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ring densit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1초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사육 시 적정밀도 규명 (Investigation of the Proper Density for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 최성업;최인학;손진성;정태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1-194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density when rearing Protaetia brevitarsis larvae. The breeding box of the insects was filled with 2 L of fermented sawdust on a 50 × 35 × 15 cm sheet of plastic, and the density of the treatments was 200, 300 and 400 P. 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Each treatment was repeated five times, and the sawdust medium was replaced three times (10 interval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30 days from March 1, 2020. Overall, 200 P.brevitarsi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arval stages reared in the breeding box had a higher average survival rate and lower average mortality rate, thereby contributing to efficient producti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way to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insect breeding farms.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양성 시 적정 수용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Stocking Density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in Net Cage Culture)

  • 김병학;박민우;손맹현;김태익;이시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9-226
    • /
    • 2014
  • 본 연구는 해상가두리에서 2년 동안 수용밀도별로 사육된 북방전복 (Haliotis dicus hannai) 의 성장 및 생존율 조사를 통해 적정 수용밀도를 구명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수행 하였다. 수용밀도는 쉘터 단면적 당 점유율로 15, 30, 45, 60 percentage $(=per.)/m^2$로 설정하여 약 1년을 기준으로 1차 양성기간 (the primary rearing period, PRP), 2차 양성시간 (the second rearing period, SRP) 으로 실시하였다. PRP와 SRP의 1년간 평균 수온은 $2^{\circ}$의 차이를 보였다. PRP의 북방전복 (평균각장 $36.14{\pm}2.28mm$) 은 성장에서 각장과 각폭의 절대성장율 (absolute growth rate, ARG), 일간성장율 (daily growth rate, DGR), 특수생장율 (specific growth rate, SGR) 에서 $15per./m^2$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 SRP의 북방전복 (평균각장 $55.26{\pm}6.93mm$) 은 ARG, DGR, SGR에서 $45per./m^2$제외한 실험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생존율은 저밀도인 15, $30per./m^2$는 70% 이상을 보였으나, 고밀도인 45, $60per./m^2$는 각각 31%, 9%이하였다. 본 실험결과 해상가두리 내에서 각장 3-4 cm 북방전복의 1차 양성기간 적정 수용밀도는 $15per./m^2$ ($2.4{\times}2.4m$, 1칸 당 750마리) 가 적정하였다. 2차 양성기간 육성용 북방전복 (각장 5-6 cm) 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30per./m^2$인 양성하는 것이 양식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Animal Welfare-Certified Rearing Systems on the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ilers at the Farm Level in Korea

  • Jeon, Jin-Joo;Kim, Hee-Jin;Kim, Hye-Jin;Kang, Hwan-Ku;Kim, Chan-Ho;Kim, Hyun-Soo;Kang, Bo-Seok;Kim, Sang-Ho;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8-141
    • /
    • 2022
  •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arms (CF) rearing of broilers, the rearing management of animal welfare-certified farms (AF) must provide low stocking density, perch, air regulation, and feeding plant-based protei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rearing management in CF and AF on blood parameters, meat quality,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in Ross 308 broiler chickens at the farm level before transportation to slaughterhouses. Blood and meat samples were obtained at 28-35-dayold chickens from three CF and three AF. In blood samples,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p<0.05), triglyceride (p<0.001), glucose (p<0.01), total protein (p<0.001), albumin (p<0.01), and white blood cell (p<0.001) levels as well as the heterophil/ lymphocyte ratio [stress index (SI), p<0.001] were lower in broilers from AF than in CF. In meat samples, shear force (p<0.001, p<0.05), and carnosine contents (p<0.001, p<0.05) in both breast and thigh meat from AF were higher than those in meat from CF. The contents of linoleic acid (p<0.001), α-linolenic acid (p<0.001), and eicosapentaenoic acid (p<0.05) were higher in the samples from AF than those from CF. This study reveals that such differences are influenced by the different rearing factors in nutrition, housing, and management practices between CF and AF. Supplementation of plant-based protein and enough space to move due to lower stocking density accounts for th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showing that the AF system reduces the SI and enhances carnosine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evels in chicken meat at the farm level before transportation.

