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development

검색결과 4,254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전략산업 변화 및 효과분석;충청북도를 중심으로 (Effective Anlysis of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Focus on Chungbuk Province)

  • 배정환;이석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88-195
    • /
    • 2008
  • 본 연구는 지역전략산업진흥사업의 효과를 통하여 향후 분권적 상향적 지역산업정책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지역의 자생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지역의 혁신능력을 배양하여 지역산업을 진흥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한다는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지역산업의 진흥은 현 정부의 광역경제권 구축정책의 기본전제로 광역을 이루는 한 축의 발전이 타 지역에 비하여 낙후된다면 광역이라는 경제권구상에 있어 실패 또는 갈등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결과, 충북지역의 전략산업은 타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른 발전을 하였고 지역의 전략산업발전 정책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R&D체계의 효과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세계화시대 지역발전 (New Regional Geograph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49
    • /
    • 2002
  • 지리학은 지역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으로 지역지리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실증주의적 지리학의 등장과 더블어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던 지역지리학이 최근 활기를 되찾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사회이론들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부각된 지역지리학은 일련의 논쟁들, 예로, 공간성, 국지성, 재구조화, 포스트모더니즘 등의 개념을 둘러싼 논쟁들 속에서 지역에 관한 새로운 연구방법론들이 관심을 끌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간적 현상과 사회적 과정, 행위와 구조, 물질적인 것과 언어적인 것, 인간 사회와 자연환경 간의 관계 등이 지역지리학을 위한 주요 쟁점으로 남아 있다. 다른 한편, 이러한 새로운 지역지리학의 발달은 현실세계에서 이른바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는 지역발전과 관련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특히, 새로운 지역지리학은 지역의 체계적 개념화 및 지역 변화의 역동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전제로 하며, 이러한 지역발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새로운 지역지리학에 관한 지리교육의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 PDF

지역균형 발전과 농촌 지역사회개발정책 (A Study on the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and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김태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권2호
    • /
    • pp.233-246
    • /
    • 1996
  • Reviewing the meaning aid task of balance of regional development, this papa examines the causes of the underdevelopment of rural areas in relation to the urbanization process, probes the concept, principle and necessity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and suggests the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perspective of regionally balanced development. Since 1960's, Korea has pursued a growth-oriented economic policy. The focus on the aggregated growth, however, has resulted bo invite some regional dispar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regional disparity problems were quite a large rural areas compared with urban areas relatively. The under-development of rural areas is deeply correlated with the overcrowding (or overconcentration) phenomena of urban(or metropolitan) areas. The urban-biased policy is the primary cause of the deepening regional imbalance structur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inter-regions equitable and well-balanced development is one of the national policy issues by which the government is confronted, since the issue is closely related with national quality of life. Main three policy tasks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were 'the new paradigm of development policy' , 'local-oriented policy' and 'human-oriented policy'.

  • PDF

지역진흥을 위한 디자인개발 프로그램 (Design Program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 하상오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379-388
    • /
    • 2002
  • 본 연구는 현재 각 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온 지역활성화를 위한 방향이 캐릭터, 지역공동 브랜드, 특산품 개발 등 개별적인 응용아이템 개발위주로 진행됨에 따라 디자인의 역기능이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한편, 무한 경쟁으로써 의 지방 자치단체 개념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혁신의 수법으로 이용되어져온 CI계획을 지역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에 거시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지역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지역자원을 개발하며,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발상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지역진홍을 도모함에 있어 디자인이 중심적 역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성장 방향을 기반으로 하면서 행정조직의 활성화, 행정 이미지 향상, 지역이미지의 개성화라는 보다 복합적인 목표달성 뿐 만 아니라 지역자원으로서의 인재네트워크 개발까지도 시야에 넣는 보다 고도의 다양한 변혁, 표현 프로그램으로서 커뮤니케이션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지역의 자기검증 및 인식 작업, 자기 재정의(再定義) 작업, 자기 혁신운동 전개, 지역이미지 통합을 위한 시각화, 디자인 시스템 구축, 프로그램 실행과 확인등 6가지의 단계별디자인개발 프로세스에 의한 전략적이고 통합적인 지역진흥프로그램의 운용이 불가피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프로그램검증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와 피드백에 의한 프로그램의 개선으로 지역 진흥을 목표로 하는 지역의 기본구상이 미래비젼을 담은 지역의 독특한 개성으로 변환시켜 표출케 하는 지역개발기반 시스템으로서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 PDF

