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plants.

검색결과 648건 처리시간 0.032초

특용자원식물(特用資源植物)의 연구(硏究) - 한국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searches of Resource-plants for Special Use or Purpose - Based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

  • 이재선;김철우;배찬호;송재모;강효진;황석인;문흥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85-98
    • /
    • 2003
  • 한국임학회지 (1962년의 1호~2002년의 91권 6호)에 게재된 특용자원식물 관련 논문에서 식 음용식물, 약용식물, 사료식물, 조경식물, 섬유식물, 산업용식물 및 밀원식물로 분류하고 그 내용에 따라 입지환경, 생태, 생리, 번식, 조림(또는 무육, 재배), 유전 육종, 분류(또는 식별), 병 충해와 방제, 동물피해와 방제, 성분분석, 식생정보, 생물공학, 경영 경제 빛 총설로 나누었다. 총 1,434편의 발표 논문 중 유용식물자원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27.6%를 차지하는 396편이었고, 내용은 식생정보 60편(15.2%), 생리 56편(14.1%), 유전 육종 56편(14.1%), 번식 53편(13.4%) 및 생태 37편(9.3%)이었다. 조림(무육 재배)은 11편(2.8%) 으로 특용자원식물의 규모경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것은 경영 경제 분야가 6편(1.5%)인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었다. 연구대상 식물은 잣나무(42편), 아까시나무(23편), 밤나무(14편) 및 은행나무(14편) 순으로 높았고, 이 식물들과 관련한 연구내용은 번식, 생리, 유전 육종, 생태 및 병 충해 순이었다. 연구의 목적, 내용, 결과 및 대상식물 등을 고려하여 보면, 1) 초본식물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 2) 타산업 또는 학분 분야와의 공동연구, 3) 자원 보전적 연구 및 4) 연구주체자 간의 연구결과의 공유 등이 매우 요망된다.

  • PDF

속도 및 제어시스템의 부조화에 따른 조속기 에러 원인 분석 (The Analysis about Trouble of GOVERNOR)

  • 옥연호;오석영;김기원;변일환;고영환;임승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52-253
    • /
    • 2011
  • Many errors are broken out when hydro power plants are operating connected to electric power system. To minimize ripple effects of accidents, a hydro power plant is separated by a circuit breaker consisting of each protection equipment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a cause of abnormal events of emergency stop and therefore I take measures and suggest solutions for similar cases.

  • PDF

지표변위를 고려한 북극 동토 지역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최적 입지 분석: 캐나다 Athabasca 지역의 오일샌드 플랜트 사례 연구 (Analysis of Optimal Locations for Resource-Development Plants in the Arctic Permafrost Considering Surface Displacement: A Case Study of Oil Sands Plants in the Athabasca Region, Canada)

  • 김태욱;김영석;김세원;한향선
    • 지질공학
    • /
    • 제33권2호
    • /
    • pp.275-291
    • /
    • 2023
  • 지구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석유자원이 풍부한 영구동토 지역에서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토 지역에서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입지는 동토 활성층의 융해와 동결에 기인하는 지표변위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동토의 변위를 고려하여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의 입지를 선정한 연구 사례는 거의 없다.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 앨버타 주의 Athabasca 남부 지역에서 최적의 오일샌드 개발 플랜트 건설 입지를 선정하기 위해 지표변위를 비롯한 다양한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계층화 분석(Analytical Hierarchy Process)을 수행하였고, 동토 지역에서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 활동에 있어 지표변위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2007년 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획득된 시계열 ALOS PALSAR 영상에 Small BAseline Subset-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기법을 적용하여 지표변위 속도 정보를 구축하였고, ERA5 재분석 자료로부터 2000~2010년 기간에 대한 평균 기온, 지표온도, 지중온도 정보를 구축하였다. 도로 및 철도와 토지피복 공간정보는 각각 캐나다 연방 통계청과 북미환경협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토지피복, 지표변위, 도로 접근성을 가장 중요한 공간정보로 설정하여 수행한 최적 입지 분석 결과는 2010년 이후 건설된 오일샌드 플랜트 건설지와 비교하여 그 타당성이 확인되었고, 입지 적합도 평가에 대한 지표변위의 민감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동토 지역에서 최적의 자원개발 플랜트 건설지를 선정하는데 지표변위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국립 용현자연휴양림일대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National Yonghyeon Natural Recreation Forest, South Korea)

  • 변준기;신재권;정수영;김동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39
    • /
    • 2017
  • 본 연구는 국립용현자연휴양림일대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2014년 2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총 7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은 95과 280속 398종 3아종 50변종 9품종의 총 460분류군이며, 이 중 한국 특산식물은 총 6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V등급 7분류군, III등급 7분류군, II등급 12분류군, I등급에는 17분류군 등 총 43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8.5%로 나타났다. 조사된 47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 189분류군(41.1%), 약용 155분류군(33.7%), 목초용 177분류군(38.5%), 관상용 52분류군(11.3%), 목재용 17분류군(3.7%), 섬유용 12분류군(2.6%), 공업용 3분류군(0.7%)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은 식생은 양호하나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일어나고 있으며, 장기모니터링을 통해 관속식물상과 식생 동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 설문을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환경자원 가중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ight Analysis of Environmental Resourc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rough Expert Survey)

