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seaweed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6초

Phylogeographic patterns in cryptic Bostrychia tenella species (Rhodomelaceae, Rhodophyta) across the Thai-Malay Peninsula

  • Bulan, Jakaphan;Maneekat, Sinchai;Zuccarello, Giuseppe C.;Muangmai, Narongrit
    • ALGAE
    • /
    • 제37권2호
    • /
    • pp.123-133
    • /
    • 2022
  • Genetic diversity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marine macroalgae are increasingly being documented in Southeast Asia. These studies show that there can be significant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nd isolation between populations on either side of the Thai-Malay Peninsula. Bostrychia tenellla is a common filamentous red seaweed in the region and the entity is represented by at least two cryptic species. Despite being highly diverse and widespread,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is species complex remains understudied, especially around the Thai-Malay Peninsula. We analyzed genetic diversity and inferred the phylogeographic pattern of specimens identified as B. tenella using the plastid RuBisCo spacer from samples from the Andaman Sea and the Gulf of Thailand. Our genetic analysis confirmed the occurrence of the two cryptic B. tenella species (B and C) along both coasts. Cryptic species B was more common in the area and displayed higher genetic diversity than species C. Historical demographic analyses indicated a stable population for species B, but more recent population expansion for species C. Our analyses also revealed that both cryptic species from the Andaman Sea possessed higher genetic diversity than those of the Gulf of Thailand. We also detected moderate to high levels of gene flow and weak phylogeographic structure of cryptic species B between the two coasts. In contrast, phylogeographic analysis showe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populations of both cryptic species within the Andaman Sea.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yptic B. tenella species around Thai-Malay Peninsula may have undergone different demography histories, and their patterns of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ography were likely caused by geological history and regional sea surface current circulation in the area.

한국 제주 연안의 조하대 해조상 및 군집구조 모니터링(2016-2018) (Monitoring of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Subtidal Zone around Jeju Coasts, Korea (2016-2018))

  • 김보연;한송헌;김정년;고준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91-70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seasonal variations of subtidal marine algal community structures along four sites in Jejudo Island, Korea, from February 2016 to November 2018. A total of 147 marine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3 green (8.84%), 26 brown (17.69%), and 108 red algae (73.47%).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in Sagye (116 species) followed by numbers in Sinheung (98 species), Bukchon (90 species) and Sinchang (73 species). Ecklonia cava, Peyssonnelia caulifera, Synarthrophyton chejuense, Corallina aberrans and Corallina crassisima occurred at all study sites and in all seasons. The average annual biomass of marine algal flora was 746.29±88.85 g wet wt./m2 and ranged from 652.25 g/m2 at Sinheung to 979.91 g/m2 at Sagye. The brown alga E. cav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42.85% (319.80 g/m2) of the total seaweed biomass. Subdominant species were C. crassissima and Undaria pinnatifida, comprising 10.22% (76.29 g/m2) and 9.66% (72.13 g/m2), respectively. A similarity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lgal communities, with three distinct groups.

Intensive land-based production of red and green macroalgae for human consumption in the Pacific Northwest: an evaluation of seasonal growth, yield, nutritional composition, and contaminant levels

  • Gadberry, Bradley A.;Colt, John;Maynard, Desmond;Boratyn, Diane C.;Webb, Ken;Johnson, Ronald B.;Saunders, Gary W.;Boyer, Richard H.
    • ALGAE
    • /
    • 제33권1호
    • /
    • pp.109-125
    • /
    • 2018
  • Turkish towel (Chondracanthus exasperatus), Pacific dulse (Palmaria mollis, also known as Red ribbon seaweed), and sea lettuce (Ulva spp.) were cultivated in a land-based intensive culture system at the Manchester Research Station, USA from August 2013 to September 2014. Macroalgae were grown in tumble-aerated tanks, harvested bimonthly for seasonal growth calculations, and analyzed for protein, lipid, ash, and amino acid content. Growth rate of all three species exhibited a similar pattern, with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s occurring during the summer months (Turkish towel: 7.8%, Pacific dulse: 8.2%, and sea lettuce: 6.2%).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lowest around winter solstice; with negative growth only observed in sea lettuce. On a dry weight bas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content existed between the three species with highest values for sea lettuce ($29.5{\pm}1.4%$). Lipid content varied between species (0.95-2.78%) with significantly higher lipid observed in sea lettuce (0.58-4.8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on a seasonal basis among each species. Essential amino acids accounted for $43{\pm}0.9$ to $47{\pm}1.2%$ of total amino acids with Turkish towel having the highest value. Turkish towel had a significantly higher taurine level ($0.82{\pm}0.27$) than the other macroalgae. The level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heavy metals were low. The estimated annual product of the three species ranged from 50- to $70-mt\;dry\;weight\;ha^{-1}\;y^{-1}$,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ventional crops. Land-based culture of these species can produce year-round harvest, consistent product quality, and low contaminant levels.

