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roductive hormone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9초

3-MCPD의 생식ㆍ발생독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of 3-MCPD)

  • 곽승준;김순준;최요우;이규식;손경희;이이다;채수영;정용현;유일재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31-136
    • /
    • 2004
  • 3-Monochloro-1,2-propanediol(3-MCPD) is a toxic compound, often present in different foods containing acid hydrolyzed(AH) protein, like seasonings and savory food produ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MCPD on male fertility, sperm and testosterone secretion. In vivo male fertility test was performed for observing the adverse effects of 3-MCPD on the function of male reproductive system and pregnancy outcome. 0.01, 0.05, 0.25, 1 and 5 mg/kg b.w. of 3-MCPD was given daily by gavage to groups of 15 adult male SD rats for 4 weeks. At the end of pre-treatment period, males were mated overnight with normal females. Following morning, males demonstrating successful induction of pregnancy were sacrificed on that day to assess sperm parameters and histopathology of reproductive organs. The resulting pregnant females were sacrificed on day 20 of gestation to evaluate pregnancy outcome. As a result, four-week paternal administration with 3-MCPD resulted in adverse effects on male fertility and pregnancy outcome without remarkabl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estes and epididymides; sperm motility, copulation index and fertility index were markedly decreased in the treated group and numbers of live fetuses showed steep dose-response curves. Also, spermatogenesis was investigated in this experiment. However, no effect was observed on production of sperm in testes treated with 3-MCPD for 4 weeks. Hormone assay was performed for observing the effects of 3-MCPD on testosterone and luteinizing hormone (LH) in blood and testes of male SD rats and cultured primary Leydig cell. In result, significant changes of related hormones did not observed by treatment of 3-MCP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aternal treatment with 3-MCPD induced spermatotoxic effect, which caused an antifertility on male.

골든 햄스터에서 광주기에 따른 멜라토닌 수용체 유전자 발현과 생식 지수들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Expression of Melatonin Receptor Gene and Reproductive Indices in Golden Hamsters Exposed to Photoperiods)

  • 최돈찬;최형재;임시내;박창은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1호
    • /
    • pp.45-54
    • /
    • 2002
  • 골든 햄스터의 생식활동은 광주기에 의해 조절된다. 그들의 생식능력은 여름에 왕성하고 겨울에는 퇴화한다.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은 계절적 번식동물에서 생식활동을 중재한다. 멜라토닌 수용체가 최근에 사람을 포함하는 몇몇 동물에서 확인되었지만 골든 햄스터의 생식능력과 관련하여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역전사 PCR 방법을 사용하여 멜라토닌 수용체의 일부 유전자를 동정하였다(309 염기). 멜라토닌 수용체의 핵산 서열과 추론된 아미노산 서열을 보고된 다른 동물들과 비교하였다. 멜라토닌 수용체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혈액, 지라에서 명백히 탐지되었다. 광주기가 정소 무게 및 생식 호르몬에 현저한 영향을 주었지만 멜라토닌 수용체의 발현에는 영향을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생식을 조절하는 멜라토닌은 그 수용체의 수보다 수용체에 결합하는 친화도가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생식보조시술시 단백질원으로서 인간난포액의 적합성 및 효율성에 관한 연구;I. 인간난포액이 생쥐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the Suitability and Efficiency of Human Follicular Fluid as Protein Supplement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I. Effect of Human Follicular Fluid on Meiotic Maturation of Mouse Follicular Oocytes In Vitro)