우리나라 지역개발정책에 대한 재고찰 (Reconsidering the Goal and Strategy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 김광호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2권1호
    • /
    • pp.69-96
    • /
    • 2010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지역개발정책을 평가하고, 현황 파악과 이론적 검토를 통해 향후 지역개발정책의 목표와 전략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지역정책은 일관되게 지역 간 균형을 추구하는 측면이 강했는데, 경제학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인위적인 지역 간 격차 완화,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의 완화는 효율성뿐만 아니라 공평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역 간 격차를 파악하고 OECD 주요국들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의 인구 및 소득 집중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나 지역 간 소득수준이나 여타 생활여건의 격차가 크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향후 지역정책은 인위적으로 경제활동을 재배치하여 지역 간 균형을 추구하기보다는 각 지역의 자생적 성장능력을 키워주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지역개발에 대해 현재 중앙정부가 가지고 있는 각종 권한을 대폭 지방으로 이전하여 지방의 자율성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의 성장은 궁극적으로 지방정부가 책임지도록 책임성을 부과할 필요가 있으며, 중앙정부는 지역발전을 위한 정보와 인력을 제공하는 등 건설적인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 PDF

글로벌 경제체제 하에서의 지역 R&D 효율화 방안 (Effective analysis of Regional Industry Development Project)

  • 배정환;이재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92-297
    • /
    • 2010
  • 본 연구는 글로벌 경제체제 하에서의 차세대 국가경쟁력기반인 광역경제권역 내에서의 지방 R&D 지원체계의 효율화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OECD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지역의 경제권역을 확대해 가면서 확대된 경제권역에 새로운 권한과 기능을 부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지역의 R&D의 역량을 강화하여 국가경쟁력의 기반인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우리나라의 지역 R&D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역 R&D 추진체계에 대한 현황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지역 R&D 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 구축전략 (Towards Effectiv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Korea)

  • 정선양
    • 기술혁신연구
    • /
    • 제8권1호
    • /
    • pp.31-48
    • /
    • 2000
  • Nowadays the role of region has been increased, as knowledge,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 important in economic development. This paper argues that a system approach is needed to enhance regional S&T capabilities. Under the this approach, we can identify a concep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s sub-systems of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is paper investigates Korea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based on R&D budget of region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is paper, Korean regional governments' R&D investment is very insufficient. There were no co-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governments' fiscal autonom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ir R&D investment. This paper argues that such a poor investment will restrict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ome strategic op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s follows. First, regional governments should increase their R&D budget. Second, their R&D efforts should be related with their specific industrial sectors. Third, they should target not only to create new promising industrial sectors but also to enhanc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existing sectors. Fourth, their target group should b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inally, regional governments should adopt small and incremental approach to improve their innovation systems.

  • PDF

뉴스초점: 동북아 초국경적 지역협력의 동향 및 전망 (Trends and Future Prospects for Transborder Regional Cooperation in Northeast Aisa)

  • 이선
    • 기술사
    • /
    • 제43권5호
    • /
    • pp.25-30
    • /
    • 2010
  • The 2010 PCRD(Presidential Committee on Regional Develop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aims at designing regional policies to enhance regional growth potential and inter-regional cooperation. Increasing economic interdependence in Northeast Asia in particular among the 3 countries of China, japan and Korea, requires enlightened territorial development policies of each country to accommodate the need for close cooperation and networking across the border. The security problem in the Korean peninsula requires the importance for earnest dialogue and discussion between neighbors about the common future of Northeast Asia. Cross-border cooperation and networking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regional stability and development in this era of borderless globalization.

  • PDF

Universities and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on Ecosystems: Case of Kenya

  • Osano, Hezron M.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6권2호
    • /
    • pp.113-129
    • /
    • 2017
  • Universities are considered important actors and driver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e regional innovation eco-system.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ole Kenya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play i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innovation eco-system in the context of triple and Quadruple helices. A model involving Government, Industry, Universities and Society (Public) linkages in the regional innovation eco-system and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 an enabler is used as a framework for analysing the nature of linkages in Kenya. The article us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to examine how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can spur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eco-systems.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role of Kenya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spurring innovation ecosystems? Six cases of Kenya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considered in the light of Government Policy on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STI) which is underpinned in Kenyan constitution 2010.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how deep collaboration among universities,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Science Cities, local,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players spurs the creation of world-class innovation ecosystems which can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Kenya.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Intensific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Under the Impact of Potential-Forming Determinants in the Conditions of Digitalization

  • Tulchinskiy, Rostislav;Chobitok, Viktoriia;Dergaliuk, Marta;Semenchuk, Tetiana;Tarnovska, I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97-104
    • /
    • 2021
  • The key challenges and problematic aspects of the formation of intellectually and innovation-oriented strategies of regional entities at the present stage of their development are considered. The main task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strategizing the potential-forming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c systems in the context of digitalization are identified. The list of key organizational and economic directions of strategic character of providing intellectual and innovativ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c systems is formed, which includes clustering of centers of high-tech development of regions, creation of creative hubs, development of knowledge infrastructure and improvement of interregional coopera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of the presented strategic organizational and economic directions is given. Based on the analysis, the key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c entities in the context of digital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potential-forming determinants, which form the content basis for further processes of strategizing qualitative aspects of development of specific regional ent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