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novation

검색결과 959건 처리시간 0.031초

사회적 혁신과 지역발전 주체로서 공공기관의 새로운 역할 -광역단위 도시.개발공사 사례를 통한 시론적 검토- (Social Innovation and New Roles of Public Institution as a Regional Development Agency: The Preliminary Study with the Case of Urban Development Corporations)

  • 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0-321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발전정책의 새로운 기조로 등장하는 사회적 혁신의 개념과 단계별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사회적 혁신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을 규정하였다. 지역정책을 위한 개발사업의 집행자로서 도시 개발공사가 공간정책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는 오늘날 빈곤, 삶의 질, 행복 등 사회적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사회적 혁신으로 나아가야 하는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적 혁신에 있어 공공부문의 역할 평가를 위한 기본 틀을 구축하고, 우리나라 도시 개발공사를 대상으로 사회적 혁신에 있어 위상과 한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공사는 주택 및 택지개발사업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고,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도 활발하지만 궁극적으로 사회적 혁신으로 나아가기 위한 역량 구축과 아이디어를 실천하는 시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및 공간정책에 있어 사회적 혁신에 대한 수요 증대는 향후 도시 개발공사와 함께 관련 지역개발의 공공부문 주체들에게 커다란 과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정책적 대응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 PDF

테마파크 에버랜드의 혁신시스템 (Innovation System of a Theme Park: A Case Study of Everland in Yongin, Korea)

  • 최정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7-291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의 혁신시스템의 실태 및 혁신장애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에버랜드의 혁신 네트워크는 기업내 그리고 고객, 공급자 네트워크는 비교적 강하나, 경쟁자 및 대학과의 네트워크는 약하다. 기업내에는 혁신정보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으나, 그 상호학습 수준은 낮아 정보교환의 부족, 매개기관의 네트워크 부족, 연구와 실제 운영간의 갭 등의 혁신장애가 발생한다. 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협력과 신뢰 등의 사회자본을 축적시켜 에버랜드는 기업내 혁신원천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시키고, 이를 외부로 확산시켜 지역혁신시스템으로 확대 구축하여야 한다. 나아가 이를 통하여 기업내와 지역내의 혁신주체들간의 집단적 상호학습과 혁신창출의 과정을 통해 지역과 에버랜드 양자가 하나의 학습지역화가 되어야 한다.

  • PDF

혁신클러스터의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Cluster: A Case of the Pangyo Techno Valley in South Korea)

  • 정기덕;임종빈;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70-988
    • /
    • 2017
  • 혁신클러스터는 전 세계적으로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도 정책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혁신클러스터를 조성 및 육성하고 있다. 하지만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판교테크노밸리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혁신클러스터를 위해서는 혁신지향적인 환경,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 지식 네트워크의 활성화, 혁신성과의 환류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맥락이 기업가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Regional Contex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김선우;김문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847-859
    • /
    • 2019
  • Purpose: The companies must be located in the area, scale up, create jobs, and return to the local economy.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ontext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in the region of Korea. Methods: This paper analyzed survey data and regional statistics. We measured EO by region and then examined which regional context affect EO. Regional contexts were measured by population, economic size, budget size, firm size, innovation capacity, and education level. EO was measured by innovativeness, risk taking, proactiveness, autonomy, competitive aggressiveness, and need for achievement. Results: EO was high in the region where the budget size per thousand population, the number of manufacturers per thousand population, the number of new corporations per thousand population, the number of R&D personnel per thousand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er thousand population were high.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that regional context affect EO,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budget scale, firm size, innovation capacity, and education level. In regions with many investment resources for innovation and startups and manufacturers, the number of R&D personnel and student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uture R&D personnel), in particular, determines EO.

