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pepper seed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1초

Plant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from Seed Explants i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 Lee, Kwang-Wo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3호
    • /
    • pp.167-172
    • /
    • 1996
  • Efficient plant regeneration has been achieved via organogenesis in the red pepper plant (Capsicum annum L.). Shoots were induced from seed explants of cultivar 'Friendship' on Murashige and Skoog's (MS) basal medium supplemetned with; NAA or IAA, and BAP or zeatin. Seed explants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0.1-0.3 mg/L IAA and 2-5 mg/L zeatin for 2 weeks vigorously formed normal shoots in more than 90% of the explants. When these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containing 0.5-1.0 mg/L GA, 90-100% of the shoots have elongated within 1-2 weeks. The elongated shoots rooted in media supplemented with 0.3 mg/L NAA. It was revealed that this method is very rapid and efficient regeneration system for red pepper and regenerated plants can be obtained after only 5-6 weeks of culture.

  • PDF

품종 및 건조방법에 따른 고추씨기름의 산화안정성과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ies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Korean Red Pepper Seed Oil upon Species and Dried Methods)

  • 김복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0-387
    • /
    • 1998
  • Th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s during storage at 20${\pm}$3$^{\circ}C$, 40${\pm}$3$^{\circ}C$ and heating at 140${\pm}$3$^{\circ}C$ or 180${\pm}$3$^{\circ}C$ were measured to evaluate red pepper seed oil as a cooking oil. Two species of red pepper seeds (native, improved) were dried by either sunlight or heating to prepare the oil samples of NS (native, sunlight-dried), IS (improved, sunlight-dried), NF (native, heated), and IF (improved, heated). During storage at 20${\pm}$3$^{\circ}C$ or 40${\pm}$ 3$^{\circ}C$, acid values (AV) of all red pepper seed oils were higher than that of soy bean oil (SBO), however, peroxide values (POV) were similar to SBO. Antioxidative stability of NS was better than SBO but IF was not. By the heat treatments at 140${\pm}$3$^{\circ}C$ or 180${\pm}$3$^{\circ}C$, NS was identified to have better antioxidative stability than SBO and IF was the lowest. In sensory evaluation of each deep-fat fried potato-chip at 180${\pm}$5$^{\circ}C$, potato-chips fried in NS were better than that of SBO for color, taste, and flavor. NS-fried potato-chips got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nce (p<0.05), however, those of IF showed little acceptance. When blended oils (SBO: NOS, 0, 25, 50, 75%) were used, 50% blended oil was the best for taste, color, flavor, cripness, and total acceptance.

  • PDF

병든 고추 종자에서 분리된 탄저병균의 종자전염 (Seed-borne Infection of Anthracnose Fungi Isolated from Diseased Red Pepper)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14-120
    • /
    • 1995
  • 병든 고추에서 수집한 종자에서 Colletotrichum dematium, C. gloeosporioides 및 Glomerella cingulata 등이 습지법에 의해서 검출되었다. C. gloeosporioides는 공시된 종자시료에서 우점종이었으며 그 다음이 C. dematium, G. cingulata의 순이었다. 탄저병균의 종자내 감염부위를 조사한 결과, 종피, 배유 및 자엽에서 C. dematium, C. gloeosporioides 및 G. cingulata가 검출되었으며 3종의 탄저병균의 검출율은 종피에서 더 많았고 배유와 자엽에서는 적었다. C. dematium, C. gloeosporioides와 G. cingulata의 종자감염은 종자부패, 모잘록 및 모마름병을 일으켰다. 접종시험결과 C. gloeosporioides가 가장 병원성이 강하였다. C. dematium은 상처가 있을 때 약한 병원성을 나타냈으며 G. cingulata는 유상 또는 성숙과에 대해서 약한 병원성이 있었다. 탄저병에 대한 종자소독 결과 베노람 수화제와 지오람 수화제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 PDF

반건조 고추의 씨함량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mi-dried Red Pepper with a Different Seed Ratio on the Quality of Kimchi)

