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n composition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여름철 냉감성 의류소재 개발을 위한 비스코스 레이온 중심의 직물 제조 및 PCM 가공 (Preparation of Rayon Filament based Woven Fabric and PCM Treatment for Developing Cool Touch Summer Clothing Material)

  • 홍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26-332
    • /
    • 2014
  • To develop cool touch feeling fabrics for summer clothing material, it was manufactured several compositions of woven fabrics, having rayon multi-filament yarn (non-twisted) as warp and various kinds of yarn, such as viscose rayon multi-filament yarn (twisted), tencel$^{(R)}$ spun yarn, PET high absorbance quick dry filament yarn, and PET based rayon-like yarn, as weft. After preparing the fabrics, basic properties of the fabrics were investigated, such as air-permeability, tensile strength, absorption rate, drying rate, etc. Also, surface warm / cool sensations of the woven fabrics were assessed by Qmax Warm / Cool Touch Tester. It was observed that the fabrics composed of viscose rayon multi-filament yarn (warp) and PET high absorbance quick dry filament yarn (weft) showed excellent surface cool touch sensation-the highest Qmax value. This is because the fabric having flat shaped PET high absorbance quick dry filament shows the largest contact area with Qmax measuring plate. And, the fabric also showed superior high absorbance and quick dry property as expected. In addition, we treated phase change material (PCM) on the surface of the fabric composed of viscose rayon multi-filament yarn (warp) and PET high absorbance quick dry filament yarn(weft) to improve the cool touch feeling. However, the surface cool touch feeling was impaired by resin treated with PCM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한국산(韓國產) 외래수종(外來樹種)의 목재해부학적(木材解剖學的) 식별(識別) (Anatomical Identification of the Woods of Exotic Tree Species Grown in Korea)

  • 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45
    • /
    • 1970
  • 본연구(本硏究)는 경제적(經濟的)으로 중요(重要)한 한국산외래수종(韓國產外來樹種)의 목재(木材)에 관(關)한 식별(識別)을 위(爲)해서 수행(遂行)되었는데 사용(使用)한 시험목(試驗木)은 광양(光陽)과 수원지방(水原地方)에 생장(生長)한 20개수종(個樹種)을 택(擇)하였다. 육안적특성(肉眼的特性)의 조사항목(調査項目)은 주(主)로 연륜(年輪), 춘재(春材)로부터 추재부(秋材部)로의 이행(移行), 관공형(管孔型)과 배열(排列), 변심재(邊心材), 재색(材色), 향기(香氣)와 미(味), 수지구(樹脂溝), 유조직(柔組織)과 수선등(髓線等)을 관찰(觀察)하였고 조사(調査) 하였으며 현미경적특징(顯微鏡的特徵)은 도관(導管), 가도관(假導管), 대섬유(大纖維), 수선유세포(髓線柔細胞), 수직유세포(垂直柔細胞) 및 세포간구(細胞間溝)의 요소(要素)와 그들의 구성상태(構成狀態)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징(特徵)을 관찰(觀察)하였고 측정(測定)하였다. 이상과 같이 관찰(觀察)및 측정(測定)된 결과(結果)는 종합(綜合)되었고 이들 결과(結果)를 바탕으로 하여 목재식별(木材識別)을 위(爲)해서 육안적검색표(肉眼的檢索表)와 현미경적검색표(顯微鏡的檢索表)를 원문(原文)과 같이 작성(作成) 하였다.