한국 동해안 중부의 저서 해조류 군집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on the Mid-east Coast of Korea)

  • 이재일;김현겸;유경동;윤희동;김영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9
    • /
    • 2015
  • 우리나라 동해안 중부의 축산항 지역에서 2007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계절별로 조간대와 조하대 해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밝혀진 해조류는 총 98종(녹조류 13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2종)이었고, 조사시기별로는 33~63종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녹조류 2종(구멍갈파래, 떡청각), 갈조류 3종(참그물바탕말, 톳, 왜모자반), 그리고 홍조류 11종(작은구슬산호말, 혹돌잎, 참도박, 참지누아리, 붉은까막살, 진분홍딱지, 진두발, 잔금분홍잎, 개서실, 모로우붉은실, 참보라색우무)의 16종은 모든 조사시기에 관찰되었다. 해조류의 단위면적당 생물량은 평균 $629.68g\;dry\;wt\;m^{-2}$이었으며, 계절별로 $119.30{\sim}1,660.96g\;dry\;wt\;m^{-2}$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지역 해조군집의 수직분포는 조간대에서 작은구슬산호말과 모자반류, 조하대 1 m에서 모자반류, 5 m에서 모자반류와 무절산호조류 그리고 10 m에서 무절산호조류로 대표되었다.

Xanthophylls과 해조 부산물 첨가 급여가 육계의 사양성적, 육색 및 항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anthophylls and See Weed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Color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Broiler Chicks)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8-134
    • /
    • 2004
  • 본 시험은 천연 및 합성착색제와 해조부산물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착색도, 항산화도 및 색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단백질과 에너지를 동일 수준으로 배합하였고, 사료내 xanthophylls 함량은 총 30 ppm이 되도록 하였다. 시험처리구로는 대조구(무첨가구, T1), Oro Glo 첨가구(천연황색소, T2), Kem Glo 첨가구 (천연적색소, T3), canthaxanthin 첨가구(합성적색소, T4), asthaxanthine 첨가구(천연적색소, T5)와 해조부산물 첨가구(T6)로 나누어 5주간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T6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해 T2, T3 및 T4에서 낮았고, T5 및 T6구에서는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율과 복강내지방은 처리구간 착색제에 따른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근위무게는 T6구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리 착색도는 대조구와 T6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착색효과에 있어서는 황색 착색제보다 적색 착색제에서, 그리고 합성착색제보다는 천연착색제에 의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닭고기의 POV, TBARS 및 pH는 저장 12일 이후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처리 간 차이는 대조구보다 착색제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육색에서 CIE L$^{*}$ (명도)값과 b$^{*}$ (황색도)값은 저장기간 및 착색제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a$^{*}$ (적색도)값은 저장 12일 후 모든 처리구가 감소(p<0.05)하였으나. T4와 T5구의 a$^{*}$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xanthophylls 종류에 따라 육색에 영향을 미치고, 저장 중 지방산화가 억제되었다.

새만금 방조제 외측 고군산군도 지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Gogunsan Islands outside the Saemangeum Dike)