프랑스 로렌지역 지역혁신정책상의 거버넌스 구조: 혁신주체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Lorraine Region in France)

  • 배준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1-96
    • /
    • 2006
  • 프랑스의 로렌지역은 전통산업의 쇠퇴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은 유럽의 핵심 지역의 하나이다. 1970년대부터 정부는 탈산업화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정책을 도입하였다. 지역혁신체제라는 개념은 1980년대 중반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지역정책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등과 같은 부처들이 2003년부터 각종 정책의 수립과정에 지역혁신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1970년대부터 산업구조 조정의 압력을 받으면서 지역혁신정책을 추진해온 프랑스 로렌지역을 대상으로 지역혁신정책상의 거버넌스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체제론에 입각한 분석 틀에 기초하여 로렌지역의 지역정책과 거버넌스 구조를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로렌지역은 탈산업화로 인한 문제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와 기업, 민간단체 등의 혁신주체들이 상호 협력적으로 지역혁신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로렌지역의 정부 형태는 다층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협력이 잘 되고 있다.

  • PDF

규제자유특구와 지역특화발전특구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gulation-Free Special Zone and the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

  • 최호성;김정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1-36
    • /
    • 2019
  • 최근 세계경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서로 다른 기술 산업 간 융 복합이 활성화되고 새로운 기술이 빠르게 창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신기술 신서비스 기반의 혁신기술을 육성하고 있으나, 각종 규제로 인하여 신기술 신서비스에 대한 진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신기술 신서비스를 활용한 혁신사업이 규제의 제약 없이 실험 실증하고 사업화 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Sandbox)가 적용되는 규제자유특구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특화발전특구와 새로이 도입되는 규제자유특구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전국에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규제만을 완화하는 지역특화발전특구의 한계를 고찰하고, 규제자유특구가 신기술 기반의 실증 테스트 베드로 육성할 방향과 지역의 혁신성장 거점으로 성장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Performance and Alternative Policies of Techno-Park Built-up Project in Korea)

  • 이철우;김명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37
    • /
    • 2009
  • 우리나라의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은 지역의 기술혁신촉진, 산업구조 고도화 등을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으로서 시작되었다. 1997년 6개를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테크노파크는 현재 전국 15개 시도에 17개가 지정되어 창업보육, 시험생산, 교육 훈련 등의 다양한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역혁신사업 추진체계의 개편과 "산업기술단지지원에 관한 특례법" 개정, 2단계 테크노파크 조성사업 추진은 테크노파크가 지역의 기술혁신거점기능을 수행하고, 기술기업을 육성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정책 제도 사업적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앞으로 테크노파크가 지역에서 기술혁신거점기능을 강화하고 기술 기업육성의 중심기관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산 학 연 관과의 네트워크 활성화, 지역산업육성의 기획기능 강화, 지역 중소기업 지원의 단일창구 역할정립 등의 과제해결이 필요하다.

  • PDF

혁신클러스터 발전의 사회 ${\cdot}$ 제도적 조건

  • 이종호;이철우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5-217
    • /
    • 2003
  • Since the early 1990s, cluster-based policies have been celebrated as the basis of successful regional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strategy by encouraging regional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spillover. Mos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begun to seek to initiate some strategies for promoting industry clusters.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the cluster policies still focus on attracting related firms and establishing supporting agencies and physical infrastructures rather than improving soci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for cluster development such as social capital, networks, social learning capabilities, the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In this paper we attempt to elucidate soci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for cluster development and suggest some policy agenda to promote innovative cluster.

  • PDF

Modeling of Regional Management of Innovation Activity: Personnel Policy, Financial and Credit and Foreign Economic Activity

  • Prylipko, Sergii;Vasylieva, Nataliia;Kovalova, Olena;Kulayets, Mariia;Bilous, Yana;Hnatenko, I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43-48
    • /
    • 2021
  • The article proposes a method of modeling a comprehensive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regional management of innovation activity. This will make it possibl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ersonnel, financial and credit and foreign economic activity of the regions from the standpoint of an integrated approach. The modeling technique is proposed to be carried out using the tools of taxonomic analysis and the calculation of a complex indicator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novation activit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