  • 성정민;임정호;박기재;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7-436
    • /
    • 2008
  • 반건조 고추의 고추씨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추씨가 20, 40, 60 및 80%의 비율로 첨가된 반건조 고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결과 pH, 산도 및 젖산균의 변화는 숙성 9일째 가장 높았으며 처리구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vitamin C, ASTA, capsaicnoids 함량은 모두 고추씨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반건조고추의 고추씨 함량이 김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고추씨 함량별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발효 기간동안 malic, succinic acid는 감소하였고 acetic, lactic acid는 증가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추씨 함량 20%인 김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반면, 고추씨 함량 40% 이상인 김치구의 경우 전반적인 기호도가 5점 이하로 나타나 상품적인 가치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고춧가루와 고추씨 추출액의 혼합 비율에 따른 매운맛의 시간차 강도 평가 (Time-intensity Evaluation of Hot Taste of Red Pepper Seed Extracts as Affected by Mixing Ratio of Red Pepper Seed Extracts)

  • 한미영;고순남;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79-1682
    • /
    • 1999
  • 본 연구는 고춧가루 추출액의 혼합 비율에 따른 고추씨 추출액의 매운맛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추씨 추출액에 첨가하는 고춧가루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수율 및 점도, 탁도, a와 b값은 증가하였으며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시간차 강도 평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고추씨 추출액은 매운맛이 완만히 증가하였으며 후기에도 그 강도가 유지되는 것에 반하여 고춧가루 추출액은 단시간에 매운맛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춧가루와 고추씨 추출액의 혼합 비율은 그들 자체가 지니는 매운맛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추씨 기름의 저장 및 가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and Frying)

  • 최영진;고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7-76
    • /
    • 1990
  • To observe the propability as the frying oil and oxidativ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some physico-chemical tests of the oil were examined during 21 days storage period at 5$^{\circ}C$, 15$^{\circ}C$ and 30$^{\circ}C$, and AOM value determined and after heating the oil at 180${\pm}$5$^{\circ}C$ for 40 hours with or without antioxidants. The analysis storag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showed that the quality of storage group at 5$^{\circ}C$ was almost as good as fresh oil, and the storage group at 30$^{\circ}C$ showed certain degree of rancidity.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during storage were so small so that storage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was found to be good. AOM stability of red pepper seed oil was 7 hours which is lower than other vegetable oil, but the degree of stability grew greatly after adding phenolic antioxidants, such on TBHQ or PG. As for the chemical change after heating continuously for 40 hours,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refractive index increased, but iodine value decreased as the heating process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also showed the remarkable reduction of linoleic acid.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resulted in the delay of oxidation, the degree of which was greater in TBHQ than in PG.

  • PDF

고추씨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 제2보. 고추향미유의 제조 (Development of the Seasoning Oil for Replacing Red Pepper Seed Oil : Manufacturing of Red Pepper Seasoning Oil)

  • 구본순;김덕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2-147
    • /
    • 2004
  • 고추씨기름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는데 비하여 국내에서 고추씨의 수급은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고추향미유(red pepper seasoning oil, RPSO)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 동안 몇 군데 업체에서 이와 유사한 향미유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지만 이는 단순하게 매운맛만 부여했을 뿐 향이 전혀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옥수수기름을 원료유로 하여 여기에 Oleoresin Capsicum과 Oleoresin Paprika를 첨가하여 기본적으로 매운맛과 고추 고유의 붉은 색상을 부여하였다(simulated seasoning oil, SSO1). 그러나 검붉은 고추 고유의 색상을 얻기 어려워 치자, 고량 등의 천연물로부터 주정추출법을 이용하여 색소를 추출한 후 유화 처리하여 별도로 제조한 검정색 천연색소를 첨가하였다(SSO2). 또한, 통고추가루와 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소량의 인산염을 처리한 후 열수추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고추추출물을 monogly로 유화시켜 SSO2에 혼합함으로써 고유의 매운 맛을 강화하였다(SSO3).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향미유의 매운 맛과 색상은 고추씨기름과 유사하였으나 매운 향의 부여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고추 가루와 고추씨를 동시에 이용하여 직화를 통한 roasting을 하고 여기에 옥수수기름 일부를 가하여 용출을 시도하였다(고추씨기름 원액, SSO4). 여기서 얻어진 고추씨기름 원액(SSO4)을 전체의 5%(w/w) 범위로 SSO3와 혼합하여 최종 RPSO를 제조하였다.