  • 김주희;고용덕;김영식;남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6-165
    • /
    • 2011
  • 고군산군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7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군산군도에서 출현한 해조류는 총 58종으로, 녹조식물 10종, 갈조식물 16종, 홍조식물 32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그 중 11종은 연중 출현하였다. 평균 생물량은 Sinsido 1 정점에서 213.8 g $m^{-2}$, Sinsido 2 정점에서 143.1 g $m^{-2}$, Sinsido 3 정점에서 133.3 g $m^{-2}$, Munyeodo 정점에서 164.0 g $m^{-2}$, Seonyudo 정점에서 116.9 g $m^{-2}$, Jangjado 정점에서 145.1 g $m^{-2}$으로 Sinsido 1 정점에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으며, Sinsido 4 정점에서 최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물량에서 우점종은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lva pertusa), 톳(Sargassum fusiforme) 및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이었으며, 지충이는 전 계절에 걸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여 이 지역 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역의 6개 기능형군은 성긴분기형(46.6%), 사상형(27.6%), 엽상형(17.2%), 다육질형(3.4%), 유절산호말형(3.4%), 각상형(1.7%)군으로 구분되었다. 해조류의 지역적 특성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C/P, R/P 그리고 (R+C)/P값은 각각 0.33~0.75, 1.11~2.50, 1.47~3.25이었다. 종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로 본 고군산군도의 해조군집 안정도는 '불안정'하고 환경상태는 '나쁜것'으로 나타났다. MDS와 군집분석 결과, Sinsido 2, Sinsido 3, Seonyudo, Munyeodo로 이루어진 그룹, Sinsido 1, Jangjado로 이루어진 그룹, 그리고 Sinsido 4로 이루어진 총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암반이 적어 해조류가 빈약하였던 Sinsido 4는 다른 정점과 유사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35종 해산 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조성과 스테롤함량 (Proximate Composition and Sterol Content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 정보영;최병대;문수경;이종수;정우건;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2-197
    • /
    • 1999
  • 통영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35종의 해산무척추동물의 일반성분 조성과 sterol 및 $\alpha$-토코페롤함량을 정량하여 종별로 비교하였다. 단백질함량은 복족류 ($17.2\pm4.30\%$ ), 갑각류 ($16.8\pm4.06\%$), 두족류 ($15.3\pm3.24\%$) 등 초식성 및 육식성의 무척추동물에 비교적 많았고, 2매패류 ($11.8\pm2.49\%$), 멍게류 ($8.20\pm1.00\%$) 등 plank-ton 식성의 경우에 적었으며, 특히 해삼류 ($3.94\pm1.13\%$)와 같은 니식자 (mud swallow)에서는 아주 적었다. 총지질함량은 $0.24\%(청삼)\~1.96\%(멍게)$의 범위로 비교적 적었다. 탄수화물함량은 멍게류 ($6.60\pm4.53\%$ ), 2매패류 ($3.15\pm1.82\%$), 복족류 ($3.02\pm1.61\%$)에서 비교적 많았고, 두족류 ($1.00\pm0.63\%$)와 갑각류 ($0.52\pm0.57\%$)에서는 아주 적어 보통 어류의 경우와 유사하였다. 또한 수분함량은 해삼류 ($92.0\pm1.94\%$)에서 가장 많았고, 복족류 ($77.0\pm1.95\%$)에서 가장 적었으며, 나머지는 $80\~82\%$로서 대체로 유사하였다. 수분함량과 단백질함량 및 지질함량, 그리고 단백질함량과 지질함량 사이에는 각각 y= -0.8716x+184.452 (r=-0.87, p<0.001), $y=128.52e^{-0.0601x}$ (r=-0.55, P<0.001), $y=6.3047e^{-0.0904x}$(r=-0.42, P<0.02)으로서 모두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sterol 함량은 (청삼 56mg/100g edible portion)에서 가장 적었고, 새조개 (216mg/100g)에서 가장 많았다. 동물그룹별로 보면 두족류 (148 $\pm$30.0mg) > 2매패 (121$\pm$35.0mg) > 복족류 (118$\pm$20.0mg) > 갑각류 (116$\pm$31.0mg) > 멍게류 (78.0$\pm$2.00 mg)> 해삼류 (62.0$\pm$8.00 mg)의 순으로 sterol 함량이 많았다. $\alpha$-토코페롤함량은 갑각류에서 1$\~$2 mg/100g를 함유하였으나, 나머지 무척추동물에서는 흔적 또는 1 mg/100g 이하였다.

  • PDF

강화 지역 중년 남.녀의 의례 음식 섭취 실태 (Patterns of Ceremonial Foods for Middle-aged Residents in Ganghwa)

  • 김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5-465
    • /
    • 2008
  • 강화 지역의 전통음식, 시절식과 12달 동안의 절기식 및 출산시, 삼칠일, 백일, 돌, 화갑, 혼례 등의 통과 의례 음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강화에서 20대 전후부터 거주하여 30년 이상 계속 거주한 50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절기식은 정월대보름(87.5%), 추석(84.4%), 정월초하루 설날(79.8%), 동지(77.4%)로 주로 농사와 관련된 명절이 우세한 것으로 보였다. 통과 의례 음식 중 돌상은 86.4%가 차렸으며, 백설기, 수수팥떡, 송편, 인절미, 과일, 잡채 등의 음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아이 낳은 산모에게 쌀밥과 미역국을 대접하는 경우가 367명(96.1%)이었다. 생일상을 집에서 차리는 경우는 256명(67.0%), 차리지 않는 경우는 126명(33.0%)이었다. 차리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는 38.2%, '귀찮아서'는 19.4%로 57.6%를 차지하였다. 폐백상차림은 육포(닭), 대추, 밤이 기본적인 음식이었으며, 회갑상을 차리는 경우는 120명(31.4%)이었다. 제사를 장남집에서 모신다고 한 경우는 53.4%이었으며, 제사가 필요한 이유는 관습대로 지키는 것보다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더 많았다(p<0.05). 제사 음식은 주로 천주교는 친정어머니(66.7%)에게서 배우고, 불교는 37.9%, 유교는 54.5%가 시어머니에게서 배워 종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임신 중 금기 식품은 개고기, 게장, 꽃게, 닭고기, 오리고기, 토끼고기, 팥죽, 팥밥, 커피, 모난 것, 물렁뼈가 있는 것, 불결한 모양, 비늘 없는 생선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전통적인 의례 행사가 많이 변형되고 쇠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으로 지역의 축제나 전시회, 품평회, 대중매체를 통해 꾸준한 홍보 활동 등으로 전통의 맥을 이어야 하겠다.