  • 지희준;김동훈;김지연;구정진;장상식;정길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87-94
    • /
    • 1996
  •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human follicular fluid(HFF) as protein supplement in ART, this preliminary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aturation promoting activity of HFF on mouse follicular oocytes in vitro. Mouse follicular oocytes were collected from ovaries of 21-28 day old ICR mice by puncturing the antral follicles with fine needle at 48 hours after PMSG injection. The oocytes were rinsed and cultured in modified Whittingham's $T_6$ medium containing purines or dbcAMP to maintain meiotic arrest, and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FF were added into the culture medium to examine the effect of HFF on releasing the oocytes from the suppressive influence of the meiotic inhibitors. As a control for HFF, the maturation promoting activity of human fetal cord serum(HFC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e activity of HFF. While HFF was separated, by molecular weight(M.W), into high M.W. fraction(M.W>30,000) and low M.W. fraction(M.W<30,000) and the effects of the fractions on meiotic resump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the meiotic inhibitors. Also hormone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ontent of hormones in HFF with that in HFCS. Same concentrations of HFF and HFCS induced similar germinal vesicle break down(GVBD) rates of the oocytes meiotic arrested by purines(4mM hypoxanthine+0.75mM adenosine), but the extrusion rate of 1st polar body(PB) of the oocytes cultured in HFF(65.0%, P<0.0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51.6%) in HFCS. While, in the presence of 200 M dbcAMP, the maturation promoting activity of HFF (GVBD: 70.5%, $p<10^{-6}$; 1st PB extrusion: 67.1%, $p<10^{-3}$)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HFCS(GVBD: 35.2%; 1st PB extrusion: 41.1%). The oocytes cultured in the fraction of HFF containing high M.W. components showed higher meiotic maturation rates than the oocytes cultured in the low M.W. fraction of HFF. Gonadotropins and $E_2$ were known to improve the completion of maturation changes, and the levels of these hormones were higher in HFF than in HFCS. Therefore, HFF was more effective than HFCS to use for promoting meiotic resumption of mouse oocytes in vitro.

  • PDF

한국산 꺽지 Coreoperca herzi (농어목 꺽지과)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Korean Perch, Coreoperca herzi (Perciformes: Centropomidae))

  • 임상구;김계원;정규화;한창희;강기영;김정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1-268
    • /
    • 2011
  • 꺽지, Coreoperca herzi의 생식 년주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4년 7월부터 1996년 4월까지 경남 산청군 경호강에서 실험어를 채집하여 수온, 일장, GSI, HSI, 생식소의 조직학적 조사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GSI는 2월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4월에 최대치를 나타내고 5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다가 하강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혈중 E2, testosterone의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는 GSI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방란, 방정 후 난소 소낭 내에서는 짧은 퇴화기가 관찰되며, 어린 난모세포가 계속 성장하여 난황합성 전기의 상태에서 저수온기에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수온 상승기에 일제히 성장한다. 정소 역시 짧은 퇴화기(7월)와 오랜 휴지기(10~2월)를 가진다. 본 종의 생식 년주기는 성장 및 성숙기(2월~4월 초순), 완숙 및 산란기(4월 하순~6월 초순), 퇴화 및 정체기(7~8월), 회복기 (9월~11월 초순), 휴지기 (12월~1월)로 나누어지며 주 산란기는 5월이었다.

실내사육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생식소 및 성호르몬의 주년 변화 (Monthly Gonadal and Sex Hormonal Changes of Indoor-Reared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during Annual Reproductive Cycle)

  • 강덕영;한형균;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14-620
    • /
    • 2002
  • 본 연구는 3년생 양식 가두리산 어미를 실내 수조로 옮긴 뒤 연중 생식소와 호르몬의 주년 변화를 파악하기 2년 동안 매달 샘플을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내분비학적 분석 결과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앞서 성숙이 진행되고, 산란은 1월말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산란기 이후 다음해 1월까지 모든 암컷은 난황형성 이전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수컷 중 일부는 정자형성 활성을 다시 나타내기 시작했다. 10월에 접어들면서 일조량의 감소와 함께 성장 중인 난모세포에서 cortical alveoli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정자 형성이 점차 늘어났다. 10월과 2월 사이 암컷은 vitellogenesis, 수컷은 spermatogenesis가 일어나며, 난소 성숙지수는 암컷이 4.3$\~$$24.1\%$, 수컷은 $6\%$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산란력 평가를 통해 농어는 다른 해산어류와 유사한 산란 전략을 지니고 있었으며, 다회산란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농어의 생식기 과정동안에 이루어진 성호르몬인 testosterone (T)과 estradiol-17$\beta(E_{2})$ 의 분석 결과 생식기 발달에 따른 농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1월에서부터 2월까지 높은 혈중 T와 $E_{2}$의 농도는 이 시기 수컷의 정자형성과 난소의 성숙란 형성에 있어 이들 호르몬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양식산 농어의 생식기능은 실내 수조에서 발현이 되며,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필요한 수정란 생산이 실내 수조에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초기 임신 기간중 흰쥐 자궁 내막조직의 Phosphatase 활성에 관하여 (On the Activity of Phosphatase in the Endometrium of the Rat Uterus During Early Pregnancy)

