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time RT-PCR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자외선 조사에 의해 노화된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항노화 효능 (Anti-aging Effect of Agarum cribrosum in UVA-irradiated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심중현
    • 생약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28-233
    • /
    • 2021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oisturizing effects of Agarum cribrosum extract o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s). Moisturizing effects of A. cribrosum extract on NHEK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realtime RT-PCR to verify the gene expressions related to skin hydration, hyaluronic acid (HA)-ELISA to detect HA production, and cell viability assays. A. cribrosum extract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the AQP3 and HAS2 genes and HA production in NHEKs. On the other hand, A. cribrosum extract decreased the mRNA level of the KRT1 and KRT10 genes known as differentiated keratinocyte marker in NHEKs. This research showed the moisturizing effects of A. cribrosum extract. The results indicate that A. cribrosum extract can be a potent functional ingredient for skin hydration and anti-aging products. Further study is warranted regarding the use of A. cribrosum extract to develop not only cosmetics but also food and medicine.

휴대전화기의 전자파가 Mouse의 뇌에서 Melatonin receptor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Cellular Phone Electromagnetic Field Effect on the Melatonin Receptor Expression in the Mouse Brain)

  • 이정식;김경훈;정기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83-188
    • /
    • 2005
  • 포유동물에서는 두가지의 receptor가 보고되었다. 각 sample을 RNA extraction, RT-PCR, Realtime-PCR을 실시하여 melatonin 1A, 1B의 발현 양을 분석하였다. MT1A는 cerebellum에서는 3 hours에서 약 1/8배로 감소를 보이고 6 hours에서는 정상치 9 hours에서는 16배정도로 많은 양의 증가율 보였다. 나머지 hippocampus, thalamus, hypothalamus에서는 공통적으로 3 hours에서 많게는 10배에서, 적게는 대조군과 거의 비슷한 1.5배정도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6 hours에서는 모두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MT1B에서는 4 group 모두 3 hours, 6 hours에서 receptor의 양이 확연히 줄어들었다. 9 hours의 경우에는 4 group모두에서 적게는 8배, 많게는 거의 1000배 가까이의 발현 양의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항 바이러스 치료중인 B형 간염환자에서 HBeAg 및 HBV DNA 검출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HBeAg and HBV DNA Detection in Hepatitis B Patients Treated with Antiviral Therapy)

  • 천준홍;채홍주;박미선;임수연;유선희;이선호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35-39
    • /
    • 2019
  • [목적]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감염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며 만성간염, 간 경변,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B형 간염바이러스의 혈청학적 검사는 필수적이다. 항 바이러스 치료중인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방사계수 측정법(IRMA; Immunoradiometric assay)과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분석법(CMIA; Chemiluminescent Micropartical Immunoassay)을 이용하여 HBe-Ag 검사를 시행하였고,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이용하여 혈청 내 HBV DNA 검출율 을 비교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항 바이러스 치료가 시행중인 B형 간염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HBeAg 혈청 검사와 HBV DNA 정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HBeAg 혈청 검사는 검출 원리가 다른 두 가지 혈청학적 검사법(IRMA, CMIA)을 적용 하였고, 혈청 내 HBV DNA는 Abbott m2000 System을 사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법으로 정량 측정 하였다. [결과] HBeAg 검출율은 면역방사계수법(IRMA)의 경우 24.1% (65/205),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CMIA)에서는 82.2% (222/48)의 결과를 보였다. 혈청학적 검사방법(IRMA, CMIA)에 따른 HBeAg 검사결과의 일치율은 33% (89/270)이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이용한 혈청 내 HBV DNA의 검출율은 29.3% (79/191)를 보였고, 혈청 내 HBV-DNA 농도는 $16IU/mL{\times}1.0{\times}10^9IU/mL$ 이며 검출한계는 <15IU/mL 이다. 면역방사계수법(IRMA)으로 HBeAg 검출결과가 양성일때 55.4%, 그리고 음성일때 20.9%의 HBV DNA 검출율과 $1.1{\times}10^8IU/mL$, $5.7{\times}10^5IU/mL$의 혈청내 HBV DNA농도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CMIA)의 경우 HBeAg 검출결과가 양성일때 HBV DNA 검출율은 28.4%, 음성일때 33.3%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혈청 내 HBV DNA농도는 $6.0{\times}10^7IU/mL$, $2.4{\times}10^5IU/mL$ 이었다. 면역방사계수법과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에서 동일하게 HBeAg 검출 결과가 양성인 경우 HBV DNA 검출율은 62.3%의 결과를 보였으며, 혈청 내 HBV DNA 농도는 $1.1{\times}10^8IU/mL$ 이다. [결론] 혈청학적 검사법에 따른 HeAg 검출율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검사kit에 사용된 Ab의 특성과 epitope, HBV의 genotype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각된다. 혈청학적 검사 결과로 분류 된 그룹별 HBV DNA의 검출율과 농도를 비교한 결과, Group II(IRMA 양성, CMIA 양성, N=53)에서 높은 검출율과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Anti-obese and Blood Flow Improvement Activities of Ginseng Berry on the 45%Kcal High Fat Diet Supplied Mouse