  • PDF

Landscapes and Ecosystems of Tropical Limestone: Case Study of the Cat Ba Islands, Vietnam

  • Van, Quan Nguyen;Duc, Thanh Tran;Van, Huy Din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1호
    • /
    • pp.23-36
    • /
    • 2010
  • The Cat Ba Islands in Hai Phong City, northern Vietnam, consist of a large limestone island with a maximum height of 322 m above sea level and 366 small limestone islets with a total area of about $180\;km^2$. The islands are relicts of karst limestone mountains that became submerged during the Holocene transgression 7000 - 8000 year ago. The combination of the longtime karst process and recent marine processes in the monsoonal tropical zone has created a very diversity landscape on the Cat Ba Islands that can be divided into 3 habitat types with 16 forms. The first habitat type is the karst mountains and hills, including karst mountains and hills, karst valleys and dolines, karst lakes, karst caves, and old marine terraces. The second habitat type is the limestone island coast, including beaches, mangrove marshes, tidal flats, rocky coasts, marine notch caves, marine karst lakes, and bights. The third habitat type is karst plains submerged by the sea, including karst cones (fengcong) and towers (fengling), bedrock exposed on the seabed, sandy mud seabed, and submerged channels. Like the landscape, the biodiversity is also high in ecosystems composed of scrub cover - bare hills, rainy tropical forests, paddy fields and gardens, swamps, caves, beaches, mangrove forests, tidal flats, rocky coasts, marine krast lakes, coral reefs, hard bottoms, seagrass beds and soft bottoms. The ecosystems on the Cat Ba Islands that support very high species biodiversity include tropical evergreen rainforests, soft bottoms; coral reefs, mangrove forests, and marine karst lakes. A total of 2,380 species have been recorded in the Cat Ba Islands, included 741 species of terrestrial plants; 282 species of terrestrial animals; 30 species of mangrove plants; 287 species of phytoplankton; 79 species of seaweed; 79 species of zooplankton; 196 species of marine fishes; 154 species of corals; and 538 species of zoobenthos. Many of these species are listed in the Red Book of Vietnam as endangered species, included the white-headed or Cat Ba langur (Trachypithecus poliocephalus), a famous endemic species. Human activities have resulted in significantly changes to the landscape end ecosytems of the Cat Ba islands; however, many natural aspects of the islandsd have been preserved. For this reason, the Cat Ba Islands were recognized as a Biological Reserved Area by UNESCO in 2004.

1900년대 초 외국인이 본 한국인의 식생활 (Korean Dietary Life from the View of Foreigner in the early 1900s)

  • 정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63-476
    • /
    • 2016
  • 1900년대 초는 서양 열강들이 아시아를 향해 본격적으로 진출한 시기로 당시 한국에는 외교관, 선교사, 의사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외국인들이 들어왔다. 한국을 찾은 1900년대 초기의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식생활은 호기심과 충격의 대상이었기에 그들은 한국인의 식생활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외국인들은 한국을 비교적 윤택하고, 오곡이 풍성한 매력적인 국가로 보았다. 한국인들에게 주식은 쌀이고, 중요한 양식으로 김치를 먹었으며, 다양한 곡식과 채소, 그리고 비빔밥을 먹었다. 한국에는 각종 육류와 생선, 미역, 약초(인삼)가 있었다. 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식탐이 있다고 하면서, 밥을 고봉으로 많이 먹는다고 하였다. 한국인의 기본 식단으로는 밥 한그릇, 국 한 그릇, 김치와 간장, 다른 찬거리들이 있으며, 푸짐하게 상을 차려낼 때는 고깃국과 함께 날생선 말린 생선 튀긴 생선 중 한 가지가 올랐다. 한국에는 장독대가 있어서 간장, 된장, 고추장, 장아찌 등을 담가먹었다. 한국인에게는 특유의 옻냄새와 김치 양념냄새가 많이 났으며, 외국인들은 그 냄새를 림버거 치즈로 비유하면서 한국을 꼬랑내, 발냄새가 나는 나라로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1900년대 초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들의 기록을 통해 한국의 식생활과 한국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