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 depriv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7초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a Growth-Arrested Pseudomonas putida

  • Hahm, Dae-H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3권1호
    • /
    • pp.11-14
    • /
    • 1998
  • A toluene-oxidizing strain of Pseudomanas mendocina KR1 containing toluene-4-mono-oxygenase (TMO) completely degrades TCE with the addition of toluene as a co-substrate in aerobic condition. In order to construct in situ bioremediation system for TCE degradation without any growth-stimulating nutrients or toxic inducer such as toluene, we used the carbon-starvation promoter of Pseudomonas putida MK1 (Kim, Y. et al., J. bacteriol., 1995). Upon entry into the stationary phase due to the deprivation of nutrients, this promoter is strongly induced without further cell growth. The TMO gene cluster (4.5 kb) was spliced downstream of the carbon starvation promoter of Pseudomonas putida MK1, already cloned in pUC19. TMO under the carbon starvation promoter was not expressed in E. coli cells either in stationary phase or exponential phase. For TMO expression in Pseudomonas strains, tmo and carbon starvation promoter region were recloned into a modified broad-host range vector pMMB67HES which was made from pMMB67HE(8.9 kb) by deletion of tac promoter and lacIq (about 1.5 kb). Indigo was produced by TMO under the carbon starvation promoter in a Pseudomonas strain of post-exponential phase on M9 (0.2% glucose and 1mM indole) or LB. 18% of TCE was degraded in 14 hours after entering the stationary phase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6.6 ${\mu}$M in liquid phase.

  • PDF

현대시를 통한 낙동강 수계 지역의 지리적 이미지 연구 (A study on Geographical Images of Nakdong River Region Represented in the Modern Poetry)

  • 김수정;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73-690
    • /
    • 2015
  • 이 연구는 낙동강 수계 지역을 배경으로 한 현대시에 재현된 지리적 이미지를 시대적 상황, 지리적 하위영역, 공간적 배경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들 시들은 일제강점기의 강제적 인구이동, 해방 후의 경제적 빈곤, 한국전쟁으로 인해 피폐화된 국토, 경제개발, 환경문제와 생태시, 장소감 등 시대적 이미지를 잘 형상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시는 장소감을 통해 인문지리적 이미지를 비롯하여, 지형과 기후라는 자연지리적 이미지, 그리고 경제개발과 환경오염 이미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공간적 배경을 통해 볼 때 낙동강 상류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시는 황지를 비롯하여 안동 지역의 아름다운 지형이나 개인의 장소감을 노래한 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비해 중 하류 지역과 관련하여서는 현실을 반영한 사회비판적인 시가 많다. 이것은 낙동강 상류 지역에 비해 중류나 하류 지역에 대도시와 산업지역이 다수 분포해 있고, 강이라는 지형이 하류 쪽으로 갈수록 오염도가 심화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낙동강을 배경으로 한 시는 시대적 상황, 지리공간적 이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 PDF

갈근(葛根)의 뇌해마(腦海馬) 신경세포 손상보호와 항산화(抗酸化) 효능에 대한 연구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 of Puerariae Radix on Hippocampal Neurons and BV-2 Microglia Cells)

  • 김상현;김연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16-425
    • /
    • 2005
  • This study demonstrated neur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uerariae Radix for cerebral ischemia. Neuroprotective effects were studied by using oxygen/glucous deprivation of the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to complement limitations of in vivo and in vitro models for cerebral ischemia study. Anti-oxidative effects were studied on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H_2O_2$ and nitric oxid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CA1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during whole 48 hours of the experiment.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DG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during whole 48 hours of the experiment.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TUNEL-positive cells in both CA1 region and DG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The group treated with $50\;{\mu}g/m{\el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significant decrease of TUNEL-positive cells in CA1 region.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LDH concentrations in culture media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s of cell viabilities of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H_2O_2$. The group treated with $5{\mu}g/m{\el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of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nitric oxid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e Radix of cerebral ischemic revealed neuroprotective effects through the control effect of apoptosis and oxidative damages.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대황(大黃)의 항산화와 신경세포손상 보호효능에 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Rhei Rhizoma on BV-2 Microglia Cells and Hippocampal Neurons)

