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roduction of the imag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6초

멀티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3D-LUT 색 신호 분리 방법 (Color decomposition method for multi-primary display using 3D-LUT in linearized LAB space)

  • 강동우;조양호;김윤태;최원희;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6호
    • /
    • pp.9-1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멀티 프라이머리 디스플레이(multi-primary display; MPD)에서 색 재현을 위해 선형 LAB 색공간에서 3차원 took-up-table(3D-LUT)을 이용한 색신호 분리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인간 지각의 3가지 속성을 반영하는 선형 LAB 색공간에서 작성된 MPD 색역의 경계를 적은 용량의 메모리를 가지는 3D-LUT로 작성한다. 이때 색역 경계점의 자극치와 MPD의 색신호의 선형관계를 이용하여 3D-LUT에는 휘도 및 색상에 대한 채도와 색신호 조합이 저장된다. 작성된 3D-LUT에 기반하여 입력 자극치에 대응하는 MPD 색신호를 주변 색역 경계점의 색신호 변화를 고려하여 색역 경계점과 입력의 채도비로 보간한다. 그 결과, MPD 색신호가 연속적 계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선형 LAB 색공간에서 색역 경계 LUT를 사용하여 연산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고 MPD의 부드러운 색신호 변화를 유도하였다.

3D 건축공간을 활용한 가상 전시의 발전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irtual Exhibition Using 3D Architectural Space)

  • 김종국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979-98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3D 건축공간을 활용한 가상 전시를 관람자의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상 건축공간을 분석하기 위한 항목을 관람자의 시각으로 탐색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실존하는 건축공간의 재현 여부, 초현실적 요소의 도입, 동선과 움직임의 자유도, 공간 표현의 포토리얼리즘 수준, 전시물의 재현 수준과 정보 제공 방법, 다른 참여자와의 상호작용 6가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이 분석 항목을 저명한 건축가가 설계를 담당한 6개의 가상전시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여기에 적용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3가지 방향성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첫째는 자유도가 높은 가상의 전시공간을 설계하는 경우에도 익숙한 건축환경을 제시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이다. 둘째는 현재 가상 건축공간을 제작하는 방법은 360도 렌더링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방법이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공존한다는 것이며, 셋째는 가상전시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은 게임엔진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만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최근 사실적인 렌더링을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에 따라 게임엔진을 활용한 가상공간의 제작환경이 보다 유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Deposition of Mucin Coat on Rabbit Embryos Cultured In Vitro Following Oviductal Transfer

  • Joung S. Y;Yang J. H;Im K S;Lee S. H;Park C. S;Jin D. I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41-145
    • /
    • 2004
  • Mucin coat is deposited on the embryos during passage through the oviduct in rabbit. When in vitro cultured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the recipients, the lack of mucin coat might account in part for failure of pregnancy after transfer. The present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deposition of mucin coat were induced when in vitro cultured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recipients. At 19 ~20 hours post-coitus one-cell embryos were collected by flushing oviducts. These embryos cultured for 72 hours were reached to blastocyst stage. And these blastocysts were transferred to the oviduct of asynchronized (one day later than the donors) and synchronized recipient. To confirm deposition of the mucin coat, blastocysts transferred to the oviduct were recovered at 24 and 48 hours after the transfer. Fifty eight percent of blastocysts recovered from uterus of asynchronous recipient at 24 hours after transfer and 92.9% of blastocysts recovered from uterus of synchronous recipient were 0~10 ㎛ of mucin coat thickness. And 11.8% of blastocysts of asynchronized recipients and 7.1% of blastocysts from asynchronized recipients were in 11~20 ㎛ of mucin coat thickness. When blastocysts were recovered from uterus at 48 hours after transfer, 87.0% of blastocysts from asynchronized recipients and 5.9% of blastocyst from synchronized recipients were in 0~10 ㎛ of mucin coat thickness. And 76.5% of blastocysts of synchronized recipients and 4.4% of blastocysts from asynchronized recipients were in 11~20 ㎛ of mucin coat thickness. From thes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the low implantation rate of in vitro cultured rabbit blastocysts transferred to oviduct of recipient was caused by high degeneration of the embryo after transfer and inappropriate deposition of mucin coat.