  • Lee, Sol;Lee, Hae-Jeung;Chun, Yoon-Seok;Seol, Du-jin;Kim, Jong-Kyu;Ku, Sae-Kwang;Lee, Young-Joon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7-127
    • /
    • 2018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e and blood flow improvement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s of ginseng berry (GBe) on the mild diabetic obese mice as compared with metformin. Methods : After end of 56 days of continuous oral administrations of GBe 150, 100 and 50 mg/kg, or metformin 250 mg/kg, anti-obese and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s - the changes of body weights, body and abdominal fat density by in live dual-energy x-ray absorptionmetry (DEXA), tail bleeding time,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serum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levels, aorta and serum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nitric oxide (NO) and endothelin (ET)-1 levels, aorta phosphorylated PI3K (pPI3K), phosphorylated Akt (pAkt) and phosphorylated p38 MAPK (pp38 MAPK) levels were systemically analyzed. In addition, aorta vascular dilation and constriction related gene mRNA expressions - PI3K, Akt, eNOS, p38 MAPK and ET-1 were also analyzed by realtime RT-PCR. Results : The obesity and related blood flow impairment, induced by 84 days of continuous HFD supply,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56 days of continuous oral treatment of GBe 150, 100 and 50mg/kg, dose-dependently, and they also dramatically normalized the changes of the aorta vascular dilation and constriction related gene mRNA expressions, also dose-dependently. Especially, GBe 150 mg/kg constantly showed favorable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pe II diabetes related obesity and vascular disorders through PI3K/Akt pathway and p38 MAPK mediated cGMP, NO and ET-1 expression modulatory activities, as comparable to those of metformin 250 mg/kg in HFD mice. Conclusion : By assessing the key parameters for anti-obese and blood flow improvement activities on the HFD-induced mild diabetic obese mice, the present work demonstrated that GBe 150, 100 and 50 mg/kg showed favorable anti-obese and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s in HFD-induced type II diabetic mice, through PI3K/Akt pathway and p38 MAPK mediated cGMP, NO and ET-1 expression modulatory activities.

바이러스에 의한 최근(2010-2019) 국내 식중독 사고와 검출법 및 제어법에 대한 동향 조사 (Recent (2010-2019) foodborne outbreaks caused by viruses in the Republic of Korea along with their detection and inactivation methods)

