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fruits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44초

숙도 및 저장온도가 생대추의 저장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ur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Preservation of Fresh Jujube)

  • 안덕순;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58-763
    • /
    • 1997
  • 당도와 ascorbic acid함량이 높은 우수한 신선 과일인 생대추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하여 숙도 및 저장온도에 따른 무등품종 대추의 호흡특성,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녹숙 대추와 적숙 대추의 숙도에 따라서 호흡속도는 차이가 없어서 non-climacteric특성으로 간주될 수 있었고, 호흡의 온도의존성에서도 숙도간에 차이가 없었다. 적숙 대추가 녹숙 대추에 비해서 단위과중이 약간 크며, 가용성 고형분 농도와 ascorbic acid 함량이 약간 높았다. 대추는 저장 중 조직의 연화가 먼저 나타난 후 부패가 진행되었다. 대추의 저장 중 연화 및 부패의 진행은 녹숙대추의 경우가 적숙대추에 비해서 늦어서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녹숙대추를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저장 중 녹숙 대추의 표면색택은 붉은 색으로 착색이 진행되고 가용성 고형분은 증가하고, 총산과 ascorbic acid 함량은 감소하였다. $-2^{\circ}C,\;0^{\circ}C,\;5^{\circ}C,\;10^{\circ}C,\;20^{\circ}C$에서의 녹숙 대추의 저장실험에서는 $-2^{\circ}C$에서는 저온장해가 발생하였고, $5^{\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품질변화와 부패가 빨라서, $0^{\circ}C$가 저장적온으로 판단되었다. 저장적온인 $0^{\circ}C$에서 대추는 40일정도 밖에 신선한 상태로 저장될 수 없어서 보다 장기간의 저장이 가능한 포장 기법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된 배의 과실품질과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ompound of 'Niitaka' Pear Trees Grown in the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Managed Systems)

  • 최현석;이웅;김월수;이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7-373
    • /
    • 2010
  • 본 연구는 유기재배와 관행재배 된 배 '신고' 과실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유기농으로 재배된 과실은 진한 적색계열의 과피색을 보였고, 관행과 유기재배 된 과실의 무게, 당 및 산함량, 경도, 그리고 석세포 함량은 별다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중 K는 유기재배에서 높았고, 다른 무기성분인 P, Ca, 그리고 Mg는 비슷한 농도를 보였다. 유기농 과실은 관행에 비교해서 과피와 과육 그리고 과즙에서 페놀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과피는 과육보다 재배방법에 상관없이 항산화 물질에서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제거능은 과피에서는 처리간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고, 과육에서는 유기농 과실에서 관행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모두 DPPH 라디칼 제거능과 강한 유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배과육과 과피내 아질산염은 처리간에 비슷한 제거효과를 보였다.

혼합파장의 LED를 광원으로 재배한 방울토마토와 적채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분석 (Effect of LED with Mixed Wavelengths on Bio-active Compounds in Cherry Tomato and Red Cabbage)

  • 강선아;양혜정;고병섭;김민정;김봉수;박선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05-509
    • /
    • 2015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특정 파장을 조합한 혼합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를 재배할 때 식물의 성장과 각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인 리코펜과 안토시아닌의 함량 변화를 탐색하였다. 대조광으로 형광등을 사용하였고 LED 혼합 파장은 적색, 녹황색, 청색 파장(630 nm:550 nm:450 nm=8:1:1)을 혼합하여 방울토마토와 적채에 조사하였다. 방울토마토에서는 LED을 조사하였을 때, 수확되는 방울토마토의 개수는 적었으나 수확된 방울토마토의 무게와 당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방울토마토의 생리활성 물질인 리코펜의 함량은 LED 조사 시 오히려 낮았다. 적채는 LED를 조사하였을 때, 형광등에 비해 적체의 무게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안토시아닌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작물의 색에 따라 성장에 요구하는 LED의 파장 및 혼합 비율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과실의 색에 따라 LED 파장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과채류, 과수류 및 벼 재배지역에서 농약사용 실태 (Survey of Pesticide use in Fruit Vegetables, Fruits, and Rice Cultivation Areas in Korea)