Comparative Proteomic Analysis of Yak Follicular Fluid during Estrus

  • Guo, Xian;Pei, Jie;Ding, Xuezhi;Chu, Min;Bao, Pengjia;Wu, Xiaoyun;Liang, Chunnian;Yan, P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39-1246
    • /
    • 2016
  • The breeding of yaks is highly seasonal, there are many crucial proteins involved in the reproduction control program, especially in follicular development. In order to isolate differential proteins between mature and immature follicular fluid (FF) of yak, the FF from yak follicles with different sizes were sampled respectively, and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of the proteins was carried out. After silver staining, the Image Master 2D platinum software was used for protein analysis and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MS) was performed for differential protein identification. The expression level of transferrin and enolase superfamily member 1 (ENOSF1)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for verific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2-DE obtained an electrophoresis map of proteins from mature and immature yak FF with high resolution and repeatability. A comparison of protein profiles identified 12 differently expressed proteins, out of which 10 of them were upregulated while 2 were downregulated.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transferrin and ENOSF1 was enhanced with follicular development. Both the obtained protein profiles and the differently expressed proteins identified in this study provided experimental data related to follicular development during yak breeding seasons. This study also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microenvironment during oocyte development.

판소리사를 잠류·부상의 반복 싸이클로 보는 새로운 관점과 영상매체 시대 재매개화를 통한 실전판소리의 부상 가능성 - 실전판소리 <옹고집전>과 영화 <광해>를 통해 (A New Viewpoint Drowned Repetitive Cycle of Flow vs Float Regulating History of Pansory and Floating Possibility of Lost Pansori in Age of Image Media)

  • 권도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165-203
    • /
    • 2016
  • 본 연구는 판소리 전승사를 보는 기존 관점을 재고하고 판소리 실전 문제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실전 7가는 정상적 삶의 감각이 부재하고 성격적 결함을 갖고 있는 인물들의 부정성을 풍자하는데 그치고, 새로운 시대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가치의 담지자를 창출하지 못하여 전승에서 탈락했다고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전 판소리가 전승 5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했던 근대이행기를 넘어, 판소리 미학의 양식적 계승과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판소리사 전개의 편폭을 현대로 확장해 본 결과 다른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상기 이유가 현 시점에서는 비단 실전 7가에만 해당되지 않는, 판소리 12가 직면한 총체적인 차원의 문제라는 사실이다. 실전 7가에게 내려졌던 문학사적 평가 잣대를 전승 5가에도 적용한다면, 전승 5가도 현 시대의 예술문화사에서 실패한 것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판소리사를 전승 5가와 실전 7가의 역사적 성공과 실패가 결합된 구조물로 보는 기존 관점을 부상과 잠류(潛流)의 반복적인 교체 싸이클로 대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이 관점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의 판소리사 전체와 전근대 시기의 실전 7가를 잠류의 상태로 규정하였다. 20세기 이후의 실전 7가가 쇠퇴의 단계를 밟아나간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질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단계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이론을 현대 매체 시대에 실전 판소리 <옹고집전>을 재생산한 영화 <광해>의 존재양상을 통해 시론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했다.

영역기반 가중치 맵을 이용한 멀티스팩트럼 플래시 영상 획득 (Multi-spectral Flash Imaging using Region-based Weight Map)

  • 최봉석;김대철;이철희;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9호
    • /
    • pp.127-135
    • /
    • 2013
  • 저조도 환경에서 카메라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시광 플래시를 사용하거나 장노출 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가시광 플래시를 사용할 때 플래시 광에 의한 색 왜곡이나 적목 현상, 눈부심에 의한 거부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장노출을 사용하게 되면 물체의 움직임에 의한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저조도 환경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멀티 스팩트럴 플래시(Multi-spectral flash image)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 방법은 가시광과 UV/IR스펙트럼의 다섯 채널을 이용하여 가시광영상의 색 정보와 UV/IR 스팩트럼 영상의 세부정보를 최적화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픽셀 기반의 최적화 과정에 있어 색 왜곡과 다른 잡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색 왜곡과 잡음을 개선하기 위해 영역 기반의 가중치 맵을 최적화 방법에 적용하여 색 왜곡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영상에 대하여 Canny 에지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영상의 윤곽을 검출하였다. 이를 가중치 맵으로 최적화방법에 적용함으로, 세부 영역에 대하여 UV/IR 플래시 영상의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평탄한 영역에 대하여 가시광 영상의 색 정보를 가중치를 부여하여 색 왜곡을 개선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과 이전방법을 비교하였고,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 모두 제안한 방법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치과용 모형의 모형 부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에 대한 문헌 고찰 (Accuracy of conventional and digital mounting of dental models: A literature review)

  • 김철민;지운;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46-152
    • /
    • 2021
  • 정확한 보철물의 제작을 위해서는 악간 관계의 정확한 인기가 중요하다. 전통적 석고 모형을 이용한 교합기에의 모형 부착 뿐 아니라 최근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디지털 모형 부착방법의 정확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Pubmed 검색을 이용하여 전통적 방법과 디지털을 이용한 모형 부착의 정확도에 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통적 교합인기재의 경우 폴리이써와 폴리비닐실록산 등의 탄성인기재가 변위량이 적었으며, 인기 기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모형 부착 과정에서 수직적 변위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인기재 자체의 변화보다 모형을 교합기 상에 부착하는 과정 자체에서의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상 모형 부착의 경우 좁은 범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가상 인상 채득의 범위가 커질수록 정확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광범위한 수복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임상에 적용해야 한다. 각 제조사별 스캐너의 종류와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또한 가상 모형 부착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앞으로 충분히 발전 가능성을 보인다.