식용곤충 사육 선도농가 실태 조사 (A Field Survey on Edible Insect Farms in Korea)

  • 송명하;한문희;이석현;김은선;박관호;김원태;최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2-707
    • /
    • 2017
  • 최근 쌍별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흰점박이꽃무지 및 장수풍뎅이의 유충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정한 식품공전에 등록되어 일반식품원료로 인정되면서 식용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안전한 사육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조사는 대표적인 식용곤충종인 흰점박이꽃무지, 장수풍뎅이, 그리고 갈색거저리를 대량사육하는 선도농가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로,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는 참나무톱밥을 기본 먹이원으로 사용하고 갈색거저리는 밀기울을 기본 먹이원으로 사용하며, 각 곤충별로 추가되는 첨가물의 조성, 발효법, 먹이원의 공급시기, 사육조건, 출하 전까지의 유충 발육기간 등의 전반적인 생육조건들은 농가별로 상이하였다. 단지, 식용곤충별 유충의 무게는 사육밀도가 낮으며 출하 전까지 유충의 사육기간이 긴 경우 가장 무거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용곤충별로 48시간 절식 후 중금속 함량 분석 결과, 모든 곤충종에 있어 납과 카드뮴, 또는 비소의 함량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일반식품허용기준 이하의 수준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조사 결과들을 바탕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장수풍뎅이, 그리고 갈색거저리의 사육조건과 먹이원, 사육방법 등을 표준화함으로써 양질의 균일한 곤충을 생산하고, 출하 전 48시간 이상의 절식 조건을 준수하여 중금속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식 약용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육조건에 따른 일본(기수)재첩 유생의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larvae according to rearing conditions)

  • 이정용;김완기;이채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3
    • /
    • 2011
  • 일본(기수)재첩 유생사육을 위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온, 염분, 유생 수용밀도, 먹이생물 종류 및 공급량, 채묘방법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일본(기수)재첩의 부유유생은 $24^{\circ}C$$27^{\circ}C$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18^{\circ}C$$21^{\circ}C$에서 5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임으로서 유생 사육을 위한 적정 수온은 $21-24^{\circ}C$이며, 최적수온은 $24^{\circ}C$ 이었다. 또한 염분 3 psu 이상에서 성장과 생존이 가능하였으나 적정 염분은 6-9 psu 이었다. 유생밀도별 사육시험에서 1 ml당 1-10 개체에서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보였으나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 유생사육 밀도는 1 ml당 10 개체였다.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하여 10,000-20,000 cells/ml의 밀도로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성숙유생의 채묘는 모래저질에서 성장과 생존율이 유의하게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25 mm 이하의 미세사질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사육환경과 먹이종류에 따른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유생의 성장과 생존 (Effects of Rearing Condition and Species of Microalgae on Growth and Survival of Larvae of the Sunray Surf Clam, Mactra chinensis)

  • 민병희;신효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3-310
    • /
    • 2010
  • 개량조개의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유생사육의 최적 사육환경과 먹이생물의 종류에 따른 유생의 성장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수온에 따른 유생의 성장은 $18^{\circ}C$에서 $33^{\circ}C$까지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23^{\circ}C$ 이상에서는 사육 14일째 $230{\mu}m$ 이상 성장하였으나 $18^{\circ}C$에서는 $151.1{\mu}m$로 성장이 부진하였다. 염분별 유생사육 시 염분 30 psu에서 일간 성장은 $11.3{\mu}m$로 가장 빨랐고, 생존율도 65.8%로 가장 높았다. 개량조개 유생은 사육수 1 ml 당 10개체 이하의 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양호하였으나 20개체 이상에서는 다소 성장이 늦어 유생의 사육밀도는 1 ml 당 10개체 이하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개량조개 유생의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유생사육 최적 조건은 수온 $23^{\circ}C$, 염분 30-35 psu, 유생 수용밀도 1-10 개체/ml이었다. 유생사육 시 먹이생물은 미세조류 4종 [Isochrysis galbana, Pavlova lutheri, Isochrysis sp. (green), Chlorella ellipsoidea] 을 혼합 공급한 실험구에서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며, 먹이생물을 단일종만을 공급시 I. galbana와 Isochrysis sp. (green) 실험구에서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높일 수 있었다. 따라서 개량조개 유생의 적정먹이는 I. galbana와 Isochrysis sp. (green)를 포함한 2종 이상을 혼합 공급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쌍별귀뚜라미(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의 실내 대량사육 조건 (Mass Rear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Gryllus bimaculatus De Geer (Orthoptera: Gryllidae))

