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garlic

검색결과 258건 처리시간 0.032초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 sativum) prepared by different heat treatment conditions

  • Kim, Il-Doo;Park, Yong-Sung;Park, Jae-Jeong;Dhungana, Sanjeev Kumar;Shin, Dong-Hyu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52-458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garlic processed using different heat treatments conditions,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moving the unpleasant odor and taste of raw garlic. The pH and soluble solid content of raw garlic (pH 6.07, $7.7^{\circ}Bx$) were almost equal or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processed garlic samples (pH 5.06-6.09, $7.1-7.4^{\circ}Bx$). The color of processed garlic wa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amounts of amino acids such as ${\gamma}$-amino-n-butyric acid and few essential amino acids also increased after the thermal treatment of garlic.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red and black garlic were higher than that of raw garlic. The polyphenol content of processed garlic ($38.51-81.51{\mu}g$ gallic acid equivalent/g samp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garlic ($30.66{\mu}g$ gallic acid equivalent/g sampl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eat treatment for different durations under a controlled environment enhanced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마늘 및 고추 경작지(耕作地)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Garlic and Red Pepper Fields)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원예작물(園藝作物) 경작지(耕作地)에서 잡초방제방법(雜草防除方法)을 확립(確立)하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마늘은 월동전(越冬前)인 1984년(年)과 월동후(越冬後)인 1985년(年), 고추는 1985년(年)에 천원(天原), 아산(牙山), 서천(舒川), 유성(儒城) 4개(個) 지역(地域)에서 2개(個) 지점(地點)을 선정(選定)하여 약(約)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잡초(雜草)를 채취(採取)하여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社會的) 특성(特性) 분석(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구명(究明)하였다. 1. 마늘경작지(耕作地)에 발생(發生)하는 초종(草種)은 27과(科) 68종(種)이었으며 우점초종(優占草種)은 쇠비름, 명아주, 바랭이였고 차우점초종(次優占草種)은 쇠뜨기, 둑새풀, 강아지풀이었으며 발생잡초(發生雜草)의 본수(本數)는 5월(月), 건물종(乾物種)은 6월(月)에 가장 많았고 마늘재배기간(栽培期間) 동안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고추경작지(耕作地)에서는 17과(科) 38종(種)의 잡초(雜草)가 발생(發生)했으며 바랭이, 방동사니, 쇠비름이 우점(優占)하였고 피, 왕바랭이, 민바랭이, 중대가리풀 등이 차우점(次優占)했으며 발생잡초(發生雜草)의 본수(本數)는 6월(月)에 많았고 건물중(乾物重)은 6월(月)과 10월(月)에 낮았던 것을 제외하면 재배기간(栽培期間) 동안 큰 차이가 없었으며 여름 화본과(禾本科)와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는 6, 7월(月)에 발생(發生)이 많았다. 3. 고추경작지(耕作地), 마늘경작지(耕作地)에서 시기별(時期別)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와 안정도(安定度)가 높아 발생초종(發生草種)이 많은 숙전(熟田)이었으며 Simpson 지수(指數)도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는 군락(群落)이었고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아 초종간(草種間) 경쟁(競爭)이 많았다.

  • PDF

향미성 Natto의 향기성분, 지방산 및 유기산 함량 분석 (Flavor Component, Fatty Acid and Organic Acid of Natto with Spice Added)

  • 김복란;박창희;함승시;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9-227
    • /
    • 1995
  • Natto is a Japanese tradiational food made from whole soybeans by the fermentation of Bacillus natto.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taste of Natto, garlic(2%) and red pepper oleoresin(0.2%) were added. Conventional Natto(N-1), garlic Natto(N-2), red pepper oleoresin Natto(N-3), garlic and red pepper oleoresin Natto(N-4) were prepared. Volatile flavor components, fatty acid, organic acid, pH and titratable acdity in all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62 volatile components in conventional Natto. Among there, the major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to be 2, 5-di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2, 6-bis91, 1-dimethylethyl) phenol. Seventy-one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N-2, and major compounds were identified to be methyl-2-propenyl disulfide, 2, 6-bis(1, 1-dimethylethyl)phenol and 2, 5-dimethylpyrazine. The amounts of volatile compounds, 2-methyoxyphenol and 1, 2-benzenedicarboxylic acid increased by addition of garlic, where as, 1,2 -propanediol, 1-hexanol and 2, 5-dimethylpyrazine decreased. The compounds, 4, 5-dihydroxy-5-propyl-1H-pyrazole, 1, 1, 3-trimethylcyclopentane were identified in N-3. The compounds, such as trimethylpyrazine, 3-ethyl-2,5-dimethylpyrazine increased by addition of red pepper oleoresin, whereas 1,2-propanediol, 1-hexanol and 2,5-dimethylpyrazine decrease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mainly consisted of linoleic acid(43.66~55.89%) and followed by oleic, palmitic, linolenic, stearic, arachidic, myristic acid. The organic acids we4re identified to be citric(28.2~30.6), acetic(50.0~73.3) and pyroglutamic acid(2.1~3.7).