  • PDF

조선업의 도장 작업시 취급하는 도료중 유해물질 성분에 관한 연구 (Chemical Composition of Painting Materials used in Some Korean Shipyards)

  • 신용철;이광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6-172
    • /
    • 1999
  • Potential chemical hazards encountered in painting operation of four shipyards and a ship-repair shop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for 307 paints, 50 thinners and 34 binder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It was shown that various organic solvents such as aromatic hydrocarbons, aliphatic hydrocarbons, ketones, alcohols, glycols, glycol ether acetates and esters were contained in painting materials. Of these solvents, xylene was found in the largest number of painting materials. sixty percent of the thinners contained xylene in the contents of 20-100%. Other most frequently found solvents were 1-methoxypropanol, 1-methoxypropyl acetate, n-butanol, methyl isobutyl ketone, toluene, isopropanol, and n-butyl acetate, etc. Glycol ethers such as 2-methoxyethanol (2-ME), 2-methoxyethyl acetate (2-MEA), 2-ethoxyethanol (2-EE), 2-ethoxyethyl acetate (2-EEA) and 2-butoxyethanol (2-BA) were regarded as having the potential to cause adverse reproductive effects, embryotoxic effect and hematotoxic effects, and were found in some epoxy panting materials. Coal tar pitch was included in some paints(13%) where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s) could be contaminated. Inorganic pigments such as lead chromate and zinc potassium chromate were found in some paints (8%). The epoxy resin based paints, which may contain isocyanates such as toluene diisocyanates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s causing potential sensitization and asthma to upper respiratory organ, were mostly used in the shipyards. The constituents in the MS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sult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detector: minor constituents or impurities were omitted in many MSDS. In conclusion, xylene was the most frequent organic solvent in painting materials, and glycol ethers, including 2-ME, 2-MEA, 2-EE, 2-EEA and 2-BA, were found some products. Also, painting workers may be exposed to PAHs, lead, chromate, isocyanates, organic tin and other various chemicals. The compositions of chemicals in painting materials were variable significantly, and the hazards were changed. These facts should be considered 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hazards.

  • PDF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with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 이종훈;나중현;이대회;김명덕;공정호;이영관;남재도
    • 폴리머
    • /
    • 제27권6호
    • /
    • pp.569-575
    • /
    • 2003
  •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PP)과 무기나노입자인 몬모릴로나이트 (MMT)의 나노복합재료에 할로젠 계열의 난연제 데카브로모다이페닐옥사이드 (DBDPO)와 클로로파라핀 왁스 (CPW)를 철가하였을 때의 난연특성 향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고분자 수지의 난연특성은 난연제의 첨가뿐만 아니라 나노복합화를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는데, 콘 칼로리미터와 한계산소지수 (LOI)의 측정을 통하여 난연제와 무기나노입자의 함량에 따른 폴리프로필렌/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재료의 난연특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 DBDPO와 CPW를 첨가하였을 때, 난연특성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CPW가 DBDPO보다 약간 우수한 난연특성을 보였다. 한계산소지수 측정결과 폴리프로필렌에 난연제를 첨가하면 폴리프로필렌의 연소특성이 가연성 영역 (LOI<19)에서 난연성 영역 (LOI>20)으로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에 몬모릴로나이트를 첨가하여 나노복합화를 하였을 때의 난연특성이 3배 이상 향상되었는데, 이로부터 난연제를 단순히 혼합하는 것보다 몬모릴로나이트를 나노복합화한 후 난연제를 첨가하는 것이 난연특성의 향상에 휠씬 유리하였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암석표준시료에 대한 납 동위원소 분석 (Lead isotope measurement of geological reference materials using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 이효민;조희제;김태훈
    • 분석과학
    • /
    • 제33권6호
    • /
    • pp.245-251
    • /
    • 2020
  • 납은 암석의 연대측정, 지각의 진화 및 오염원의 기원 추적과 같은 지구화학적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지는 원소로, 이를 위해선 고순도 원소 분리가 선행되어져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납을 분리해 내는데 있어서 용리액의 농도가 6M HCl 과 8M HCl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 비교 검토 하였다. 그 결과, 6M HCl의 경우 8M HCl 보다 용리액을 다량으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납 분리에 있어서는 효율적이지 않았다. 그리고 납 분리법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납 동위원소 표준물질(NIST NBS981)과 암석표준시료(BCR-2, GSP-2, JG-1a)의 납 동위원소비를 열이온화질량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기존 보고 값과 오차 범위 내에서 잘 일치하였다.