사료내 고추(Capsicum annum)씨가 채란계 생산성과 난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Hot Pepper(Cap8icum annum) Seed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ers)

  • 허준무;고태송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30
    • /
    • 1998
  • The effects of dietary levels and feeding period of Korean hot pepper (Capsicum annum) seed on th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were investigated. Rhode Island Red layers of 84 wk of ag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O.O(Control), 0.5, 1.0, 2.0, and 3.0% of HPS, respectively, in individual cages during 10 wk of the feeding period. The dietary hot pepper seed significantly(P<0.05) improved hen-day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rnass, but reduced egg weight(P<0.05). During the 10 wk of the feeding period, the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improved after 6 or 7 wk of feeding 0.5, 1.0 or 2.0% hot pepper seed diets. When the layers were fed the 3.0% HPS diet, it only took 1 wk to improve the egg production and daily egg mass. In addition, the birds fed 3.0% hot pepper seed diet showed relatively constant egg weight while those of the Control increased gradually as the feeding period passed. The dietary hot pepper seed significantly improved the eggshell thickness, and redness and whole color of egg yolk. Th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hot pepper seed( $\geq$2.0%) may improve the egg production and egg shell thickness, and increase the redness of egg yolk in layers.

  • PDF

고추의 동시탈종(同時脫種) 건조방법(乾燥方法)의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 -제2보 열풍건조(熱風乾燥)가 고추씨의 충격분리(衝擊分離)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a Simultaneous Seed Separation and Drying Method of Red Pepper -Part II. Dehydration Effect on the Impact Seed Separation of Red Pepper-)

  • 전재근;박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8-72
    • /
    • 1977
  • 충격방법(衝擊方法)에 의(依)하여 고추씨를 분리(分離)할 수 있으나 그 수율(收率)을 45%이상(以上) 올릴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보다 높은 씨분리수율(分離收率)을 이룩하기 위하여 고추 조직(組織)에 대(對)한 가열효과(加熱效果)를 시도(試圖)한 결과(結果) 씨의 분리(分離)가 용이(容易)하게 이룩될 수 있는 고추 내(內)의 공격(空隔)이 증가(增加)되었다. 이와같은 가열효과(加熱效果)를 씨의 분리(分離)에 이용(利用)키 위하여 회전사식원통형(回轉篩式圓筒型) 씨분리기(機)에 $65^{\circ}C$, 0.61m/sec의 열풍(熱風)을 송입(送入)하면서 씨를 분리(分離)할 경우 93%까지 분리수율(分離收率)을 높일수 있었다. 열풍하(熱風下)에서의 씨의 분리(分離)는 고추의 절단부위(切斷部位)에 따라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고추 건조(乾燥)가 완료(完了)되기 이전(以前)에 씨의 분리(分離)를 완료(完了)할 수 있었으므로, 동시탈종(同時脫種) 건조방법(乾燥方法)이라는 새로운 고추의 가공방법(加功方法)을 개발(開發)하게 되었다.

  • PDF

고추씨박 급여가 육계의 발육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Pepper Seed Oil Mea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Abdominal Fat Accumulation in Broilers)

  • 김학규;나재천;최철환;상병돈;이상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56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red pepper seed oil meal (RPSOM) on the performance and the fat pad content in broiler chicks.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360 birds broiler chicks for 8 weeks. The levels of dietary RPSOM were 0, 5, 10 and 15% and mixed in diet consisting of corn and soybean meal. Body weigh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mixed in diet consisting of corn and soybean meal. Body weight, feed intake, feed conversion and vi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percentage of abdominal fat and skin colo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s among treatments. The results of the feeding trial show that RPSOM can be used within 10% in broiler di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