The Agency's public health assessment is a structured process that permits ATSDR to identify which waste sites or other point sources require traditional public health actions (e.g.. human exposure studies, health studies, registries, health surveillance, health advisories). The ATSDR qualitative public health assessment complements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Superfund purposes, both assessments are sitespecific. ATSDR's toxicological profiles are prepared for priority hazardous substances found most frequently at Superfund sites. Each profile presents the current toxicologic and human health effects information about the substance being profiled. Each profile also contains Minimal Risk Levels (MRLs), a type of risk assessment value. This paper covers ATSDR's experience in conducting public health assessments and developing MRLs, and it relates this experience to recommendations on how to improve chemical risk assessments.

  • PDF

시각자극에 대한 실시간 및 비 실시간 주관적 평가와 생리반응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Real-Time and Off-Time Subjective Assessments and Physiological Responses for Visual Picture Stimulus)

  • 정순철;민병찬;민병운;김상균;오지영;김유나;김철중;박세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rove the capability of human sensibility evaluation based o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real-time subjective assessments. Three well-trained healthy huma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We measured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Heart Rate Variability(HRV), Galvanic Skin Response(GSR) and skin temperature under rest and visual stimulation conditions, respectively. Off-time subjective assessments were recorded before and after visual stimulations. Real-time subjective assessments were recorded during visual stimulations. The results of physiological responses and off-time and real-time subjective assessments were quantifi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ological responses and real-time subjective assessments was high (83%) for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visual stimul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off-time subjective assessments was high (83%) for the negative visual stimulation but was low (15%) for the positive visual stimulation. Although the current observation is preliminary and requires more careful experimental study, it appear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real-time subjective assessm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s is higher than that of the off-time subjective assessm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s.

  • PDF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 (Current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 이선희;홍초롱;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화하여, 평가도구의 사용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아동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의 하위영역은 작업수행, 일상생활활동, 교육, 놀이, 감각-지각, 운동 및 실행,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발달, 이학적 검사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0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는 초기 평가 시 소요되는 시간은 30~60분(41.9%)이 가장 많았으며, 재평가 주기는 3~6개월(41.0%)로 가장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 별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작업 수행은 Canadian Occupation Performance Measure(55.2%)을, 일상생활활동은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57.1%)을, 교육은 School Function Assessment(2.5%)를, 놀이 평가도구는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28.6%)을, 감각-지각은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94.3%)을, 운동 및 실행 평가도구는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42.9%)를, 인지 평가도구는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11.4%)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은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6.1%)을, 발달은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II(92.4%)를, 이학적 검사는 임상관찰(89.5%)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추후 평가 교육 및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Large strain nonlinear model of lead rubber bearings for beyond design basis earthquakes

  • Eem, Seunghyun;Hahm, Daeg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600-606
    • /
    • 2019
  •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the lead rubber bearing (LRB) isolation system to nuclear power plants are being carried out as one of the measures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Nuclear power plants with isolation systems require seismic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s, for which the seismic fragility of the structures, systems, and components needs be calculated, including for beyond design basis earthquakes. To this end, seismic response analyses are required, where it can be seen that the behaviors of the isolation system components govern the overall seismic response of an isolated plant. The numerical model of the LRB used in these seismic response analyses plays an important role, but in most cases, the extreme performance of the LRB has not been well studied. The current work therefore develops an extreme nonlinear numerical model that can express the seismic response of the LRB for beyond design basis earthquakes. A full-scale LRB was fabricated and dynamically tested with various input conditions, and test result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 better represents the behavior of the LRB over previous models. Subsequent seismic response analyses of isolated nuclear power plants using the model developed here are expected to provide more accurate results for seismic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s.

지진 취약성 등고선을 이용한 내진성능 평가 방법 (Fragility Contour Method for the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Generic Structures)

  • 정성훈;이기학;이도형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65-72
    • /
    • 2011
  • 기존의 확률적 지진 취약성 분석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노력의 과도한 소요로 인하여 내진 성능 평가에 사용되기에 많은 제약이 따라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획기적 수준의 신속성과 확장성을 갖춘 지진 취약성 분석 체계와 이를 실용화 하기위한 취약성 등고선을 개발하였다. 응답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광범위한 구조물의 최대 응답을 즉각적으로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조물의 주기와 강성에 따른 한계상태확률의 변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취약성 등고선을 도출하였다. 최대응답 등고선의 도출과 비교를 통해서 최대응답의 분포는 연성도 요구치로 나타내는 것이 변위의 절대값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예측곡선을 보여 주며, 구조물의 응답특성변수인 주기와 강도비가 최대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도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연성도를 내진성능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내진설계기준에서 한계상태변위로서 제시되는 층간변위비와 연성도 요구치 사이의 상호 변환 관계를 정의하였다. 예제 구조물의 내진보강 전략 수립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신뢰성 이론에 기반 한 내진 보강과 설계에 취약성 등고선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수학 서술형 평가의 어려움과 지도 방안: 고교 1학년 노력형 학생의 쓰기 활동 사례 연구 (Student difficulties in constructed-response mathematics assessments: A case study of writing activities for low-performi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

  • 배미희;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1호
    • /
    • pp.1-18
    • /
    • 2024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노력형 학생들이 (1) 수학 서술형 평가에서 보이는 어려움에 대한 분석과 (2) 이를 극복하기 위한 쓰기 활동 지도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술형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수행한 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15회에 걸쳐 수학 노트 쓰기 활동을 지도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서술형 평가에서 20가지의 어려움을 보였다. 이를 '수학적 어려움'과 '서술형 어려움' 등 2가지 범주로 분류한 결과 수학이라는 과목 특성에서 보이는 어려움은 수학 개념과 원리의 이해 부족, 수학 기호 사용의 어려움, 문장제 문항에 대한 어려움, 수학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오는 어려움이 있었다. 서술형 문항이라는 특성에서 보이는 학생의 어려움은 객관식 문항과는 다른 평가 방법에서 오는 어려움, 서술형 문항의 풀이 과정 기술의 어려움, 기타 심리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노력형 학생들이 서술형 평가에서 보이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학습전략의 일환으로 개별 수학 노트 쓰기 활동을 지도하였고 (1) 수학적 개념의 내면화, (2) 관계적 이해를 통한 정당화, (3) 다양한 풀이 시도, (4) 수학적 기호 사용, (5) 반성적 사고, (6) 심리적 방해 요소 극복으로 범주화하고 지도 과정 및 효과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문자와 식, 함수 영역에서 보이는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답형 문항을 바탕으로 (Analysis of Errors by Response Assessment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 조윤동;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281-30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서답형 문항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살펴보기 위하여 236개 학교 8007명의 답안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문항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 서답형 문항으로 내용 영역은 '문자와 식', '함수'이고 행동 영역은 '문제해결'과 '계산'이다. 두 문항 모두 주어진 문제 상황에 알맞은 식을 세우고 조건에 맞는 결과를 산출하는 문제이다. 분석 결과 각 문항에 따라 문제 상황을 파악하여 식을 세우고, 풀며, 결과를 기술하는 세가지 과정에서 다양한 오류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원인을 추론하여 교수학적 시사점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