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ular walking exercis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5초

일주일간의 간헐적 좌식차단의 혈관기능 개선 효과 (Seven Days Breaking Up Prolonged Sitting Improves Systemic Endothelial Function in Sedentary Men)

  • 박수현;윤은선;제세영
    • 운동과학
    • /
    • 제26권1호
    • /
    • pp.61-68
    • /
    • 2017
  • PURPOSE: To examine the cumulative (7 days) effect of breaking up prolonged sitting on systemic endothelial function in sedentary men. METHODS: Thirty sedentary men ($33.93{\pm}5.72years$) participated in two randomized 7 days sitting trial (Sit group (control) vs. Breaks group). The protocol of Breaks group is as follows: 4-minute of moderate-intensity marching in place (walking) every 1 hour during business hour (total: 8 breaks/day). Assessment of brachial artery endothelial function using flow-mediated dilation (FMD) and arterial stiffness indices (augmentation index, arterial pressure and pulse wave veloc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7 days treatment. RESULTS: Brachial artery FMD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7 days breaking up prolonged sitting treatment (Breaks groups, $9.65{\pm}2.61$ to $9.62{\pm}2.6%$) compared with 7 days prolonged sitting (Sit group, $8.37{\pm}3.41$ to $10.11{\pm}3.75%$) (interaction effect, p=.004). Arterial pressure (A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Breaks group, $2.75{\pm}2.19$ to $2.38{\pm}1.63mmHg$, p=.002) in Sit group but there was no change (Sit group, $1.00{\pm}3.18$ to $2.50{\pm}9.23mmHg$) in Breaks groups (interaction effect, p=.008). CONCLUSIONS: These finding show that 7 days regular breaking up prolonged sitting improve in FMD, compared with prolonged sitting. Therefore, regular breaking up prolonged sitting may improve systemic endothelial function in sedentary men.

운동 트레이닝을 통한 심폐체력 반응의 차이가 복부비만 여성의 심혈관계 위험요인과 아디포싸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ardiorespiratory fitness response to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adipocytokine in abdominal obesity women)

  • 박수현
    • 운동과학
    • /
    • 제21권1호
    • /
    • pp.111-120
    • /
    • 2012
  • 본 연구는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 트레이닝을 통해 심폐체력의 반응의 차이가 심혈관계 위험요인 및 아디포싸이토카인 분비 및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운동 트레이닝 실시 후 심폐체력 향상의 유무를 이용하여 복부비만 여성 총 48명을 운동-반응 집단(n=34)과 운동-비반응 집단(n=14)으로 나누었다. 운동 트레이닝은 주당 1200kcal를 소모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중등도-활발한 운동강도, 걷기나 간단한 조깅의 형태로 12주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으로 실험 참가 전, 후에 신체조성, 혈압, 심폐체력, 혈중지질, 글루코스, 인슐린 그리고 유리지방산을 측정하였으며, 혈중 아디포싸이토카인과 복부지방 아디포싸이토카인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운동 트레이닝 후 두 집단 모두 비만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허리둘레(p=0.040), 체지방률(p=0.031) 그리고 중성지방(p=0.023)과 수축기 혈압(0.046)은 운동-반응 집단과 운동-비반응 집단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혈중 렙틴은 두 집단에서 상호작용 효과(p=0.022)가 나타났으나 복부지방 렙틴 유전자는 두 집단 모두에서 트레이닝 후(p<0.001)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 운동 트레이닝 실시 후 심폐체력의 향상을 보인 운동-반응 집단은 운동-비반응 집단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 위험요소와 아디포싸이토카인 분비 및 유전자 발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 트레이닝 실시 후 심폐체력의 개선이 없었던 운동-비반응 집단에서도 비만지표와 혈중 렙틴 및 렙틴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살펴봤을 때 규칙적인 운동 자체가 비록 심폐체력의 개선이 없더라도 인간의 건강상의 이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폐체력이 향상되지 않더라도 규칙적인 운동 은 비만 관련 위험요인의 감소 및 예방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노인의 건강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Characteristics on Depression of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cheme)

  • 허정이;이윤정;이금재;김희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27-33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and the associated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cheme. Methods: From the beneficiaries of the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in a city the beneficiaries (aged 65 years or older)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cheme were selected. A total of 677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hence for data analyses. Results: The observed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was 80.5% (mild depression was 60.2%, and severe depression was 20.3%).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ere indicative of subjective health status, walking exercise, hypertension, and diabetes. Conclusion: On the basis of our study results, as a strategy to reduce the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concerned, we are of the opinion that it is very much necessary to motivate them to practice continuous and regular walking exercises in easily accessible places by mobilizing community resources such as visiting nurses and volunteers. Such efforts may not only immediately reduce the morbidity rate of depression among the low-income elderly, but also, in the long run, prevent suicide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status to an appreciable extent.