다양한 조성의 혼용 폴리올에 기초한 접착력 및 굴곡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합성 (Synthesis of UV Curable Polyurethane Adhesives Based on Various Compositions of Mixed Polyol with Improved Adhesion and Flexural Properties)

  • 이원영;박수용;김구니;정일두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4호
    • /
    • pp.137-1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신발 및 의류용 접착제로 접착력과 굴곡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인 poly(tetramethylene adiphate glycol) (PTAd)와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를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1,4-butandiol (1,4-BD), 2-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dibutyl amine (DBA)와 함께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으며, 폴리올을 병용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열적·기계적 특성, 접착력 및 굴곡성을 검토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는 -70~-40 ℃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PTAd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 분해온도, 인장강도, 접착력 및 내열성이 증가하였고 반대로 신장률, 내수성 및 굴곡성은 감소되었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PTAd와 PTMG 비율이 5:5일 때 높은 접착력과 굴곡성을 나타내었다.

Flowable 및 microfill 복합레진으로 충전된 제 5급와동에서 load cycling 전,후의 미세변연누출 비교 (MICROLEAKAGE OF MICROFILL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IN CLASS V CAVITY AFTER LOAD CYCLING)

  • 강석호;김오영;오명환;조병훈;엄정문;권혁춘;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142-149
    • /
    • 2002
  • Low-viscosity composite resins may produce better sealed margins than stiffer compositions (KempScholte and Davidson, 1988: Crim, 1989). Plowable composites have been recommended for use in Class V cavities but it is also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high rates of shrinkage.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comparing elastic moduli and leakage, the microfill had the least leakage (Rundle et at. 1997) Furthermore, in the 1996 survey of the Reality Editorial Team, microfills were the clear choice for abfraction le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6 compostite resins (2 hybrids, 2 microfills, and 2 flowable composites) with and without load cycling. Notch-shaped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surface of 180 extracted human upper premolars on cementum margin.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n-load cycling group (group 1) and load cycling group (group 2) of 90 teeth each. The experimental teeth of each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subgroups of 15 samples. All preparations were etched, and Single bond was applied. Preparations were restored with the following materials (n=15) : hybrid composite resin [Z250(3M Dental Products Inc. St. Paul, USA), Denfil(Vericom, Ahnyang, Korea)], microfill [Heliomolar RO(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Micronew(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flowable composite[AeliteFlo(Bisco Inc. Schaumburg, IL, USA), Revolution(Kerr Corp. Orange, CA, USA)]. Teeth of group 2 were subjected to occlusal load (100N for 50,000 cycles) using chewing simulator(MTS 858 Mini Bionix II system, MTS Systems Corp. Minn. USA). All samples were coated with nail polish 1mm short of the restoration, placed in 2% methylene blue for 24 hours, and sectioned with a diamond wheel. Enamel and dentin/cementum margins were analyzed for microleakage on a sclale of 0 (no leakage) to 3 (3/3 of w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Kruscal-Wallis One way analysis, Mann-Whitney U-test, and Student-Newmann-Keuls method. (p = 0.05) Results : 1. There was significantly less microleage in enamel margins than dentinal margins of all groups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six composite resin in enamel margin of group 1. 3. In dentin margin of group 1, flowable composite had more microleakage than others but not of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x composite resin in enamel margin of group 2. 5. In dentin margin of group 2, the microleakage were R>A =H=M>D>Z.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6. In enamel margins, load cycling did not affect the marginal microleakage in significant degree. 7. In enamel margins, load cycling did affect the marginal microleakage only in Revolution. (p<0.05).