  • PDF

마늘 재배적지분석을 위한 기온자료 공간보간기법 비교 (Comparison between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of Temperature Data for Garlic Cultivation)

  • 김용완;홍석영;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5호
    • /
    • pp.1-7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cide a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on temperature data for the suitability analysis of garlic cultivation. In Korea, garlic is the second most cultivated condiment vegetable after red pepper. Nowadays warm-temperate garlic faces potential shift of its arable area according to warmer tempera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hange can be drawn with the precise temperature map derived from interpolation on point-measured data. To find the preferable interpolation method in cases of germination and vegetative period of the garlic, different approaches were tested as follows: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Spline, Ordinary Kriging (OK), and Universal Kriging (UK). As a result, IDW and UK show the lowest root mean square errors as for the germination and vegetative seasons, respectively.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revealed among the applied methods regarding the germinating period. Eventually this will contribute to mapping the suitable lands for the cultivation of warm-temperate garlic reasonably.

홍마늘 조성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garlic compositions)

  • 강민정;김동규;신정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46-454
    • /
    • 2017
  • 홍마늘과 생약재 5종(생강, 도라지, 모과, 진피, 박하)이 혼합된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고자 홍마늘 50%와 천연식물류 5종을 각각 10%씩 혼합한 조성물을 물과 에탄올로 $70^{\circ}C$$95^{\circ}C$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은 $70^{\circ}C$에서 에탄올로 추출 시 608.60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이보다 낮은 함량이었다. 홍마늘의 유효성분인 alliin과 SAC는 $70^{\circ}C$에서 물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1.29 mg/g과 2.60 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홍마늘과 5종 천연식물류 복합추출물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70^{\circ}C$에서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각각 15.96-73.65%와 5.71-77.19%로 가장 높았다. NO 생성억제 활성은 물 추출물 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았으며 $70^{\circ}C$ 보다는 $95^{\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더 활성이 높았다. ROS 생성은 에탄올 $95^{\circ}C$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약 64.92%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iNOS와 $IL-1{\beta}$의 발현량은 $1,000{\mu}g/mL$ 농도의 $95^{\circ}C$ 에탄올 추출물에서 LPS 단독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홍마늘 및 생약재 복합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은 서로 다른 유용물질의 영향으로 발현이 되며, 이들 유용물질은 추출용매와 온도에 따라 함량이나 구성이 서로 상이하였다.

우리나라 고추, 마늘 및 양파 주산지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Red Pepper, Garlic and Onion Cultivation Areas in Korea)

  • 손보균;조주식;강종구;조자용;김길용;김현우;김홍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31
    • /
    • 1999
  • 우리나라의 주요 조미채소인 고추, 마늘 및 양파 주산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화학성분함량을 조사하여 토양관리 및 시비 기준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고추(132개지점), 마늘(59개지점) 및 양파(24개지점) 주산지 총 215개 지점의 근권토양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고추, 마늘 및 양파 주산지 토양은 사양토(SL)와 양토(L)가 전체의 68%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토성별 빈도분포는 양토(L. 35.4%) > 사양토(SL,31.6%) > 미사질양토(SiL, 14.9%) > 식양토(CL.7.0%)의 순이었다. 토양 pH는 마늘 및 양파재배지 토양은 평균 6.0 이상이었으나 고추재배지 토양은 5.5로서 낮았으며, 전체조사지역의 58.7%인 126개 지점이 6.0 이하였으며, pH 5.0 이하인 지점도 전체의 21.4%인 46개 지점이었으며, 7.1 이상인 지역은 약 10.3%인 22개 지점이었다. 토양유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20{\sim}30g\;kg^{-1}$ 수준이H으며 양파재배지 토양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효 $P_2O_5$$719{\sim}746mg\;kg^{-1}$ 범위로서 작물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며, 빈도분포는 전체 조사지역중 62.8%가 유효 $P_2O_5$ $600mg\;kg^{-1}$ 이상으로서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1,000mg\;kg^{-1}$ 이상도 전체의 22.3%를 차지하였다. 치환성 양이온인 K 및 Ca 함량은 마늘(1.27 및 $9.11cmol\;kg^{-1}$) 및 양파(1.20 및 $8.39cmol\;kg^{-1}$)재배지토양이 고추재배지 토양(0.96 및 $5.87cmol\;kg^{-1}$)에 비하여 높았으며, Mg 함량은 마늘재배지 토양이 $2.17cmol\;kg^{-1}$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고추 및 양파재배지토양은 각각 약 1.51 및 $1.80cmol\;kg^{-1}$으로 마늘재배지 토양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나 치환성 양이온인K, Mg 및 Ca모두 경작지 토양의 적정수준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미량원소는 Fe는 $54.3{\sim}60.1mg\;kg^{-1}$ 범위, Mn은 $31.3{\sim}42.3mg\;kg^{-1}$ 범위 Cu및 Zn은 각각 1.7~2.3 및 $4.8{\sim}5.5mg\;kg^{-1}$ 범위였다.

