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specialization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초

직물소재의 지역특화를 위한 섬유산지의 섬유전문교육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이태리의 비교 분석- (A Study on the Regional Textile Education System for Promoting Regional Specialization of Textile Industry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Italian Textile Industries-)

  • 이은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5호
    • /
    • pp.619-64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ompar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extile industries and corresponding education systems in Korea and Italy. The Italian textile industry is well known for its continuous development of high quality textile fabrics and aesthetic fashion design. One of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success of Italian textile industry is its regional specialization of the industry and corresponding education systems. In particular, the regional education systems in Italy are designed to educate and supply labors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textile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tudy, this characteristic is well shown in their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e practicality and corporation with the industry. In contras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for the textile industry ignores the regional specialization and its curriculum is designed, in large part, to produce textile designers. This causes difficulties in meeting the various demands from the industry such as the textile planning, textile production, and textile marketing and sales. To solve the problems, we must encourage the industrial-educational corporation to promote the practicality of the textile education system and make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curriculum of textile education to cultivate men of talent, such as merchandisers, fashion coordinators, converters, stylists, and displayer, necessary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y.

  • PDF

지역의 산업구조 다양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Regional Industrial Diversity and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 Korea)

  • 김강성;송영필
    • 지역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43
    • /
    • 1999
  • The strategy of regional industrial specialization is empirically evaluat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and economic performances.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is measured by three industrial diversity indices such as ogive approach, entropy maximizing approach, and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instability in 12 regions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we found that the region with more diversified industrial structure experiences more stable in employment. Otherwise, the growth rate of the region with more simplified industrial structure is higher. Therefore, the strategy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is implemented in order to pursuit a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short run.

  • PDF

지역산림계획을 위한 주요 수종의 지역별 특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gional Specialization of Major Species for Regional Forest Plans)

  • 박주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30-339
    • /
    • 2017
  • 우리나라는 공 사유림에 대해서 광역시 도가 지역산림계획을 수립하여 산림을 경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지역산림 계획은 국가 단위의 산림기본계획과 임분 단위로 수립되는 산림경영계획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역산림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역단위 산림자원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 도 단위로 어느 수종이 집중되어 있는지 제시하여 지역산림계획의 효율적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집중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특화계수와 상대집중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면적과 재적 자료를 통하여 각각 산정하였다. 그 결과 각 시 도별로 집중되어져 있는 임업통계연보에서 제시된 주요 수종들을 순위 별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산림계획 수립 시 해당 지역에 집중된 수종을 고려하여 목표수종 혹은 경영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면적과 재적 기준의 결과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차후 지역의 수종별 생산성 요소도 반영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Mitigating the Shocks: Exploring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in the Regional Employment Resilience

  • Kiseok Song;Ilwon Se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3호
    • /
    • pp.323-344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ili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by assessing the impact of the financial crisis. Utilizing panel data at the prefecture level for metropolitan cities across pre-shock (2006-2008), shock (2009), and post-shock (2010-2019) periods, we calculated an employment resilience index by combining the resistance and recovery indices. The panel logit regression measures the influences of the region's industrial structure and external economic factors in respons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versity index of industries contributed to the post-shock recovery bounce-back.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large firms and industrial clusters within the region positively contributed to economic resilience. The special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showed negative effects, suggesting that regions overly reliant on manufacturing-centered specialization might b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Furthermore, excessive capital outflows for market expansion were found to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regional economic recovery.

대구.경북 시군별 지역농업 특성화 품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s in Daegu and Kyungpook Region)

  • 권중섭;장우환
    • 농촌계획
    • /
    • 제16권3호
    • /
    • pp.67-76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priority and selection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items from Daegu and Gyeongbuk region by using analytical tools such a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nd the Scor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ive major items were selected for each region based on Daegu and Gyeongbuk regional agricultural performances. 2) The results of AHP analysis, Daegu and Gyeongbuk's agricultural experts evaluated the weight of three decision-elements(objectiveness 0.35, efficiency 0.341, identity 0.309) and seven decision-elements. 3) Results of AHP and Scoring Method analysis, Investigated a priority of agricultural specialization 3 items in 25 cities and districts Daegu and Gyeongbuk regional agricultural performances. 4)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agricultural specialization polic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시설 시금치와 상추의 특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Specialization Factors for Greenhouse-Grown Spinach and Lettuce)