Smart Chromatic Technology 기반 복합 레진의 폴리싱 이후 표면 거칠기 및 우식원성 미생물 부착 (Surface Roughness and Cariogenic Microbial Adhesion after Polishing of Smart Chromatic Technology-based Composite Resin)

  • 김해송;이주현;김해니;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5-74
    • /
    • 2023
  • 본 연구는 "Smart chromatic technology"를 기반으로 새롭게 개발된 복합 레진인 Omnichroma의 폴리싱 이후 표면 거칠기와 우식원성 미생물 부착을 서로 다른 필러 조성을 가진 기존의 2가지 복합 레진과 비교 평가하였다. 세 종류의 복합 레진: Omnichroma (nano-spherical), Filtek Z350XT (nano-fill), Tetric N-Ceram(nanohybrid)을 사용하여 한 군 당 48개, 총 144개의 시편을 디스크 형태로 제작한 후, 텅스텐 카바이드 버를 이용하여 피니싱 처리하였다. 이후 대조군과 SofLex 디스크, PoGo 버에 따른 3가지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표면 관찰은 원자 힘 현미경과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식원성 미생물 부착은 Streptococcus mutans를 시편에 24시간 배양 후 표면에 부착한 집락 형성 단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Omnichroma는 피니싱 처리만으로도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었으며, 다른 두 가지 복합 레진보다 유의하게 낮은 표면 거칠기를 보였다. 그러나, 폴리싱 후에는 연마 방법과 상관없이 세 종류의 복합 레진의 표면 거칠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 종류의 복합 레진 모두에서 SofLex 하위군은 대조 하위군에 비해 훨씬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냈다. 그러나, Tetric N-Ceram을 제외한 다른 두 복합 레진에서 대조 하위군과 PoGo 하위군의 표면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미생물 부착은 세 종류의 복합 레진 각각의 하위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Omnichroma는 다른 두 종류의 복합 레진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은 미생물 부착을 보였다.

FRP선박의 일괄 재처리 방법의 개선 (Developing Advanced Total Recycling Method of FRP Boats)

  • 이승희;윤구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3-59
    • /
    • 2013
  • 1990년대 이후, 중소형 폐 선박으로부터 생성되는 FRP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층상으로 배열된 로빙층과 매트층을 분리하는 것은 친 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 재활용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효율적으로 로빙층과 매트층을 분리하는 기술과 로빙층은 매트층에 비해 얇은 두께로 존재한다는 이유로 인해 로빙층을 매트층과 분리할 때 기계가 자동적으로 층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방법은 아직 개발이 이루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의 구성비가 다른 두 층의 화학적 성질의 차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층간 인식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다양한 로빙층의 구성에도 자동적으로 절단위치를 분석하는 절단시스템과 최종생산물의 유용성을 확보할 수있는 다양한 크기의 유리섬유를 생산할 수있는 세단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광학적 인식기술과 유연한 절단기술 그리고 다양한 세단기술이 융합된 폐 FRP의 분리 공정의 단순화와 자동화를 달성하게 되었다.

GC/MS에 의한 뇨 중 Phytoestrogen과 Estrogen의 동시 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Urinary Phytoestrogens and Estrogen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양윤정;이선화;정봉철
    • 분석과학
    • /
    • 제11권5호
    • /
    • pp.374-385
    • /
    • 1998
  • 주로 음식물의 섭취에 기인하는 phytoestrogen은 말초 신경 및 암 세포내에서 estrogen의 생성을 저해하거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estrogen-dependent cancer의 잠재적인 항 증식 물질(antipromotional compound)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estrogen 대사 과정에 대한 phytoestrogen의 관련성 여부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hytoestrogen과 estrogen 대사체들을 동시에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Serdolit AD-2 수지를 이용한 고체상 추출과 효소 가수분해, 액체-액체 추출 방법을 이용한 전처리 과정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MSTFA/TMCS 혼합액에 의해 trimethylsilyl(TMS) ether 형태로 유도체화 한 후 GC/MS의 SIM(selected ion monitoring) 방법으로 동시에 분석, 정량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였다. 본 실험 방법의 정확도와 정밀도는 within-a day 및 day-to-day 시험으로 평가되었으며 회수율과 검출 한계는 각각 71.96~105.66%, 2~4 ng/mL 이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 성인 남녀의 뇨중에 존재하는 17종의 estrogen과 5종의 phytoestrogen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남성과 여성의 뇨중 phytoestrogen과 estrogen의 농도 분포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