  • 명성하;김연섭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47-655
    • /
    • 2005
  • This study demonstrated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Rhei Rhizoma. Anti-oxidative effects were studied on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H_2O_2$ and nitric oxide. Neuroprotective effects were studied by using oxygen/glucose deprivation of the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 mg/m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CA1 region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during whole 48 hours of the experiment. The group treated with 50 mg/m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CA1 region,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 mg/m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dentate gyrus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during whole 48 hours of the experiment. The group treated with 50 mg/m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decreases of neuronal cell death area and cell death area percentages in dentate gyrus,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 mg/m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TUNEL-positive cells in both CA1 region and dentate gyrus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The group treated with 50 mg/m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significant decrease of TUNEL-positive cells in CA1 region, but not in dentate gyrus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 mg/m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s of LDH concentrations in culture media of ischemic damaged hippocampus cultures. The group treated with 50 mg/m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decrease of LDH concentrations in culture media, but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groups treated with 0.5 and 5 mg/m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s of cell viabilities of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H_2O_2$. The group treated with 50 mg/m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increase of cell viability of BV-2 microglia cells, but i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group treated with 0.5 mg/ml of Puerariae Radix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of cell viability of BV-2 microglia cells damaged by nitric oxide. The groups treated with 5 and 50 mg/ml of Puerariae Radix demonstrated increases of cell viabilities of BV-2 microglia cells,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uerariae Radix revealed neuroprotective effects through the control effect of apoptosis and oxidative damages.

Bis i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via Activation of HSF1

  • Yoo, Hyung Jae;Im, Chang-Nim;Youn, Dong-Ye;Yun, Hye Hyeon;Lee, Jeong-Hwa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5호
    • /
    • pp.403-409
    • /
    • 2014
  • The Bis protein is known to be involved in a variety of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apoptosis, migration, autophagy as well as protein quality control. Bis expression is induced in response to a number of types of stress, such as heat shock or a proteasome inhibitor via the activation of heat shock factor (HSF)1. We report herein that Bis expression is increased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in HK-2 kidney tubular cells and A172 glioma cells by exposure to oxidative stress such as $H_2O_2$ treatment and oxygen-glucose deprivation, respectively. The pretreatment of HK-2 cells with N-acetyl cysteine, suppressed Bis induction. Furthermore, HSF1 silencing attenuated Bis expression that was induced by $H_2O_2$, accompanied by increase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Using a series of deletion constructs of the bis gene promoter, two putative heat shock elements located in the proximal region of the bis gene promoter were found to be essential for the constitutive expression is as well as the inducible expression of Bis.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oxidative stress induces Bis expression at the transcriptional levels via activation of HSF1, which might confer an expansion of antioxidant capacity against pro-oxidant milieu. However, the possible role of the other cis-element in the induction of Bis remains to be determined.

돌봄 제공자가 인식하는 입원아동의 수면양상 및 수면방해 요인에 대한 융합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Sleep Patterns and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Inpatients Children Recognized by Care Providers)

  • 박소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11-318
    • /
    • 2020
  • 본 연구는 입원 중인 아동의 수면양상의 변화 및 수면방해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6세 이하 아동 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WIN 21.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동의 수면시간은 입원 전에 비해 입원 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수면잠복기(p<.001)와 수면 박탈 횟수(p<.001)에 차이가 있었다. 돌봄 제공자인 어머니가 인식하는 아동의 수면방해 요인은 아동의 건강 상태, 병실 내 소음, 간호사의 처치, 병실 내 조명 등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입원 시 수면의 시간과 질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원 아동의 수면양상의 변화와 방해 요인을 파악한 연구를 바탕으로 입원 아동의 수면 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아세안 2017년: 민주주의 위기와 아세안 규범 (ASEAN in 2017 : Democracy in Crisis and ASEAN Norms)