  • 서정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767-775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considering the qualitative aspects of environmental resources by calculating the weight of each environmental resource to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in Jeju.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xpert survey conducted in 2011 and the results of the expert survey conducted in 2011 and 2022, changes in experts' perceptions and implications over time were deriv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cent survey, the weight according to the relative importance was calcula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calculating the total amou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in Jej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otal environmental resource system by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for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environmental resourc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rvey conducted in 2011 to the survey conducted in 2022 to establish a total environmental resource management plan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resource category. Although the ranking between categories did not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natural and local resource environment decreas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living environment field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the importance of plants and wildlif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landscapes and topographic geology decreased, the importance of wetlands and caves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Gotjawal, natural monuments, and cultural history decreased. In the living environment category, the importance of water pollu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environment category, the importance of population increased and the importance of industry decreased. It is judged that most changes in item importance are largely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overall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ortance of plants, wildlife, wetlands, and caves with relatively high awareness and the importance of water pollution, which is emerging as a regional problem, have all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structural problems of population age.

애기장대의 염해 저항성 관련 유전자의 기능적 선별 (Functional Screening of Plant Genes Suppressed Salt Sensitive Phenotype of Calcineurin Deficient Mutant through Yeast Complementation Analysis)

  • 문석준;박수권;황운하;이종희;한상익;남민희;박동수;신동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3
  • 작물의 생산성 증가를 위해 염해 저항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물의 염해 저항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선별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애기장대의 cDNA 라이브리를 염해감수성 효모인 cnb 돌연변이체에 삽입하여 염해 감수성 표현형을 회복하는 콜로니를 선발하였다. 이 선별방법을 통하여 34종의 cnb 돌연변이체의 염해 감수성을 회복하는 콜로니를 선별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CaS와 AtSUMO1, AtHB-12 등 9종의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 중 CaS의 발현이 염해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염해 처리에 의해 CaS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S 발현억제 형질전환체는 100 mM 염처리에 의하여 뿌리생장이 저해되었다. 또한 150 mM 염처리에 의하여 CaS 발현억제 형질전환체의 잎에서 백화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aS 유전자가 효모와 식물에서 염해 저항성에 중요한 유전자임을 증명하였다.

하수슬러지 처리방법별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에 대한 연구(III) - 환경성 분석 중심으로 - (A Study on Environmental and Economic Analysis for Each Treatment of Sewage Sludge(III) - Result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

  • 배지수;이수영;조윤아;권영현;이동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3호
    • /
    • pp.5-13
    • /
    • 2016
  • 본 연구는 바이오가스화 처리 유 무에 따라 하수슬러지 처리방법별, 즉 소각, 탄화, 건조, 고형화 등에 대한 환경성 및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성 분석에 대하여, 소각 및 탄화로부터의 대기오염물질은 기준치의 1-34 % 수준으로 배출되고 있었다. 건조 및 고형화는 악취 기준치의 30 % 정도 배출되고 있었다. 나머지 오염물질들은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이하에서 관리되고 있었다. 고형화에서 부산물은 매립지 복토재로서 사용될 때, 일축강도가 기준치보다 못미쳐서 차량 통해서 불완전하고 토양유실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형화는 빈번한 공정 막힘과 운전 중단 등의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환경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혐기소화 이후 후처리로 소각 또는 건조하는 경우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후처리로 탄화처리하는 경우가 가장 타당성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형화 처리는 가장 경제적이었으나 환경적 및 운전성이 부족하여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Evaluation of Adaptability of Three Ever-green Perennial Herbaceous South Korea Native Plants under In-door Light Intensities

  • Sang Yeob Lee;Kyungtae Park;Bo Kook Jang;Cheol Hee Lee;Ju Sung C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7-67
    • /
    • 2020
  • Though there is an on-going need for the diversity of ornamental plants for in-door environment, their growth and stress adaptability in comparatively low light intensity condition require further studies for implementation. Here investigates the growth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of Farfugium japonicum (L.) Kitam, Liriope muscari (Decne.) L.H.Bailey and Acorus gramineus Aiton under several light intensities which were based on common in-door environment. The growth measurement of the plants included the quantity, length, width and SPAD value of the leaves. Calculated values of Fm/Fo, Fv/Fm, Pi_Abs, ETo/RC and DIo/RC were used as the parameters of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under 10, 50, 100 and 200 PPFD (μmol·m-2·s-1) light intensities. In-door plants group was put in a closed room allowing no other light sources for 10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put in glass-greenhouse for the same period. The overall in-door growth of L. muscar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light intens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even showed the higher SPAD values. Also, an increasing tendency of Pi_Abs value under 10 to 100 PPFD was observed implying that L.muscari could adapt well to in-door environment. Measurement of A. gramineus growth mostl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in the number of the leaves. Nevertheless,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showed no significant valu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the control groups and thus, A. gramineus might have possibility of successful adaptation to in-door environment. F. japonicum showed deficient growth in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compared to the control but, it seemed to be able to sustain ornamental value under in-door light intensities. Furthermore, Pi_Abs and DIo/RC values were increased under in-door light conditions suggesting potential adaptability of F. japonic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