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 population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7초

상주인구와 주간인구의 계층구조 비교분석 : 서울을 중심으로 (Social Stratification of the Great Seoul Area: A Comparative Study Using Two Types of Population)

  • 은기수
    • 한국인구학
    • /
    • 제24권1호
    • /
    • pp.41-65
    • /
    • 2001
  • This study aims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stratification in the Great Seoul area using two types of population. One type of population is a resident population(常住人口), and the other is a daytime population주간인구(晝間人口). In most demographic studies, only resident population have been considered.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daytime population. However, a resident population have a character of night population야간인구(夜間人口). In fact, most people move and work in the areas where they do not live in everyday life in the contemporary period, which indicates that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a resident population. This study reveals that a number of people, on the one hand. come together to the downtown area to work or study while they live in other areas. On the other hand, resident population in downtown area do not move so much. When we analyze the social stratification structure of the Great Seoul area using a resident population, we find that the resident population of downtown area consist of those of low social status. On the contrary, the daytime population of downtown area in Seoul consist of those of high social status. This means that most people of high social status live in the southern area of Seoul or outside Seoul, but make a living in downtown area in everyday life. From this study, we find that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is as important as that of a resident population. The more residence becomes separate from work place, the more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grows in making policy as wall as in demographic studies. This study implies tha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daytime population i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Studies.

  • PDF

지역별 요양기관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관련 요인 (Population-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 이선경;조은성;윤석준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32
    • /
    • 2013
  • Few public health researchers have paid research attention to the lo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Previous studies were published in geography journals, and relied on limited data in terms of geographic regions and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utilized nationwide data covering 8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We obtained data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nd National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resident, daytime, university-graduate population, and the population of different age groups (fewer than 15, 15~64, 65 or more) were compared to understand their relative association with the lo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Medical clinic, dental clinic, oriental medical clinic, and pharmacy, all of which are almost completely operated by private sector,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population.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s, which are operated by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 had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Daytime population and university-graduate population, rather than resident population, were more correlated with the location of medical clinic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population of 15~64 age group and the lo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were greater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daytime and university-graduate popul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resident population to explain the location of medicalrelated facilities. The results also suggests that the population of age groups (especially, 15~64) might be one of important influence factors in the lo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 PDF

공식인구통계들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fficial demographics)

  • 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1호
    • /
    • pp.99-108
    • /
    • 2017
  • 대한민국 공식인구통계는 인구센서스와 장래인구추계통계와 주민등록인구통계, 세 가지가 있다. 이들 중에 장래인구추계통계는 5년마다 시행되는 인구센서스통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본 연구는 장래인구추계통계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인구조사과정의 오류를 발견하기위하여 인구통계데이터들의 이상치와 특이값들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식인구통계의 신뢰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주민등록인구 통계에서는 0세에서 12세 사이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인구가 줄어들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없던 인구가 생겨나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래인구추계에서는 18세에서 28세 사이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새로운 인구가 생겨나서 인구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주민등록인구에서는 2009년에서 2010년 사이에서, 장래인구추계에서는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 전 연령대에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새로운 인구가 생겨나서 인구가 증가하는 기이한 현상을 보였다. 두 공식인구통계의 인구조사가 보다 정확한 검증을 통하여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노인 인구통계에 대한 정학한 조사에 보다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행정정책 수립에 보다 높은 효율성을 제공할 것이다.

인구총조사에 주민등록 행정자료 활용을 위한 자료매칭연구 (Data Matching Research to Use Resident Registration Administrative Data in the Population Censuses)