  • PDF

광 조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함량 변화 (Changes in Allicin Contents of Garlic via Light Irradiation)

  • 정훈;이선호;윤홍선;최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7
    • /
    • 2013
  •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항암효과나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농산물이나 식품 등의 소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늘은 항균, 항암, 항산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 효과 때문에 건강 농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꾸준히 소비가 되고 있는 농산물이다. 특히 마늘의 알리신 성분의 증폭을 위해 최근 연구되고 있는 광 조사에 의한 알리신 성분 향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깐 마늘에 형광등, 컬러등(녹색, 황색, 청색, 적색), 자외선등(UV-A, UV-B, UV-C) 등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사 했을 때, 알리신 성분의 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처리구는 UV-B 자외선등으로 700 mm 광원 거리에서 15초 동안 조사한 $0.129W/m^2$ (40 W) 강도의 처리구와 적색등의 700 mm 광원 거리에서 24시간 동안 조사한 126 lx (40 W) 조도의 처리구이며, 각각의 알리신 함량 변화는 $15.15{\pm}0.25mg/g$$15.15{\pm}0.34mg/g$ 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10%의 증폭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두 처리구에 대해 광 조사 처리를 하지 않은 마늘과의 유의성 검증 결과, 5% 이하의 유의수준에서 광 조사 미처리구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광조사 처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등의 기능성 성분이 증폭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량으로 마늘의 기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의 개발 등으로 산업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늘이 햄스터 협낭에서 DMBA 발암성에 미치는 항암효과 - 체중, 색조, 모세혈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 (Anticarcinogenic Effect of Garlic Juice against DMBA Induced Carcinoma on the Hamster Buccal Pouch)

  • 김은실;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9-542
    • /
    • 1993
  • 화학적 발암제인 DMBA를 이용하여 햄스터 협낭에 암을 유발 시키면서 마늘즙을 투입하여 항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햄스터의 체중, 협낭의 색조, 모세혈관 분포도를 조사 하였다. 햄스터의 체중 증가는 대조군에 비하여 마늘즙을 복용한 실험군에서 증가량이 현저히 감소 하였는데 1% 마늘즙을 먹인군에 비하여 3% 마늘즙을 먹인군에서 체중증가량이 적었고 협낭의 색조는 3% 투여군은 현저하게 엷은 분홍색을 나타내었지만 대조군은 붉은색을 나타내었다.그리고 협낭의 모세혈관 분포정도는 3% 마늘즙 투여군에서는 경도를 나타내었지만 대조군은 심도를 나타내었다.

  • PDF

Sclerotirum cepivorum에 대한 마늘 재배종의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to White Rot Caused by Sclerotium cepivorum)

  • 이용훈;이왕휴;이두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4-597
    • /
    • 1998
  • The optimal quantity of inoculum was determined to screen resistance of garlic cultivars against Sclerotium cepivorum and 30 cultivars was tes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 in detached roots, Disease incidence was increased when the inoculum density was raised form 10 to 100 sclerotia. The optimal inoculum density to differentiate resistance or susceptibility of garlic cultivars was seemed to be 50 sclerotia. The cultivars collected from England, Japan, Nepal and Turkey, and cultivars such as common red, PI1356104 and PI135693 were less than the other cultivars in their disease incidence. The growth of S. cepivorum in detached roots varied from 23 to 33 mm according to garlic cultivar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disease incidence and the growth in detached roots. The sclerotial germin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root extract was extract was added. The addition of only distilled water resulted in 13% germination, but the addition of 0.25 g of root extract in 100 ml distilled water resulted in more than 85% germin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imulation of sclerotial germination among cultivars which showed different resistance.

  • PDF

Effect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 Jung, Keun-Ok;Kil, Jeung-Ha;Kim, Kwang-Hyuk;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49-153
    • /
    • 2003
  • Effects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vitamin C and $\beta$-sitosterol on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were investigated. Three kimchi variations were studied: a standard recipe (kimchi I) and two functional variations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made with organically grown ingredients (kimch II and III). Methanol extracts and juices from kimchi I and III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 However, 10 mm and 12 mm inhibition zones were formed by methanol extract and juice from kimchi II, which had higher concentrations of red pepper powder (RPP) than those of kimchi I and III. Among the major kimchi ingredients, methanol extracts of RPP, garlic and ginger substantially inhibited the growth of H. pylori. The maximal inhibition zone (30 mm) was attained with garlic treatment. Inhibitory effects of the RPP, garlic and the sub-ingredient mixture (prepared with radish, garlic, RPP, ginger, green onion, sugar and fermented anchovy juice) on H. pylori were decreased by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Neither the fermented garlic nor the fermented sub-ingredient mixture inhibited the growth of H. pylori. But, the inhibition Bone of fermented RPP was 12 mm, which was less than the 16 mm inhibition zone formed by the non-fermented RPP. Vitamin C and $\beta$-sitosterol which are known to be functional active compounds of kimchi also showed no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H. pylori after 3 days of incubation.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y the inhibitory effect is removed or decreased by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to determine if fresh kimchi and lactic acid bacteria of kimchi can inhibit the growth of H. pylo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