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stant strain

검색결과 924건 처리시간 0.028초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의 내산성 변이주로의 개량과 starter로의 첨가효과 (Strain Improvement of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as a Acid-Resistant Mutant and Effect on Kimchi Fermentation as a Starter.)

  • 김영찬;정은영;김은해;정대현;이옥숙;권태종;강상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60
    • /
    • 1998
  • 김치로부터 Leu. paramesenteroides의 야생균주 Pw를 분리하여 내산성 변이균주 P-100으로 개량하였다. 야생균주 Pw는 HCI로 조정한 pH 4.0이상에서부터 증식하였으며, 유기산 혼합용액으로 조정한 pH 4.0에서는 증식하지 못하였다. 변이균주 P-100은 HCI로 조정한 pH 3.8 이상부터 증식하였으며, 유기산 혼합용액으로 조정한 pH 4.0에서부터 증식하였다. 내산성으로 개량한 변이균주 P-100과 야생균주 PW를 starter로 김치에 첨가하여 1$0^{\circ}C$에서 발효시킨 결과를 보면, 무첨가군에 비해 야생균주 Pw 첨가군은 2.25배, 변이균주 P-100 첨가군은 2.67배 정도의 산패지연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의 변화에서도 숙신산 및 아세트산 함량이 변이균주 P-100 첨가군과 야생균주 Pw 첨가군에서 무첨가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고, 젖산의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에 있어서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 숙성 21일째 첨가군에서 무첨가군보다 매우 높은 기호도 점수(4.0)를 얻었다. 김치 발효 기간중 Leuconostoc 속 균수는 내산성 변이균주 P-100 첨가군, 야생균주 Pw 첨가군, 그리고 무첨가군의 순이였으며, Lactobacillus 속 균수는 이와 반대를 보여 lactobacillus 속 균이 생육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상 젖산 발효균으로서 산 생성 수율이 낮고 풍미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내산성 변이균주 Leu. paramesenteroides P-100을 starter로 첨가함으로써 발효말기까지 Lac. plantarum과 경쟁적으로 생육이 가능하여 김치 가식 기간의 연장과 함께 기호도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Pleurotus속 균주들의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 특성 (Characterization of Mitochondrial Plasmids from Pleurotus spp.)

  • 김은경;구용범;차동렬;하영칠;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7
    • /
    • 1993
  • 백색 부후균인 plaurotus ostreatus 의 4가지의 균주로부터 각각 10.2 kb 와 7.2 kb (NFFA 2), 두 종류의 10.2 kb (NFFA 4001) 11.2 kb (NFFA 4501), 10.2kb 와 11.2 kb(KFCC 11635) 크기의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들을 분리해 내었다. NFFA 2 의 변종인 NFFA 2m1 과 NFFA 2m2 에서는 이들 플라스미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분별 원심분리에 의해 얻은 미토콘드리아에서 핵산을 추출하여 agarose gel 에서 전기영동시키면 플라스미드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roteinase K 를 처리하고 핵산을 추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이들 플라스미드가 관찰되었는에, 이는 플라스미드상에 단백질인 결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Proteinase K 를 처리한 플라스미드 DNA 와 exonuclease 를 반응시킨 결과, 이들 플라스미드들은 5'말단에 단백질이 결합된 성형 이중가닥 DNA의 구조를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각 플라스미드들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을 수행한 결과 최소 3가지 종류의 플라스미드들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중 한 그룹 (group I) 은 모든 P. ostreatus 균주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Pleurotus 속의 5가지 다른 종(P. cornucopiae, P. florida, P. pulmonarius, P. sajor-cuja, P. spodoleucus) 의 균주들로부터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들을 분리하였다. 이들은 한균주당 1-4 개 까지의 플라스미드를 가지며, 플라스미드의 크기는 7.2 kb-14kb 범위에 있었다. P. ostreatus 의 NFFA 2 의 10.2 kb(group I) 플라스미드와 hybridization 을 수행한 결과 P. cornucopiae ASI 2011을 제외한 다른 모든 균주들이 유사한 염기서열의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 PDF

연안 해수에서 분리된 Vibrio mimicus K-1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ibrio mimicus K-1 Isolated from Coastal Sea Water)

  • 고병호;이원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2-298
    • /
    • 1994
  • 식중독 원인균으로 알려진 Vibrio mimicus(V. mimicus)의 분포 상태와 이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1월부터 9월까지 민락동과 광안리 해수욕장 부근의 해수를 채취하여 V. mimicus의 월별 분포 상태를 실험하였으며, 여기서 분리된 균주 중에서 항생제 내성이 강한 균으로 분리, 동정된 V. mimicus K-1의 생리적 성질과 배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온이 $16.3^{\circ}C$인 4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하여 8월까지 검출되었으나, 수온이 $15^{\circ}C$ 이하인 겨울철(1, 2, 3월)에는 전혀 검출이 되지 않았다. 분포 정도는 최소 0.4(MPN/100ml)에서 최고 70((MPN/100ml)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V. mimicus K-1은 $37^{\circ}C$, pH 7.5, 그리고 염도 $0.5\%$에서 각각 최대의 증식율을 보였다. 그리고 항생제 (colistin, erythromycin, bacitracin, tetracycline, penicillin)에 대해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자외선(30W, 50m)에 대해서는 상당히 내성이 약했으며, 70초간 조사 후에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열에 의한 치사율은 $50^{\circ}C$에서 5.7분, $60^{\circ}C$에서 2.1분, 그리고 $70^{\circ}C$에서는 0.7분 만에 최초균수의 $90\%$이상이 사멸하였다.