  • 김성례;조완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1-11
    • /
    • 1981
  • The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endometrium of the rat ovariectomized on Day 2 of pregnancy was carried out in comparison with the intact 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ormonal dependency of the uterus prior to the implantation, and to study th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endometrial tissues in vitro incubated in different acidity of the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y of the total phosphatase was the highest at Day 3 of pregnancy of the intact animals irrespective of acidity of the medium. However, the ovariectomized rat showed its peak somewhat delayed. The time of the highest activity of the enzymes was matched with the time of high secretion of the ovarian hormones. 2. The activity of acid phosphatase in the endometrium was twice or four times as much high as that of neutral or alkaline phosphatase, respectively. 3.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was rather steady in Day 3 through Day 5 of the pregnancy of the rat intact or ovariectomized but with low level compared to those of other phosphatase. 4. The present re~lt indicated more important role by $Mg^{2+}$-dependent phosphatase than by $K^+$-dependent one for the preparation for decidualization.

  • PDF

Reproduction and Maturation of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after Transportation from Net-Cages to Indoor Tanks

  • Kang, Duk-Young;Kim, Hyo-Chan;Im, Jae Hyu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5권3호
    • /
    • pp.157-171
    • /
    • 2021
  • To determine whether the reproductive processes of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proceed normally after transportation from an outdoor net-cage into indoor tanks, we examined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histological gonadal tissue, and plasma levels of sex hormones (testosterone and estradiol-17ß) during their annual reproductive cycle. We also measured maturation and spawning across two sea water salinity levels (full and low salinity). Fecundity was estim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egg number and body size in female sea bass. Monthly changes in the GSI, histological gonadal tissues, and oocyte size showed both male and female sea bass reach final maturation in January and February,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spermiation of males occurs earlier than the spawning of females. The histolog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a bass is a multiple spawner, similar to many marine teleosts, exhibiting group-synchronous oocyte development. Female maturation and spawning were enhanced in lower salinity seawater (29.6-31.0 psu) compared to that of normal salinity (34.5-35.1 psu). These results confirm that sea bass reproduction can occur successfully in captivity and imply that fertilized eggs can be collected from February to March. Additionally, our results show that lower salinity enhances oocyte maturation and spawning of female sea bass.

젖소에서 산유량이 분만 후 건강과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Yield on the Postpartum Heal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airy Cows)

  • 김상곤;정재관;허태영;강현구;김일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8-185
    • /
    • 2013
  • 본 연구는 젖소에서 산유량이 분만 후 건강과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젖소 목장 6개소의 총 1,060두로부터 산유 성적, 신체충실지수(BCS), 분만 후 질병 및 번식 능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305일 산유량에 기준으로 대조군(< 10,000 kg, n = 445)과 고산유량군(${\geq}$ 10,000 kg, n = 615)으로 구분하였다. 유지방, 유단백 및 BCS는 분만 후 5개월 동안 대조군에 비해 고산유량군에서 낮았다(p < 0.01). 자궁내막염 발생은 대조군(35.1%)에 비해 고산유량군(29.6%)에서 낮은 경향이 있었으나(p = 0.06), 난소낭종의 발생은 대조군(15.3%)에 비해 고산유량군(28.6%)에서 증가되었다(p < 0.0001). 번식 호르몬 처리를 받은 소의 비율은 대조군(56.6%)에 비해 고산유량군(62.4%)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p = 0.06), 첫 수정 수태율은 대조군(35.2%)에 비해 고산유량군(30.2%)에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odds ratio = 0.78, p = 0.07). 분만 후 210일까지 임신율은 대조군에 비해 고산유량군에서 낮았으며(hazard ratio = 0.84, p = 0.04), 이것이 분만 후 평균 임신 간격의 연장(20일)을 초래하였다. 결론적으로, 젖소에서 고산유량은 유지방, 유단백질 및 BCS의 저하, 난소낭종의 발생 증가 및 번식 호르몬의 사용 증가로 번식 능력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포유동물의 배아 및 기간세포의 분화와 세포사멸 기작: I. 생쥐 배아줄기세포의 확립과 분화유도에 미치는 생식호르몬의 영향 (Differentiation and Apoptosis of the Mammalian Embryo and Embryonic Stem Cells(ESC): I. Establishment of Mouse ESC an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by Reproductive Hormones)