운동부하 심전도를 이용한 중년 남성들의 걷기 운동이 ST/HR 경사 및 QRS 벡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alking Exercise on ST/HR Slope and QRS Vector in the Middle-Aged Men)

  • 김덕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6
    • /
    • 2010
  • 본 연구는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3년간 1년에 1회씩 3차례에 걸쳐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여 야외 및 트레드밀 걷기 운동 참여 여부에 따라 부하 심전도의 변화에 어떠한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안정 시 신체조성 분석,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다. 안정 시 신체조성 분석은 체지방율과 BMI를 측정하였고, 안정 시 및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은 ST/HR 경사 및 QRS 벡터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T/HR 경사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 6분부터 통제 집단은 감소하기 시작하여 운동 9분과 peak시에 $2.4\;{\mu}V/bpm$ 이하로 감소하여 허혈 증상이 나타났다. 2. QRS 벡터의 축 각도에 있어서 안정 시 전면 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제 집단이 우측으로 유의하게 편향되었고, 안정 시 수평면 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제 집단이 등 쪽으로 유의하게 향하였다. 안정 시 수평면 파고의 길이에 있어서 통제 집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걷기 운동 집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 활동의 중년 남성들은 운동 중 심근 허혈 유발, QRS 벡터의 편향 등이 현저하게 나타난 반면, 규칙적인 야외 및 트레드밀 걷기 활동에 참여한 중년 남성들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의 감소로 심장기능이 향상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건강한 성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인지, 건강 관련 습관, 혈청 생화학 지표 및 영양 섭취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elf-rated Health Condition to Stress Recognition, Health Related Habits, Serum Biochemical Indices, and Nutritional Intakes in Korean Healthy Adults)

  • 윤지현;이루지;김미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3-95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socioeconomic factors that affect self-rated health (SRH) in healthy adults, and the relationship of SRH to health-related habits, serum biochemical indices, and nutritional intakes. Subjects consisted of 1,154 healthy adults without any known disease, aged 19 to 65 years (average age of 36.7), whos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data. Of these subjects, 73 rated themselves as 'very healthy,' 460 indicated that they were 'healthy,' 568 self-identified as 'ordinary', and 53 put themselves in the 'unhealthy' category.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chose 'unhealth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frequencies of disruptions in their daily lives (p<0.05), regret after drinking (p<0.05), smoking (p<0.001), and higher levels of stress (p<0.001).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ported as 'very healthy'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regular intense (p<0.001) or moderate physical activities (p<0.05), regular walking (p<0.05), a perception of being 'normal' in their body image (p<0.01), a decrease of body weight more than 3 kg in the past year (p<0.05), and without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p<0.05). Serum triglyceride level was lower, and 25-(OH) vitamin 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ery healthy' group as compared to the 'unhealthy' group (p<0.05). Dietary fiber and vitamin C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ery healthy' group than 'unhealthy' group (p<0.05).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a healthy lifestyle, including regular exercise, non-smoking, good stress management, and higher intakes of fiber and vitamin C, may be potential factors that affect one's positive perception of health.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가 일부 비만아동들의 신체활동과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and Dietary Patterns of Some Obese Children)

  • 김명숙;최미숙;김기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6-438
    • /
    • 2011
  •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6-week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run by a public health center on the physical activities and dietary patterns of obese children at the before, after, and after one month point. After the program, the obese index of the obese children dropped by 5.9% from 38.4% to 32.5%.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ir obese index increased by 1.4% to 33.9% (p < 0.001). The obese children's hours of walking of physical activities increased to 2.6 hours from 1.2 hours after the program and remained at the 2.6 hours range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p < 0.01). The total scores of their food habits increased to 10.4 points from 9.1 points after the program and 10.3 points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1). The total scores of their eat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increase to 6.5 points from 5.3 points after the program and then dropped to 5.9 points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p < 0.05). As for changes to their dietary pattern scores according to the obese index, only the food habits scores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term (p < 0.05).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re is still a need to develop proper programs to help them increase regular exercise, improve their physical activities by cutting down time with TV, computer, Internet, and video games, and enhance their nutritional knowledge and to provide them with ongoing management and guidance until the improved food habits and eating behavior become part of their habits.