  • 권승욱;김상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1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10년간(2010-2019년) 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통계 및 바이러스 검출법과 제어법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나타냈다. 국내에서 지난 10년 동안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 사고 488건 중 94.9%가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노로바이러스가 국내에서 가장 주요한 식중독 바이러스로 생각된다.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PCR을 이용한 방법이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2020년 12월) 식품 공전에 등록된 방법(고시 제 2010-45호)에 따라 전기 영동을 기반으로 한 one-step RT PCR 및 semi-nested PCR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DNA sequencing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서 검출된 바이러스의 서열을 분석하여 이미 보고된 바이러스의 서열과 비교한 논문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real-time PCR을 적용한 논문들도 보고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전기 영동을 실시하는 conventional PCR을 대신하여 신속하게 정량 검출이 가능한 realtime PCR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한다. 기타 바이러스의 검출에 있어서도 역시 PCR을 활용한 방법이 주로 보고되고 있으며 multiplex PCR을 활용하여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를 동시에 검출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나아가서, 자기 면역력 분리와 퀀텀닷 분석 방법 등을 이용한 신속 검출법이 제시되고 있어 앞으로 여러 식품에 오염된 바이러스를 현장에서 신속분리 및 검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노로바이러스는 실험실에서 배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노로바이러스 제어 연구는 대체재를 이용한 방법들이 주를 이루었다. 옴 가열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열처리와 초고압, 오존, 감마선, 광펄스 등의 비가열 처리를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의 저감 정도를 살펴본 연구들이 최근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완충용액보다는 식품 샘플에서 바이러스의 저감 정도가 낮게 관찰되었는데 식품 matrix가 이러한 물리적 처리에 간섭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러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조합하여 처리할 필요가 있다. 기타 바이러스 제어 연구에 있어서는 열, 광펄스, 고압력 등의 물리적 처리와 더불어 살균제(sanitizer)를 적용한 논문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식중독 바이러스의 저감 메커니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러 물리적, 화학적 처리에 대해서 식중독 바이러스가 저항성을 갖는 이유와 사멸되는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이해한다면 추후 여러 식품에서의 바이러스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duction of Ski Protein Expression upon Luteinization in Rat Granulosa Cells

  • Kim, Hyun;Matsuwaki, Takashi;Yamanouchi, Keitaro;Nishihara, Masugi;Yang, Boh-Suk;Ko, Yeoung-Gyu;Kim, Sung-Woo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7-244
    • /
    • 2011
  • Ski protein is implicated in proliferation/differentiation in a variety of cells. We had previously reported that Ski protein is present in granulosa cells of atretic follicles, but not in preovulatory follicles, suggesting that Ski has a role in apoptosis of granulosa cells. The alternative fate of granulosa cells other than apoptosis is to differentiate to luteal cells, however, it is unknown whether Ski is expressed and has a role in granulosa cells undergoing luteinization.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initiation of luteinization with luteinizing hormone (LH) directly regulates expression of Ski in the luteinized granulosa and luteal cells after ovulation by in vitro models. RT-PCR and real time PCR analysis respectively revealed that LH had no effect on c-Ski mRNA expression in the cultured granulosa cells regardless of LH treatment. Though Ski protein is absent in granulosa cells of preovulatory follicle, its mRNA (c-Ski) was expressed and the level was unchanged even after LH surg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ki protein expression is induced in granulosa cells upon luteinization, and suggested that its expression is regulated post-transcriptionally. Moreover, expression of mRNA of Arkadia, an E3 ubiquitin ligases, in luteinizing granulosa cells in vivo was assessed by realtime-PCR. The levels of Arkadia mRNA expression were unchanged during follicular growth and postovulatory luteiniz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ki protein level may be regulated during luteinization at translational and/or post-translational level but not by Arkadia.

Mitigating $CH_4$ Emissions in Semi-Aerobic Landfills: Impacts of Operating Conditions on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Methanotrophs in Cover Soils