  • 하헌영;나동수;신욱철;임건재;박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5-400
    • /
    • 2012
  • 농약의 오남용을 방지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약 등록 후에 농가에서의 사용되는 농약사용실태 및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작물별 주산단지별, 재배면적을 감안하여 390농가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농약안전사용 준수사항은 과채류, 과수류, 벼 재배농가 모두가 대체적으로 잘 지키고 있었다. 작물별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주성분 기준으로 노지고추 11.6 kg/ha, 시설고추 2.0 kg/ha, 딸기 2.3 kg/ha, 수박 2.2 kg/ha, 오이 4.8 kg/ha, 참외 1.5 kg/ha, 토마토 2.1 kg/ha, 사과 12.5 kg/ha, 배 12.5 kg/ha, 복숭아 7.7 kg/ha, 포도 4.5 kg/ha, 감귤 40 kg/ha, 단감 5.4 kg/ha이었으며, 벼는 3.46 kg/ha이었다. 고추, 딸기, 오이, 참외, 토마토, 사과, 배, 포도, 감귤, 단감, 벼는 4년 전에 비해 농약사용량이 감소하였으나 수박, 복숭아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와 담배포장에서의 담배나방 알의 공간분포 및 기주식물내 분포 (Intra- and Inter-plant Distribution of Helicoverpa assulta (Lepioprera: Noctuidae) eggs in Red Pepper and Tobacco Fields)

  • 한만위;이준호;손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11
    • /
    • 1994
  • 담배나방의 알의 고추화 담배에서의 포장내 공간분포와 식물내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물체 1주를 표본단위로 할 때 고추포장에서의 알의 공간분포는 집중분포 유형 (a=1.3915,b=1.1648)을 보였으나 담배포장에서는 균일분포 유형(a=1.6.35, b=0.6880)을 보였다. 알의 고추 부위별 빈도는 잎(76.2%), 과실(16.8%), 줄기(6.5%), 꽃(0.45)의 순서로 대부분 잎에 위치를 하였다. 잎에서는 70.1%가 잎의 앞면, 25.2%가 잎의 뒷면에 위치하였다. 담배의 경우도 대부분 잎에 위치하였으나, 잎 앞면과 잎 뒷면이 각각 33.7%와 66.3%로 잎뒷면에 더 많이 위치하였다.

  • PDF

한(韓).중(中).일(日)의 식생활문화(食生活文化) 비교연구(比較硏究) (II) - $14{\sim}19$세기, 일상식품(日常食品)을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Food Cultures (II) - From 14C to 19C, on the Daily foods -)

  • 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3-364
    • /
    • 1997
  • A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aily foods which were eaten during $14{\sim}19$ century among Korea (Chosun dynasty), China (Ming, thing dynasty), and Japan (Muromachi, Edo era). Specially, in Ming, Ching dynasty, Noodles and dumpling were cooked very often and in Muromachi, Edo era, many kinds of beans were used so much, and there were many kinds of steamed rice to compare with Korea and China. Also, in Japan at these era Woodong, Morisoba, and Somyen were used as favorite foods harbitually. 1. The crops were used as staple foods in three countries such as steamed rice, gruel, noodle, dumpling, rice cake etc. commonly. 2. In Chosun, a roe deer, deer, antelope, and wild boar were more favoite dishes than cow, chicken, and dog, generally people enjoyed to eat pork and chicken. In Ming Ching, pork, chicken, goose, dove, lamb, ass, and duck were used as food materials, also wild animals such as deer, rabbit, and monkey etc. were used. In Muromach era, wild animal as racoon dog, otter, deer, antelope, bear, were used as food materials, in early Edo era (Yayoi and Momoyama), beef and pork were used as daily foods but they were eaten decreasingly in Edo era. So in Japan at those era, the dishes prepared of fishes were more than those of meats. For example, Sushi was made from that time,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enjoying to have Sushi at present time. 3. Also in these era, many kinds of vegetables and fruits were used in three countries, and new kinds of vegetables and fruits were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for example, red pepper, pumpkin, sweet potato, potato in Korea, corn, sweet potato, red pepper in China, and water melon, pumpkin, corn, red pepper, marmellow, sweet potato, sugar beet in Japan.

  • PDF

꼬시래기 유래 아가로즈와 블루베리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용 에멀젼 개발 (Development of Cosmetic Emulsion Using Blueberry Fruit Extract and Agarose from Gracilaria verrucosa)

  • 최문희;김용운;김미숙;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31권4호
    • /
    • pp.256-262
    • /
    • 2016
  • The need for natural cosmetic ingredients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world nowadays. Agarose, a natural polymer from red seaweeds, has high hydrophilic character and a function of scaffolder. As skin moisturizer, agarose is adequate for percutaneous absorption. While, blueberry fruits extract possesses rich procyanidins and anthocyanins which show health benefits, anti-oxidant effect, anti-aging and anti-melanogenesis. Stability, sensory preference, skin trouble of the emulsion formula are important for cosmetic product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an emulsion formula for skin moisturizers using the two ingredients and tested emulsion stability and skin troubl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blueberry fruits extract were evaluated as well as tyrosinase inhibitory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ies. $IC_{50}$ values of blueberry fruits extract for anti-tyrosinase and anti-collagenase activities were 168 and $112{\mu}g/mL$, respectively using gallic acid as a control ($64.8{\mu}g/mL$). The stability (pH and viscosity) of the formula containing 2% blueberry fruits extracts and 0.1% agarose was measured at five different temperatures (room temp., $25^{\circ}C$, $55^{\circ}C$, $45^{\circ}C$, $55^{\circ}C$) under the sun light at 2 day intervals for 12 days. There has been little pH change at the different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flavor, discoloration and physical changes of the formula at $25-65^{\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ulsion formula containing blueberry extract and agarose could be used as a candidate for lotion and essence products.