  • PDF

제주도 양식넙치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의 약제내성 전이성 plasmid (Transferable R plasmid of Streptococci Ioslation from Diseas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김종훈;이창훈;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76
    • /
    • 2006
  • 제주도내 양식넙치 병어에서 분리된 연쇄상구균 75균주의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경향 및 내성균 출현빈도를 조사하고 다재내성 균주로부터 전이성 R plasmid를 검출하였다. 넙치 병어에서 분리된 모든 연쇄상구균은 flumequine (AR)과 oxolinic acid (OA)에 대하여 저항성이었으며, 그 중 30균주 (41%)는 ampicillin (ABPC), doxycycline (DOXY), erythromycin (EM), norfloxacine (NFLX), oxyteracycline (OTC)의 약제에 대하여 다양한 조합으로 동시내성을 나타내었다. AR과 OA를 포함하여 4~6약제에 대하여 다재내성을 보인 균주는 26주였다. 연쇄상구균의 다재내성 전이에 관여하는 R plasmid인 pST9와 DNA구조가 유사한 plasmid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60 분리 균주에 대한 colony 혼성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3 분리균에서 혼성화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생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양치와 고등어에서도 양성반응이 나타남으로써 동일 DNA구조의 plasmid가 분포함을 시사하였다. 혼성화 양성반응을 보인 13균주로부터 전이성 R plasmid를 검출하기 위하여 conjugation을 실시하였다. OTC, DOXY, EM에 대한 항균제 내성 marker인 Otc, Doxy, Em은 R plasmid에 의하여 수용균인 Streptococcus sp.로 전이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들 전이성 R plasmid를 보유하고 있는 연쇄상구균들이 동일 분류군에 속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 pattern을 분석하였다. 내성균주들의 RAPD pattern은 모두 유사하였으며, Streptococcus iniae type의 RAPD pattern (Kim and Kim, 2003)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pST9와 동일 DNA 구조의 R plasmid는 S. iniae에서의 출현빈도가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국내에서 선발한 Bacillus thuringiensis sp. aizawai 균주의 주요 나방류 해충에 대한 살충 활성 및 배양특성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Major Lepidopteran Pests and Culture Condi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sp. aizawai collected in Korea)

  • 이상계;최기현;이영수;오경석;오정훈;최성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37
    • /
    • 2006
  • 충북, 충남, 강원도 일대에서 채취한 토양시료로부터 Bt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균주 중 세포내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형성한 10개의 균주를 분리하여 균체생산수율과 살충력이 뛰어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서 배양 및 생물검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력은 물론이고,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에 대한 살충력도 상대적으로 높고, 배추좀나방 저항성 계통에 대한 살충력이 우수하면서 균체량과 활성포자수가 많은 GB-413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의 상업적 생산 적용을 위해 배양특성 및 배양 공정 최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소원인 초기 포도당 농도를 낮추어 포자형성이 유도되도록 배지조성을 변경하고 배양 중에 탄소원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배양공정을 변경한 결과, 포자형성율과 활성포자수가 증가하였고 포자형성시간 및 배양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살충확성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렇게 최적화된 생산배지 및 공정을 5톤 발효조 배양에 최종 적용한 결과 유사한 배양결과를 얻어 상업화생산을 위한 대량배양의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Xylanase from Alkalophilic Paenibacillus sp. 12-11

  • Zhao, Yanyu;Meng, Kun;Luo, Huiying;Yang, Peilong;Shi, Pengjun;Huang, Huoqing;Bai, Yingguo;Yao, 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8호
    • /
    • pp.861-868
    • /
    • 2011
  • A xylanase gene, xyn7c, was cloned from Paenibacillus sp. 12-11, an alkalophilic strain isolated from the alkaline wastewater sludge of a paper mill,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full-length gene consists of 1,296 bp and encodes a mature protein of 400 residues (excluding the putative signal peptide) that belongs to the glycoside hydrolase family 10. The optimal pH of the purified recombinant XYN7C was found to be 8.0, and the enzyme had good pH adaptability at 6.5-8.5 and stability over a broad pH range of 5.0-11.0. XYN7C exhibited maximum activity at $55^{\circ}C$ and was thermostable at $50^{\circ}C$ and below. Using wheat arabinoxylan as the substrate, XYN7C had a high specific activity of 1,886 U/mg, and the apparent $K_m$ and $V_{max}$ values were 1.18 mg/ml and 1,961 ${\mu}mol$/mg/min, respectively. XYN7C also had substrate specificity towards various xylans, and was highly resistant to neutral proteases. The main hydrolysis products of xylans were xylose and xylobiose. These properties make XYN7C a promising candidate to be used in biobleaching, baking, and cotton scouring processes.