  • 성지혜;윤현수;이종수;김철근;김문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1호
    • /
    • pp.55-66
    • /
    • 2002
  •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C)는 미분화상태로 지속적인 계대가 가능하며, 정상 핵형과 전 분화능(pluripotency)을 가져 생체내-외에서 분화 유도시 삼배엽성의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하다. ESC를 feeder 세포 없이 부유배양하면 배아체(embryoid body, EB)를 형성하고, 초기 배아 발생과 유사한 분화 양상을 갖는다. ESC의 분화 유도가 초기배아 발생처럼 생식호르몬(GTH: FSH, LH; steroids)의 영향을 받는지는 불명하다. 본 연구는 ESC가 분화과정중 생식호르몬처리에 의해 그들 수용체가 발현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순계혈통 생쥐인 C57BL/6J에서 과배란 유도후 포배를 수획하고, 유사분열적으로 불활성화된 feeder 세포와 공배양하여, 계대배양 하는 중 배아줄기세포주(JHYl)를 확립하였다. JHY1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SSEA-1, 3, 4 발현을 통해 ESC임을 확인하였다. Feeder 세포 없이 ESC를 계대배양 후 호르몬처리(FSH LH E$_2$, P$_4$, T)하에서 5일 동안 부유배양하여 배아체를 형성시키고, 이후 7일 동안 부착배양하여 분화를 유도하였다. GTH와 스테로이드의 수용체 발현 실험에서 ESC에 E$_2$ 처리에 의한 LHR의 발현 증가를 제외한 나머지 호르몬 처리군에서 ESC보다 낮은 생식호르몬의 수용체 발현이 관찰되었다. 생식호르몬을 농도별 수용체 발현 정도는 증감되지 않았다. 미분화 ESC 표지유전자인 Oct-4는 호르몬 처리군에서도 발현되었다. 각 배엽의 표지유전자들(영양세포, handl; 외배엽성, keratin와fgf-5; 중배엽성, enolase와 $\alpha$ -globin; 내배엽성, gata-4와 $\alpha$ -fetoprotein) 등의 발현 양상을 조사한 결과 호르몬 처리후 내배엽성 표지유전자외에는 발현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즉 생식호르몬에 의해 gata-4, $\alpha$-fetoprotein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내배엽성 계열로의 분화 유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LED 조명의 색이 평사 사육 갈색 산란계의 산란성적, 계란 품질 및 혈액과 난관 내 번식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Colors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and Reproductive Hormone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Oviduct in Brown Laying Hens Housed on Floor)

  • 김희나;고한서;장현수;강유현;서지수;강환구;오상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45-252
    • /
    • 2018
  • 본 연구는 LED 조명의 색(파장)이 평사에서 사육하는 갈색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의 품질, 난황 콜레스테롤, 혈액 및 난관 $17{\beta}$-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적색, 청색, 녹색, 백색의 LED 조명색으로 총 4처리를 두었고, 47주령 갈색 산란계 144수를 처리당 4반복(칸), 반복당 9수로 배치한 후 6주간 시험을 진행하였다. 파장이 긴 적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 그룹의 혈중 $17{\beta}$-에스트라디올의 분비 농도도 가장 높았다. 반면 파장이 짧은 녹색 조명 그룹의 산란율이 가장 낮았으나, 난중은 가장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D 조명의 색은 난각 색, 난각 강도, 호우 유닛(HU)과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광원으로서 LED 조명의 경우 조명의 색(파장)이 산란 및 번식대사에 비슷하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충분한 성 성숙이 완료되고, 산란율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주령에도 광 자극이 산란 및 번식 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산란성적, 계란 품질, 번식 호르몬 분비를 고려할 때, 평사에서 사육하는 47주령의 갈색 산란계에 적색 LED 조명이 가장 유리하다는 점을 제안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