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novation

검색결과 961건 처리시간 0.036초

지역혁신 패러다임과 지역혁신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중심으로한 변화 - (Study on Chang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Paradigm & the Structure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 Focused on Removal of Public Organization -)

  • 설기환;유석호;경병표;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73-381
    • /
    • 2015
  • 중앙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 공공기관 지역이전을 추진하였다. 수도권 집중현상의 분산과 지역혁신을 목표로 추진한 공공기관의 지역이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공공기관 이전으로 인한 새로운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이전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는 지역혁신체계의 변화 방향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서 지역혁신과 지역혁신체계의 기존연구와 현황을 통하여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를 발굴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이전과 지역혁신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지역혁신 패러다임에 고려될 사항과 이전 공공기관이 주체가 되는 지역혁신 체계의 추진방안을 도출하였다. 공공기관이 이전한 후의 지역혁신의 패러다임은 국가적, 세계적 문제를 풀어내고 창의적인 혁신이슈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전기관이 혁신의 주체로서 지역혁신을 이끄는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혁신의 성공요소로 지역중심의 정책입안을 포함한 5가지의 성공요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아직은 물리적 이전에 머무르는 공공기관이전의 결실이 지역혁신으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패러다임과 추진체계를 확보하여 국가의 미래를 견인하는 계기 마련에 도움이 되고 구체적인 혁신체계와 이슈개발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 공공기관이전이 지역과 국가 혁신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Emerging Green Clusters in South Korea? The Case of the Wind Power Cluster in Jeonbuk Province

  • Berg, Su-Hyun;Hassink, Robert
    • STI Policy Review
    • /
    • 제3권1호
    • /
    • pp.63-79
    • /
    • 2012
  •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clusters represent a fashionable conceptual basi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Due to question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production, the green industry has been increasingly discussed in relation to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clusters. This explorative paper analyzes these discussion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emergence of green clust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ase of the wind power cluster in Jeonbuk Province. It tentatively concludes that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too powerful and the role of regional actors (policy-makers and entrepreneurs) is too weak for the successful emergence of green clusters.

농촌마을교육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의 변화 분석 - 충남 아산시 송악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Regional Variation in Educational Community Formation of Rural Village - Case Analysis of Songak in Asan-si, Chungcheongnam-do -)

  • 고경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7-32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variations in which appear du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community in rural villages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innovation theory.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activities to form an educational community of the Songak vill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variations across th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beyond an innovation of public education within the region based on interrelation between schools and villages. In other words, the activities including interactions and group learning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among the various relevant stakeholders, thereby resulting in a variety of positive variations such as expanded regional welfare base, activated voluntary residents community gatherings based on the unity and cooperation, broadened socioeconomic opportunitie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nd cultural desires, and construction of healthy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reg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regional development policy suitable for each region needs to be established by embracing the fact that activities to form a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entail significant implication and value as the comprehensive regional innovation activities across the entire domains in each region.

Comparison of Innovation Capabilities - The Case of Chinese Regions -

  • Li, Hang;Kim, Sang-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25-234
    • /
    • 2022
  • 혁신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중진국의 함정에서도 빠져 나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지역별 혁신역량을 비교하기 위해 혁신 투입, 혁신 산출, 혁신 환경의 관점에서 지역혁신지수를 구성하고, 주성분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의 지역혁신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지역혁신역량은 지역별 차이가 크며 혁신역량이 높은 지역은 주로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남 연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혁신역량과 지역경제발전 수준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군집분석은 31개의 지역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결과에 의하면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연해안 지역의 혁신역량이 높고 이는 이들 지역이 입지적인 우위와 국가정책에서의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Return Migration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Sternberg, Rolf;Muller, Claudia
    • 기술혁신연구
    • /
    • 제13권2호
    • /
    • pp.71-95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role of return migrants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of a transition economy (China)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returning entrepreneurs in two emerging high-tech industries in Shanghai. The empirical analysis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founders of high-tech companies and experts in Shanghai.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return migrants are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Shanghai innovation system, which is presently in a transition from a former manufacturing site to a metropolitan region comprising a range of industries (including high-tech) and services. First of all, return migrants are important for the Shanghai RIS in terms of numbers. Second, they engage in activities in the medium range of high-tech which reflects prevailing weaknesses of the framework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Shanghai. However, due to their international background, returning entrepreneurs are able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and thu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ies in Shanghai and to a reduction of the technological lock-in.