온도감수성 대장균의 형질전환조건 및 Ampicillin 내성의 표현 (Transformation Conditions and Ampicillin-resistant Expression of E. coli Ts-mutant)

  • 진덕희;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2
    • /
    • 1987
  • 온도감수성 대장균 M5248 균주에 있어서의 plasmid $pPL-\lambda$와 pAS1을 $30^{\circ}C$에서 형질전환 시킬 때의 조건을 조사한 바 배양시간에 있어서는 균주의 대수 증식기 중반인 2시간 30분 배양시, 즉 cell농도는 $4.5\times10^7\;cells/ml$이며 파장 590nm에서의 흡광도가 0.45 일 때 plasmid $pPL-\lambda$와 pAS1 모두 형질전환율은 $2.4\times10^6$$1.5\times10^{-6}$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 고 competent cell $200{\mu}l(9\times10^{-6}cell)$에 대하여 plasmid 농도가 $6.4{\mu}g/ml$ 형질전환율이 $4.4\times10^{-6}$로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때 calcium chloride만으로 처리한 것 보다 calcium chloride와 thymidine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2배 정도 더 많은 transformant를 유도하였다. Ampicillin 내성유전자는 LB배지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2시간 동안 배양했을 때 그 형질이 표현되었다.

  • PDF

피부사상균 Microsporum canis 및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물질 탐색 (Investigation of Active Antifungal Compound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박미진;이수민;곽기섭;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2-78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백정유의 식물성 의약품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피부사상균인 Microsporum canis (KCTC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에 대한 국내산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을 평가하고, 활성분획의 주성분을 GC/MS로 확인하였다. 편백정유는 M. canis보다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천 희석법에서 5,000 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M. canis와 T. mentagrophytes 모두 균사 생장을 못하였다. TLC를 이용한 편백정유 분획에서는 B와 C부분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B와 C의 하부분획에서는 C-2가 강한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항진균활성을 보이는 C-1의 주성분은 ${\alpha}$-terpineol이고, C-2의 주성분은 elemol, cedrol, eudesmol임을 GC/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만 제초제 저항성 콩 개발 (Development of herbicide tolerant soybean using Agrobacterium tumefaciens)

  • 이기종;박홍채;이부영;이경렬;김명식;우희종;진용문;권순종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69-74
    • /
    • 2008
  • 본 실험은 콩 [Glycine max (L.) Merill]의 자엽마디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을 확립하고 그 방법을 통해 제초제 저항성 콩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형질전환에 적합한 콩을 찾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재배품종을 대상으로 재분화율을 조사한 결과 국내품종은 단백콩과 은하콩이 국외품종은 'Jack'과 'Peking'이 높은 재분화율을 나타내 콩의 형질전환에 적합한 품종으로 선발하였다. 콩의 자엽마디에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bar)를 포함하고 있는 pCAMBIA3301 벡터로 형질전환한 아그로박테리움 (KYRT1, EHA105)을 접종하여 형질전환하였다. 콩의 자엽마디와 아그로박테리움을 공배양한 후 GUS발색 반응을 통해 절편체로의 T-DNA도입율은 최대 60%에 이르렀으나 형질전환율은 콩의 품종과 아그로박테리움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Jack품종의 자엽마디를 아그로박테리움 EHA105를 이용하여 형질전환하였을 때에 가장 높은 3%의 형질전환율을 나타내었다. 순화된 형질전환체 중 GUS발색 반응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식물체들을 PCR을 이용하여 검정하였으며, 제초제 (Basta(R))살포와 Southern분석을 통해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가 도입되어 발현되는 형질전환체를 확인하였다. 현재 후대로의 유전양상과 도입된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하는지의 여부를 실험중이다.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Lactobacillus brevis SBB07의 분리 및 잠재적 프로바이오틱스 특성 분석 (Isolation of Biogenic Amine Non-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SBB07 and Its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 양희종;정수지;정성엽;류명선;정도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8-77
    • /
    • 2018
  •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유산균의 선별을 위해 순창군에서 재배된 베리류 및 엑기스, 식초 등으로부터 42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주를 대상으로 세포외 효소 활성,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분석을 실시하여 5종의 분리주를 1차 선별하였다. 분리주를 대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여부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SBB07을 선별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Lactobacillus brevis SBB07로 명명하였다. SBB07의 프로바이오틱스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효소 생산 여부,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항생제 내성을 조사하였고, pH 2.0에서의 내산성 및 0.5% oxgall을 함유한 내담즙성에서 각각 86% 이상과 54%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60^{\circ}C$에서도 113%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내열성도 우수하며 다양한 항생제 내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프리바이오틱스 이용가능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GOS의 이용 능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FOS와 inulin의 이용 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SBB07은 세포외 효소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하고, 내담즙, 내산성, 내열성 및 항생제 내성을 지니며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 능력도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높은 유산균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