  • 이내성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9권2호
    • /
    • pp.119-149
    • /
    • 2008
  • 다변하고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노인인구의 증가와 사생활보호의식의 강화 등의 조사환경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기존방식의 인구총조사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덴마크와 핀란드 등 북유럽 선진통계국가의 행정자료를 활용한 경험사례에 비춰볼 때, 우리나라도 주민등록 행정자료 등을 활용한 등록센서스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행정등록자료에 기반을 둔 등록센서스는 조사비용의 절감과 조사의 정확성, 신속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정자료 간 연계를 통해 고급통계를 생산하여 다양한 통계수요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인구총조사 개선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정보화시대의 센서스에 대비하기 위해 주민등록 행정자료와 2005년 인구총조사 결과를 연계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 인구총조사에 적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개인의 비밀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실증적인 연구가 되기 위해 부산해운대구와 충북 보은군을 대상으로 동일주소 내의 나이, 성별을 매칭값으로 연계성을 살펴보고, 매칭율이 매우 낮게 나타난 지역(충북 보은군 회남면)을 대상으로 인구총조사와 주민등록 행정자료를 직접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2005년 인구총조사 결과와 비교성을 높이기 위해 주민등록 행정자료를 출생 및 사망, 전출 및 전입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2005년 11월 1일 기준으로 자료를 생성하였다.

  • PDF

도시녹지공간의 양적 목표치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 - 수원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Method for Establishment of Quantitative Target of the Urban Greenspace - in the case of suwon city)

  • 이동근;성현찬;윤소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8-170
    • /
    • 1998
  • In this study, we divide greenspace in Suwon city into three parts, that is, the conservation part, the maintenance part and the creation part by considering the quantitative aspect of greenspace and the present targets. To do it, two steps are taken. Firstly, assuming that the target year is 2007, the final target of greenspace area is established by combining targets presented in present state survey, the evaluation of resident perception and the future population estimates. The target of greenspace area in present state survey is 7,887,062$m^2$+$\alpha$ and that of greenspace area demanded in the evaluation of resident perception is 8,242,419$m^2$. Demand of greenspace area based on population estimates is 4,227,513$m^2$. When the greenspace needed in the city is added, the target may be more than 8,242,419$m^2$ which is demanded in the evaluation of resident perception. Outcome of the present state survey, 7,887,062$m^2$ + $\alpha$, is considered to be enough to accomodate the greenspace area demanded in the evaluation of resident perception and the population estimates. Therefore, targets of greenspace in Suwon C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area of greenspace analyzed in the present state survey. Secondly, the target of greenspac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the conservation part, the maintenance part and creation part. And the methods to attain the target are presented. In order to set desirable targets of urban greenspace,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outcome of present state survey, the resident perception, the population estimates and the various urban conditions.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ed to the urban planning or other related planning, the urban ecosystem will be protected and the biotope will be created.

  • PDF

도시근교 농촌주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용인군 삼가3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Suburban Rural Houses. - focusing on the Houses in Samga 3 Ri, YongIn-Gun, KyungKi-Do -)

  • 윤정숙;전영미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5-4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nges of village, the architectural changes of houses and to find out the resident's needs of housing in suburban rural houses. Samga 3 Ri, Yong-In, KyungKi-Do was chosen for this study. The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1987 by using a field survey method, was compared with this study. 1) The study showed that the physical changes of village includ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ooms and nonagricultural population, and variety of house types. Therefore, social intimacy, reallocation of houses according to residents' occupations, and apartments for non-agricultural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village. 2) It is found that the resident's needs were to increase the number of rooms, expansion of space, and to modernize kitchin systems. The investigation on newly constructed houses indicated that residents' needs were two-story houses, changes of spaces - the number of bathrooms, private bedroom adjacent to An-bang.

  • PDF

산전 지역의 거점 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주민의견 조사 (The Survey on Residents' Opinion of the Stronghold Diffusion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in San-Jun)

  • 김선중;장희진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2-337
    • /
    • 2009
  • The stronghold diffusion style method is resident participation styl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hat first of all, the general public constructs base facilities which the temporary occupancy public housings, commonness use facilities, roads, etc. And then with using the public housing of the stronghold sector, the resident oneself improves the house with independence or commonness. As a result induction of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economic situation and the resident where the improvement will is reflected and introduction of versatile maintenance method through stronghold development with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residential improvement method of diffusion style. San-Jun was selected in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rea in stronghold diffusion style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area. Investigation contents population register quality and quality of present house, the degree which is a house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 about residential improvement the fact etc. Because unsatisfactorily in compliance with the deterioration and spatial narrow of the house, The above of half is an improvement intention. Hereafter residenti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condition which is economic, residential improvement will change. The plan will be able to augment the economic enemy capability of the resident should grope and the residents oneself creates the environment will be able to improve the house. Also with creating, activating a resident organization, through autonomous decision-making process, the residential improvement could be advanced continuously.