  • PDF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대구지역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 비교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y of R&D and the Firm's Performance : Comparing Regional Strategy Industry with Non-Regional Strategy Industry in Daegu)

  • 신진교;조정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2호
    • /
    • pp.211-23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R&D 혁신역량의 구성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지역산업에 있어서 전략산업의 비중을 감안하여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에 비교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산업과 비전략산업 간의 차이분석 결과를 보면 CEO 기술혁신의지를 제외한 모든 R&D 혁신역량 부문에 있어서 전략산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업성과에 있어서는 비유의적이지만 전략산업의 기업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략산업 간 차이분석을 한 결과를 보면 기업성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자산순이익률의 경우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높게 나타났고, 매출액성장률에서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았다. R&D투입에 있어서 연구개발투자인력은 전자정보기기산업이 그리고 석 박사연구인력은 생물산업이 가장 높았고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전략산업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R&D과정에 있어서는 기술혁신전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전략산업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에서 전기정보기기산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R&D산출인 지적재산권 보유 정도에 있어서도 전자정보기기산업이 6.75건으로 가장 높았다. 셋째, 모든 산업에 있어서 R&D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R&D투입이 기업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는 달리 석 박사연구인력과 같이 연구개발인력의 질이 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적이지만 R&D성과 보다는 R&D과정이 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R&D 혁신역량이라는 점을 함께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산업 다양성과 혁신역량에 따른 지역 발전전략의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ccording to Industrial Varieties and Innovation Competency)

  • 한재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7-379
    • /
    • 202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의 산업 다양성 및 혁신역량을 진단하고 자생적 지역발전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제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지역발전정책이 다각도로 시도되었지만, 지역의 산업 특성 및 혁신역량을 고려한 발전전략 수립은 미흡하였다. 기술과 산업의 고도화 및 다변화에 따라 지역은 특정 산업에 특화하는 전략에서 벗어나 경제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적 다각화를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산업 다양성을 무관다양성(unrelated variety)과 연관다양성(related variety) 지표를 이용하여 특성화한다. 다양성 지표는 수도권-비수도권 간, 제조업-서비스업 간 상이한 양태를 보이며, 이는 지역발전에서 산업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마지막으로 다양성 지표와 혁신역량지표를 두 축으로 하여 우리나라 시군구 지자체의 현 상황을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맞는 지역발전정책 우선순위를 제안한다.

Evaluation of Regional Knowledge Innovation System in China: An Economic Framework Based on Dynamic Slacks-based Approach

  • CHIU, Sheng-Hsiung;LIN, Tzu-Y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3호
    • /
    • pp.141-149
    • /
    • 2019
  • The paper proposes a knowledge innovation performance model by the dynamic data envelopment analysis with slacks-based measure approach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30 regional knowledge innovation activities in China from 2010 to 2016. In recent years, China has paid more attention to knowledge innovation activities,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pushed on with their innovation projects by lots of investment whatever the difficulties may be. Decision-maker is usually interested in judge its knowledge innovation performance relative to target benchmark by exploring whether one provincial administration region performs better among others and/or if the growth of economy will be benefited greatly by the knowledge innovation activities. To acquire the managerial insight about this issue from a comprehensively design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knowledge innovation activity is conceptualized as an intertemporal production process. Invention patent and regional gross product are imposed on desirable outputs, highlighting the need for knowledge economy.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knowledge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decision-maker should be interest in the economic effect of patents' type and quality. The government should then encourage new technical applications with greater commercial value from a market-oriented perspective, in order to benefit the most from the innovation process in the short-run.

지역혁신체제에 있어 지역개발기구의 역할: 이탈리아 에밀리아 로마냐 지역개발기구(ERVET 시스템)를 사례로 (The Role of Regional Development Agency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ase of the ERVET System in Emilia Romagna, Italy)

  • 이철우;이종호;김명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0
    • /
    • 2003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의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함에 있어 핵심적 매개주체의 육성이 핵심적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진 사례로서 이탈리아 에밀리아 로마냐 지역의 지역개발기구인 ERVET 시스템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있어서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ERVET 시스템은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할 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리얼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수요자 중심적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대학$.$연구기관과 기업들을 네트워크 관계로 묶어냄으로써 이들 간에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가 원활히 이전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해 왔다. ERVET 시스템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토대로 하여, 필자들은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정부는 타율적이고 위계적 관료주의 성향이 지배적인 실정에서 지역혁신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각 광역자치단체 별로 ERVET 시스템을 비롯한 선진 지역개발기구의 운영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지역개발기구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 PDF

대전.충청지역 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지역별 혁신역량 (The Structure of Regional Industries for Daejeon.Choongchung Area and the Measurement of Regional Innovation Ability)

  • 김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79-290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 충청지역의 산업구조와 특성을 분석한 후 지역경제의 혁신여건과 지역별(광역자치단체중심) 혁신역량지수의 측정을 통하여 지역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혁신역량을 파악하고 하고자 하였다. 혁신역량지수는 유럽연합(EU)의 분류에 따라 인적자원부문, 지식창출부문, 지식의 전달 및 응용부문, 그리고 혁신지원 금융 산출 시장부문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으며, 이를 9개 광역자치단체별로 측정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총합혁신역량지수는 대전이 2.977로 가장 높고 다음이 서울로 2.650을 보임으로서 대전과 서울에 혁신활동이 집중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충남과 충북의 혁신역량지수도 비교적 높은 서울의 76~78%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여타 지역의 혁신역량지수는 서울이나 대전의 50~60%에 그치고 있어 지역 간 격차가 뚜렷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 간 격차가 심한 영역은 지식창출부문으로서 대전은 0.866인데 비하여 부산은 0.085로 무려 10배나 차이가 나고 있으며, 다음은 지식의 전달 및 응용부문과 혁신지원 금융 산출 시장부문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인적자원부문의 혁신지수는 지역 간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