  • 김철학;박세연;이영철;김준호;변봉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 산업곤충으로 주목받고 있는 쌍별귀뚜라미의 생산 효율 증대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에 따른 부화율 및 부화 기간을 비롯하여 사육 밀도에 따른 생존율 및 산란 온도에 따른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적정 부화 상대습도는 90% 조건에서 부화율 90%를 보여 가장 높았다. 온도별 부화율 조사결과 $20^{\circ}C$에서 98.3%로 가장 높았다. 또한, 온도별 부화 $35^{\circ}C$조건에서 7.1일로 가장 짧게 나타났다. 또한 사육 용기에 3,000~20,000개체를 투입하여 35일간 조사한 밀도별 생존율은 34~18%였다. 쌍별귀뚜라미의 먹이에 채소 급여가 성장에 미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1.8배, 생체중량은 2.5배 높게 나타났다. 온도별 산란수 조사결과 $25^{\circ}C$ 조건에서 30일 후 1,710개로 가장 높았다.

가숭어, Chelon lauvergnii 종묘생산 (Production of Mullet (Chelon lauvergnii) Seedlings)

  • 강희웅;박인석;이원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6
    • /
    • 2000
  • 가숭어, Chelon lauvergnii의 효율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어를 대상으로 부화후 70일까지 국립수산진흥원 보령수산종묘시험장에서 일련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보령수산종묘시험장 인근해에서의 가숭어 산란시기는 5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다 3가지 먹이공급 계열 (즉, rotifer, Artemia nauplius 및 배합사료공급)을 적용한 실험군의 성장과 생존은 다른 2가지 먹이공급 계열군의 성장과 생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Maxima$^{TR}$ 로 영양강화한 rotifer로 먹이공급군, 그리고 오징어 간유로 영양강화한 Artemia nauplius로 먹이공급군의 생존율은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단위 사육수량 200 l 당 100~600마리를 기준으로 밀도 실험 결과 200 l 사육수당 100마리 자어 밀도군이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P<0.05),모든 밀도 실험군은 97~98%의 생존율을 보여 차이가 없었다 (P<0.05).

  • PDF

양돈장 사양관리와 도축돈 폐 병변조사 (Rearing managements of pig farms and survey on pneumonia of slaughtered pigs)

  • 추금숙;육현수;천희웅;송희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6
    • /
    • 2006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aring managements of pig farms and survey on pneumonia of the slaughtered pigs from 5 selected herds located in Jangsu, Jeonbuk. Isolated aerobic microorganisms from pneumonic lung were examined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tested serological antibody titers of the herd base. Prevalence rate of pneumonia were examined according to rearing and health management conditions of pig farms. Prevalence rate of pneumonia were detected in 78.8% and enzotic pneumonia. In 47.7%, pleuropneurnonia in 31.1%. In serological antibody titers showed the positive reaction with 54.4% in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 serotype 5, 44.8% in Pasteurella multocida, 36.8% in A pleuropneurnonia serotype 2, 13.6% in Mycoplasmal pneumonia. Isolated aerobic microorganisms were examined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showed the high activity in gentamicin (58.3%), enrofloxacin (53.3%), norfloxacin (51.6%), cephalothin (41.7%) and low activity in amoxycillin (98.3%), oxytetracycline (98.3%), penicillin G (90.0 %), tetracycline (88.4%), ampicillin (88.3%). Farm managements were deficient effect of humidity in swine house but ammonia gas all appeared the 10 ppm that were recommendation density, below.

복지형 양계시스템에 관한 연구동향 (A Review of Welfare Chicken Farming System)

  • 하재정;이용준;김병천;오상집;송영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92
    • /
    • 2010
  • This review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searches on the welfare of rearing environments system in farming chicken, including stocking density, perch, housing system and research trend. The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most of the developed countries took much efforts into making appropriate regulations to improve the welfare of rearing environment about broilers and laying hens, particularly more parts in laying hens. Recently the regulations have varied a lot, to be more detailed than before. Moreover, some regulations give valuable suggestions to improve well-being of poultry industry such as additional facilities. Until now it has been known, the quality of the products will improve and the income of producers will increase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welfare. Therefore the releva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can strengthen the belief of consumers especially the competition is so fierce today. In conclusion, improvement of poultry welfar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real situation and international trends to create the appropriate rules such as professional consulting and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