  • PDF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Analyzing Accessibility of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The Case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in Jung-gu, Seoul)

  • 김상균;신상영;남현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62
    • /
    • 2022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대상으로 생활인구(유동인구)를 측면에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한 후, 접근성 취약지역에 추가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을 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GIS 네트워크분석 기반의 최적화 모형인 입지배분모형을 적용하여 접근성을 분석하고 취약지역을 식별하였다. 입지배분방법은 일정한 시간 내에 신속한 이동이 중요한 대피시설의 성격에 비추어 'Maximize Coverage(수요영역 최대화)' 방법을 적용하였고, 대피를 위한 한계 거리 및 시간기준은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500m(7.5분), 1,000m(15분), 1,500m(22.5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지역은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피와 일시적인 체류를 위한 옥외 대피장소의 기능을 고려하여 거주인구에 비해 생활인구가 월등히 많고 대피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크게 부족한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서울 중구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 인구에 비해 생활인구 기준으로 볼 때 접근성이 취약한 집계구 수와 인구 수가 훨씬 많고 비율도 높았으며, 접근성 취약지역에 가용한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에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가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상지역의 특성상 잠재적인 대피인구 전체의 접근성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결론: 유동인구로 인해 주·야간 인구 차이가 심한 서울 도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생활인구 첨두시간대를 적용하여 실제 대피수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접근성이 불리한 취약지역을 식별하고 신규 대피장소 설치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과학적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에 따른 인구 이동 패턴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ive Study on Movement Patterns in Uljin-gun and Samcheok-si Wildfire Event)

  • 정지혜;황우석;표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3호
    • /
    • pp.1805-1815
    • /
    • 2022
  • 2022년에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국내 최장 산불 기록이었지만 인명피해가 없었다. 산불은 지역주민이 직접 피해에 노출되어 대피를 해야 하는 재난으로, 산불 발생 시 대피를 이동 수요를 예측하는 것은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북 울진·강원 삼척 등 산불 발생에 따라 지역주민의 이동을 분석하여 이동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SKT 유동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경북 울진군 및 강원 삼척시의 인구 이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로는 첫째, 경북 울진군과 강원 삼척시 모두 거주인구 및 방문인구가 감소하는 인구 이동 패턴을 보였으나, 직장인구의 인구이동은 평상시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불의 발화지인 경북 울진군 북면의 거주인구들은 산불을 피해 주변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동한 지역은 산불에서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이며, 이때 긴급재난문자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산불이 발생한 지역의 인구가 산불에 대피하기 위해 이동하는 패턴을 양적 데이터인 유동인구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산불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민들에게 긴급재난문자를 통한 대피소 안내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주택가격에 관한 연구: 인구유입을 중심으로 (Study on Housing Price focused on Population Inflow)

  • 김영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111-119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과 제주 지역의 아파트 가격상승률에 인구유입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민등록상의 인구순유입과 매입자의 매매거래 증가율을 인구구조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등록상의 인구순유입 증가율이 서울과 제주의 아파트 가격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전체 및 50대 이상' 인구순유입의 증가율은 서울과 제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연령대별로 구분하면, 서울에서는 50대 및 60대, 제주에서는 60대의 순유입 증가율이 아파트 가격상승률에 각각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입자 매매 거래 증가율이 서울과 제주의 아파트 가격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울에서만 전체 및 50대 이상의 매입자 매매 거래 증가율이 양(+)의 영향을 주었다.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서울에서는 60대, 제주에서는 50대의 매매 거래 증가율이 각각 아파트 가격상승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구유입 관련 변수로 주민등록상의 인구순유입과 매입자의 매매 거래 증가율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아파트 가격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