  • 김형종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8권2호
    • /
    • pp.119-145
    • /
    • 2018
  • 2017년 창설 50주년을 맞은 아세안(ASEAN)은 제도적 보완과 기능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련의 선언과 행동 계획을 채택했다. 아세안의 '회합력'(convening power)이 아세안 중심성(centrality)과 회복력(resilience)을 촉진하고 있다. 반면 아세안 회원국의 민주주의 후퇴는 전통적 규범의 한계를 심화시키고 아세안의 이행력을 저하시킨다. 이 글은 아세안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 전망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아세안의 제도적 발전과 기능적 협력의 현황을 아세안 공동체 건설의 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둘째, 아세안의 대외 관계를 중국, 미국,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남중국해 이슈 및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는 아세안-중국관계의 복잡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 동남아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아세안의 단결이 필요하다. 한국의 신남방정책은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양자 관계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외 환경의 변화 속에 아세안 단결과 중심성의 강화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Repopulation of autophagy-deficient stromal cells with autophagy-intact cells after repeated breeding in uterine mesenchyme-specific Atg7 knockout mice

  • Ji-Eun Oh;Sojung Kwon;Hyunji Byun;Haengseok Song;Hyunjung Jade Lim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3호
    • /
    • pp.170-176
    • /
    • 2023
  • Objective: Autophagy is highly active in ovariectomized mice experiencing hormone deprivation, especially in the uterine mesenchyme. Autophagy is responsible for the turnover of vasoactive factors in the uterus, which was demonstrated in anti-Müllerian hormone receptor type 2 receptor (Amhr2)-Cre-driven autophagy-related gene 7 (Atg7) knockout (Amhr-Cre/Atg7f/f mice). In that study, we uncovered a striking difference in the amount of sequestosome 1 (SQSTM1) accumulation between virgin mice and breeder mice with the same genotype. Herein,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repeated breeding changed the composition of mesenchymal cell populations in the uterine stroma. Methods: All female mice used in this study were of the same genotype. Atg7 was deleted by Amhr2 promoter-driven Cre recombinase in the uterine stroma and myometrium, except for a triangular stromal region on the mesometrial side. Amhr-Cre/Atg7f/f female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irgin mice with no mating history and aged between 11 and 12 months, and breeder mice with at least 6-month breeding cycles with multiple pregnancies and aged around 12 months. The uteri were used for Western blotting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Results: SQSTM1 accumulation, representing Atg7 deletion and halted autophagy, was much higher in virgin mice than in breeders. Breeders showed reduced accumulation of several vasoconstrictive factors, which are potential autophagy targets, in the uterus, suggesting that the uterine stroma was repopulated with autophagy-intact cells during repeated pregnancies. Conclusion: Multiple pregnancies seem to have improved the uterine environment by replacing autophagy-deficient cells with autophagy-intact cells, providing evidence of cell mixing.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인성 심장정지환자의 생존 관련 요인 7년간 국가심장정지조사사업 자료 활용 (The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with Cardiac Etiology)

  • 정수연;김철웅;홍성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60-569
    • /
    • 2016
  • 목적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인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 관련 요인들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응급의료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 우리나라 119 구급대가 이송한 심장정지 환자 전수 자료 중 심인성 심장정지 환자 90,734명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심장정지 조사 자료는 같은 지역 내 환자의 생존 여부가 상호 관련성이 있는 다층적 구조의 자료이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환자-지역 2단계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 시행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생존 퇴원 가능성이 1.40배, 병원 도착전에 제세동을 신속히 시행한 경우 생존퇴원 가능성이 2.98배 높았다. 병원별 응급의학 전문의 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의수가 가장 적은 경우인 1분위를 기준으로 2분위인 경우 1.29배, 3분위인 경우 2.89배, 4분위인 경우 3.39배, 5분위인 경우 4.07배 생존퇴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병원별 연평균 심장정지 환자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심장정지 환자를 가장 적게 보는 병원인 1분위를 기준으로 각각 2분위인 경우 2.06배, 3분위인 경우 3.06배, 4분위인 경우 3.46배, 5분위인 경우 4.36배 생존퇴원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또 지역박탈지수를 5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지역박탈지수가 가장 낮은 지역인 1분위를 기준으로 2분위인 경우 교차비가 0.96, 3분위인 경우 1.00, 4분위인 경우 0.72, 5분위인 경우 0.64를 보여 지역박탈지수가 높을수록 생존퇴원 가능성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결론 일반인에 의해 CPR이 시행된 경우, 병원 도착 전에 제세동을 신속히 시행한 경우 생존 퇴원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많은 병원과 심장정지 환자를 많이 보는 병원에서 처치되었을 때, 지역 박탈지수가 낮을수록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