Anti-aging Potential of Extracts Prepared from Fruits and Medicinal Herbs Cultivated in the Gyeongnam Area of Korea

  • Shon, Myung-Soo;Lee, Yunjeong;Song, Ji-Hye;Park, Taehyun;Lee, Jun Kyoung;Kim, Minju;Park, Eunju;Kim, Gyo-Na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78-186
    • /
    • 2014
  • Many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maintaining a healthy life by preventing and/or postponing the aging process.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ontinuous exposure to reactive oxygen species can stimulate skin aging and that excessive accumulation of fat can cause an impaired skin barrier and tissue structure alterations. Thus, the maintenance of antioxidant homeostasis and the suppression of adipose accumulation are important strategies for skin anti-aging. Here, we prepared three types of extracts [whole juice, acetone-perchloric acid (PCA), and ethanol] from 20 fruits and medicinal herbs native to the Gyeongnam area of Korea.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each extract was analyzed, and we observ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s in the medicinal herbs. Consistent with this, the results of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activity capacity assay indicated that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dicinal herb extract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he fruit extracts. The fruits and medicinal herbs had strong effects on cell-based systems, including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and 3T3-L1 lipid accumulation. Nishimura Wase persimmon, Taishu persimmon, wrinkled giant hyssop, sweet wormwood, Chinese cedar, red perilla, tan shen, hiyodori-jogo, and cramp bark may be natural anti-aging materials with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may provide scientific evidence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from fruits and medicinal herbs.

Growth promotion effect of red ginseng dietary fiber to probiotics and transcriptome analysis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 Hye-Young Yu;Dong-Bin Rhim;Sang-Kyu Kim;O-Hyun Ban;Sang-Ki Oh;Jiho Seo;Soon-Ki H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1호
    • /
    • pp.159-165
    • /
    • 2023
  • Background: Red ginseng marc, the residue of red ginseng left after water extraction, is rich in dietary fiber. Dietary fiber derived from fruits or vegetables can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probiotics, and it is a key technology in the food industry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probiotics by adding growth-enhancing substances such as dietary fibe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ed ginseng dietary fiber (RGDF) on the growth of probiotic bacterial strains was investigated at the phenotypic and genetic levels. Methods: We performed transcriptome profiling o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IDCC3501 in two phases of culture (logarithmic (L)-phase and stationary (S)-phase) in two culture conditions (with or without RGDF) using RNA-seq.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Gene Ontology terms. Results: The growth of L.plantarum IDCC3501 was enhanc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RGDF up to 2%. As a result of DEG analysis, 29 genes were upregulated and 30 were downregulated in the RGDF-treated group in the L-phase. In the S-phase, 57 genes were upregulated and 126 were downregulated in the RGDF-treated group. Among the upregulated genes, 5 were upregulated only in the L-phase, 10 were upregulated only in the S-phase, and 3 were upregulated in both the L- and S-phases. Conclusions: Transcriptome analysis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elucidating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RGDF promotes the proliferation of L.plantarum IDCC3501. This growth-promoting effect of RGDF is important, since RGDF could be used as a prebiotic source without additional chemical or enzymatic processing.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퇴비가 감과육의 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d-Garbage Compost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orage of Persimmon Fruits)

  • 조영제;천성숙;차원섭;박준희;오상룡;이원영;김정환;박재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9-203
    • /
    • 2005
  • 음식물쓰레기 퇴비사용에 따른 감 과실의 특성 변화는 경도, 당도 등이 증가하였으며, 상주 둥시의 경우 색이 더욱 밝아지고 과육이 황색빛을 많이 띄게 되고, 갑주백목의 경우 색이 다소 어두워지는 반면 붉은색을 많이 띄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Total phenol 함량과 가용성 탄닌은 음식물쓰레기 및 음식물 퇴비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떫은맛이 다소 줄어들리라 판단되었고, 비타민 C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여 상큼한 맛을 더 많이 느끼게 될 것이라 생각되었다. 음식물쓰레기 퇴비사용에 따른 수확한 감과실의 저장성을 검토하여본 결과 상온저장 시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의한 저장성의 증대는 기대하기 어려웠으나 저온저장 시에는 음식물 쓰레기 퇴비 처리에 의해 경도가 상당기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음식물 쓰레기 퇴비사용이 상온저장조건에서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나, 저온저장조건에서는 감과육의 물성 및 성분 조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