  • 이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82-387
    • /
    • 2017
  • 이 논문은 시설채소류의 특화계수와 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2005년, 2010년 농업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특화 계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시설 시금치와 상추의 특화정도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00년 이후 시설원예 채소류의 지역별 특화정도가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로짓분석을 통해 시설 시금치와 상추의 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시금치의 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1인당 GRDP, 연령, 학력, 평균종사자수, 컴퓨터보유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1인당 GRDP, 연령, 학력이 낮을수록, 평균 종사자수와 컴퓨터보유비율이 높을수록 시설 시금치가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추의 특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1인당 GRDP, 학력, 생산자조직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1인당 GRDP, 연령, 학력이 낮을수록, 생산자조직비율이 높을수록 시설 상추가 특화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설 엽채류의 지역별 특화수준을 진단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역농정의 역량을 선택과 집중의 강령에 입각하여 지역농업 특화 전략을 전개하는 대책이 요망된다.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A Study of Developing a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Using Expected Frequence)

  • 남기성;오민홍;홍현균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581-588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순위만 고려하는 집중도를 보완하여 기대빈도를 이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 NOHI(Nam-Oh-Hong Index)를 제안하고, 이를 지역별 직업별 종사자 수에 적용함으로써 지역별 특화 직종 분포에 활용하는데 있다. 지역 간 특화정도를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입지계수(LQ)의 경우, 해당산업의 지역 내 비중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 내 특성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 및 직종의 지역간 지역내 특화도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은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은 기계 재료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mart Specializ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Science Parks

  • Frohlich, Klaas;Hassink, Robert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7권2호
    • /
    • pp.74-81
    • /
    • 2018
  • The concept of Smart Specialization represents a major shift in EU structural policy. It recognizes place-specific qualities and particularly locally embedded knowledge to stimulate innovative economic performance. Although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the role of universities as innovation incubator, deliberations about their influence in regional innovation strategies (RIS3) in the context of smart specialization approaches are still under-represented. This paper therefore aims at discussing the potential role of universities and related incubator environments in smart specialization strategies, which is illustrated with the help of a German state, Mecklenburg-Vorpommern.

EU의 스마트 전문화 및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한국 지역산업정책 방향 (A Critical Review of the EU Smart Specialization and US Manufacturing Renaissance Policies and New Directions for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Korea)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82-798
    • /
    • 2016
  • 본 논문은 EU의 스마트 전문화 전략과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 지역산업정책의 방향을 제안한다. EU의 스마트 전문화 전략은 기업가적인 자기발견과 전략적 조정,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은 생태계에 기반한 산업공유자산의 구축, 그리고 한국의 지역산업정책은 클러스터에 기반한 지역혁신체제 구축으로 요약된다. EU와 미국 정책 사례는 지역산업정책이 지리적으로 착근되어야 한다는 점을 예증하고 있다. 또한 산업과 기술간 융 복합을 위해 산업정책과 혁신정책을 연계시킴으로써 정책수단 혼합의 적실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국가의 역할도 산업 생태계에서 민주적인 규율을 착근시키는 조정자, 매개자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향후 지역산업정책은 산업과 기술 간의 연계를 촉진할 수 있는 플랫폼 방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고령화율에 따른 농촌지역 산업구조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by the Ageing Rate in Korea)

  • 권영현;김의준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183-19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gional ageing rate to industrial structures of rural areas in Korea. This paper shows that there are cause-effect relations between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and ageing rate in 'Agriculture', 'Finance & Insurance', and 'Real Estate & Leasing' sectors. The ageing levels are classified into ageing society,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according to UN standard that cause different impacts on industrial specialization of regions. This paper finds that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is determined by the ageing levels. If there is an increase in ageing rate by 1% in ageing society,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of the three industries could be strengthened by 0.14%. But, ageing rates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in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by 0.76% and by 1.20%, respectively, as increasing ageing rate by 1%. As the ageing rate progresses, 'Agriculture', 'Finance & Insurance' and 'Real Estate & Leasing'sector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in the ageing society. But 'Finance & Insurance' and 'Real Estate & Leasing' sectors have changed into negative impacts on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in the aged society. In the aged society, the employment of elderly persons of 'Agriculture' and 'Finance & Insurance' sectors increase by 1% makes positive impact on the industrial specialization by 1.54%, by 0.45%,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a significant guideline at establishing regional employment planning such as elderly customized employment, vocational training for rural areas, where above 14% of ageing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