고화질 색 재현을 위한 추가적인 잉크와 정량적인 낟알 무의 측정자를 이용한 6색 분리 (Six Color Separation Using Additional Colorants and Quantitative Granularity Metric for Photography Quality)

  • 손창완;조양호;권오설;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4호
    • /
    • pp.49-5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측색적인 오차와 낟알 무의 현상을 동시에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잉크와 정량적인 낟알 무의 측정자를 이용한 6색 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6색 분리 방법에서는 3색이나 4색 프린터에서 나타나는 도트의 가시성을 줄이기 위해 밝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묽은 잉크(light magenta와 light cyan)를 진한 잉크(magenta와 cym)로 대체한다. 그러나 묽은 잉크와 진한 잉크의 색상의 차이로 인해서 밝은 영역에서 정확한 측색적인 색 재현이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측색적인 오차를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잉크(additional colorants)인 yellow와 light magenta 잉크를 밝은 영역에서 사용한다. 따라서 밝은 영역에서 magenta 잉크는 light magenta와 yellow로 대체되고 cyan은 light cyan과 light magenta로 대체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잉크의 사용은 진한 잉크의 색상과 유사한 색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측색적인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적인 잉크는 작은 도트의 가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영상도 재현될 수 있다. 한편 중간 영역에서도 부드러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magenta는 light magenta와 magenta로 대체되고 cyan은 light cyan과 cyan으로 대체된다 그러나 농도가 다른 두 잉크의 사용은 거친 도트 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정량적인 낟알 무의 측정자가 사용된다. 어두운 영역에서는 묽은 잉크를 사용해도 더 이상 낟알 무늬가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magenta와 cyan 잉크만 사용한다.

팬덤 문화의 생산과 수용방식에 대한 연구 - 팬 픽션과 팬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How Fandom Culture ; Focusing on Fan Fiction and Fan Illustration)

  • 임재민;김대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2호
    • /
    • pp.315-335
    • /
    • 2016
  • 문화는 인류의 발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생산되어 소비되어지고 있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사람들이 특정한 곳으로 모이게 되면서 대중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대중이 향유하는 대중문화가 생성되게 되었다. 대중문화는 경제원리에 입각하여 자본을 만들어내기 위해 생산자들이 대중에 대해 분석하여 문화 산물을 만들어 낸다. 초기 대중문화는 생산자 중심으로 자본을 가진 기업이나 국가가 정해놓은 텍스트의 의미를 대중이 수용하는 형태였지만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중이 여론을 형성하며 정치력을 가지게 되면서 문화 산물을 능동적으로 선택하며 수용하게 되었다. 특히 팬덤은 문화 산물을 적극적으로 소비하여 자신들이 원하는 문화 산물의 이미지를 재생산하고 여러 가지 활동으로 문화생산자에게 영향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으로 형성된 문화 소비 집단인 팬덤이 팬 아트를 이용한 문화 재생산활동을 하게 되면서 참여적 집단으로 변화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문화 산물의 소비가 적극적인 모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문화제작자는 문화자본을 형성하는 집단으로만 여기던 팬덤을 문화 산물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좋은 척도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팬덤 문화 중 팬 픽션과 팬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으로 문화 소비가 이루어지고 재생산되는 팬 아트가 어떻게 문화 제작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딥 러닝을 이용한 실감형 콘텐츠 특징점 추출 및 식별 방법 (A Feature Point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Immersive Contents Using Deep Learning)

  • 박병찬;장세영;유인재;이재청;김석윤;김영모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29-535
    • /
    • 2020
  • 4차 산업의 주요 기술로 실감형 360도 영상 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 실감형 360도 영상 콘텐츠의 시장 규모는 2018년 67억 달러에서 2020년 약 700억 달러까지 증가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실감형 360도 영상 콘텐츠가 웹하드, 토렌트 등의 불법 유통망을 통해 유통되고 있어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불법 유통을 막기 위하여 기존 2D 영상은 불법저작물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초고화질을 지원하고 두 대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에 담는 실감형 360도 영상 콘텐츠의 특징 때문에 왜곡 영역이 존재하여 기존 2D 영상에 적용된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또한, 초고화질에 따른 특징점 데이터량 증가와 이에 따른 처리 속도 문제와 같은 기술적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왜곡이 심한 영역을 제외한 객체 식별 영역을 선정하고, 식별 영역에서 딥 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및 식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에 제안 되었던 스티칭 영역을 이용한 실감형 콘텐츠 특징점 추출방법과 비교하여 성능의 우수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