대학생의 주관적 건강인지수준과 건강증진행동, 정신건강수준 간의 관련성: 일개 대학의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health survey results in a university)

  • 김영복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6
    • /
    • 2022
  • Background & Objectives: Self-rated health has been widely used to evaluate health status and accepted as a subjective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and suggest the approaches to improve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wo thousand six hundred seventy-seven students who had stayed at dormitories on campus participated in the DU health survey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April 10 to 14, 2017.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of association of self-rated health with health-related factors among male and female students. Results: 38.6% of the respondents reported good self-rated health. Male and first-year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port good self-rated health than female and third-year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grade, health problems, BMI, sleeping hours, eating breakfast,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physical activity (regular walking, strength exercise, moderate exercise, vigorous exercis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e thought (p<0.05). Conclusion: Although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essential to support their adaptation to campus life and academic achievement, evidence-based health programs to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t should establish a campus-based health policy and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increase self-rated health levels and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for university students.

범이론모형(Transtheoretical Model)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ranstheoretical Model Based Exercise Behavior Improving Program on Blood Pressur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with Hypertension)

  • 송미순;김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64-377
    • /
    • 2011
  • 본 연구는 범이론모형에 기반하여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고혈압 노인에게 적용하여 혈압 및 신체활동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에 내원하며 연구에 참여를 허락한 65세 이상 고혈압 노인 41명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1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범이론모형에 기반한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을 8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행위 변화단계, 전체 변화과정 점수, 행위적 변화과정 점수, 운동 자기효능감, 신체활동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경험적 변화과정 점수, 의사결정균형, 혈압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행위강화 중재는 비활동 고혈압 노인의 운동행위로의 이행과 신체활동량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혈압 노인에게 적용된다면 운동습관을 형성하게 하여 고혈압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운동 강도 차이에 따른 폐경 후 비만 중년 여성의 혈중지질, 알부민 및 FFA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Intensity in Exercise on Blood Lipids, Albumin and FFA in Postmenopausal Middle-aged Obese Women)

  • 이동기;김태규;고수한;김민교;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929-938
    • /
    • 2024
  • 본 연구는 12주간 운동 강도 차이에 따른 복합운동 수행이 55-64세의 폐경 후 5년 이내 비만 중년 여성의 혈중지질, 알부민 및 FFA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중강도 운동군(MIG, n=10), 고강도 운동군(HIG, n=10)으로 구성하여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 및 트레드밀을 이용한 유산소 걷기 운동을 주 3회, 1회 운동시간 60분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검증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그룹 내 시기 간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혈중지질 중 TG는 상호작용 효과(p<.05)가 나타났고, 알부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FFA는 상호작용 효과(p<.05) 및 그룹 내 MIG, HIG 모두 감소하였지만, MIG에서 더 많은 감소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규칙적인 운동의 수행이 폐경 후 비만 중년 여성의 비만의 개선 및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특히 중강도 운동은 고강도 운동보다 TG 및 FFA에 더 많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노년기로 넘어가기 전 꾸준한 운동 수행을 통해 비만을 개선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운동 수행을 권장한다.

65세 이상 노인에서 우울증을 동반한 만성질환상태에 따른 자가 평가 건강수준 (Self-Rated Health of the Chronic Disease Patients with Depression in Aged over 65)

  • 이명진;손혜숙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4호
    • /
    • pp.246-257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질병상태를 정상, 만성질환, 우울증, 우울증을 동반한 만성질환의 4군으로 구분하여 질병상태에 따른 자가 평가 건강수준을 비교하고, 자가 평가 건강 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로 부산광역시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그 중 65세 이상 노인 2,549명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AS program(ver. 9.2)을 이용하여 ${\chi}^2$-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복합표본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가 평가 건강수준이 만성질환과 우울증의 단일질환만을 가진 경우보다 만성질환에 우울증을 동반한 경우 매우 낮게 관찰되었고, 만성질환자의 우울증 동반율이 높았다. 질병 상태이외에 여자에서,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 중등도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자가 평가 건강수준이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만성질환관리 사업에 우울증 관리를 연계한 사업 모형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적용할 것과 노인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서는 우선대상으로 취약계층과 여성을 고려하고, 운동 사업을 연계하는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