  • Li, Huai;Chi, Zi-Fang;Lu, Wen-Jing;Wang, Hong-Ta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7호
    • /
    • pp.993-1003
    • /
    • 2013
  • Methanotrophs are the most important sink of $CH_4$, which is a more highly potent greenhouse gas than $CO_2$. Methanotrophic abundance and community diversity in cover soils from two typical semi-aerobic landfills (SALs) in China were detecte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PCR) and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based on 16S rRNA genes, respectively. Real time-PCR showed that Type I methanotrophs ranged from $1.07{\times}10^6$ to $2.34{\times}10^7$ copies/g soil and that of Type II methanotrophs from $1.51{\times}10^7$ to $1.83{\times}10^8$ copies/g soil. The ratio of Type II to Type I methanotrophic copy numbers ranged from 5.61 to 21.89, indicating that Type II methanotrophs dominated in SAL. DGGE revealed that Type I methanotrophs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the environment, changing as the community structure varied with different soil types and locations. Methylobacter, Methylosarcina, and Methylomicrobium for Type I, and Methylocystis for Type II were most prevalent in the SAL cover layer. Abundant interflow $O_2$ with high $CH_4$ concentration in SALs is the reason for the higher population density of methanotrophs and the higher enrichment of Type II methanotrophs compared with anaerobic landfills and other ecosystems, which proved a conclusion that increasing the oxygen supply in a landfill cover layer would greatly improve $CH_4$ mitigation.

한우 등심부위 근육 내 조지방함량에 따른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유전자발현 분석 (Gene Expression Analysis of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Gene in Longissimus dorsi of High- and Low Marbled Hanwoo Steers)

  • 이승환;김남국;김성곤;조용민;윤두학;오성종;임석기;박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90-1095
    • /
    • 2008
  • 근내지방 축적이 왕성하게 진행되는 12개월 및 27개월령 사이에 유전자발현이 증가하는 inducible cAMP early repressor (ICER) 유전자의 클로닝 및 유전자발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우조직별, 근육 내 조지방 함량에 따라 마블링 high- 및 low 한우 각 4두와 3두씩을 공시하였다. ddRT-PCR 분석을 통하여 증폭된 300 bp PCR 산물 및 EST 서열을 중심으로 1.5 kb 한우 ICER cDNA를 염기서열 분석하였으며, 조직별 유전자발현분석결과, 식이지방이 흡수되는 소장 조직에서 ICER 유전자의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아울러, 같은 근육타입인 등심 및 우둔조직 사이에서 ICER 유전자발현은 등심조직에서 2.5배 많이 발현하였다. 한우 마블링 high, low 두 그룹 간 유전자발현 분석 결과, high 그룹에서 ICER 유전자발현이 4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ICER 유전자는 가축의 마블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임이 사료된다.

고구마에서 질소 유도성 유전자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itric Oxide-induced Gene in Sweetpotato)

  • 이일환;심동환;이강록;남기정;이신우;김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1-6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산화질소 유도성(nitric oxide-induced, NOI) 유전자를 건조 처리된 고구마 실뿌리의 EST 라이브러리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IbNOI 유전자의 cDNA는 712 bp의 길이이며, 7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Blast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식물에서 보고된 NOI 단백질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T-PCR과 realtime-PCR을 통해 IbNOI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고구마 식물체의 조직별로 조사한 결과, 저장뿌리와 현탁배양세포에서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잎에서 산화질소를 유도하는 SNP와 화합물 스트레스들을 처리시, IbNOI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염, 건조와 같은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에 의해서도 IbNOI의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해 IbNOI 유전자는 다양한 비생물학적 스트레스 및 병원균 감염 동안 산화질소와 연관된 조절기작을 통해 식물의 방어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Overexpression of Cyclooxygenase-1 Correlates with Poor Prognosis in Renal Cell Carcinoma

  • Yu, Zu-Hu;Zhang, Qiang;Wang, Ya-Dong;Chen, Jing;Jiang, Zhi-Mao;Shi, Min;Guo, Xin;Qin, Jie;Cui, Guang-Hui;Cai, Zhi-Ming;Gui, Yao-Ting;Lai, Yong-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729-3734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xpression of COX-1 in renal cell carcinoma (RCC) and its prognostic value. mRNA of COX-1 was detected in 42 paired RCC and adjacent normal tissues with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Expression of COX-1 was also evaluated in 196 RCC sections and 91 adjacent normal tissues with immunohistochemistr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COX-1 expression in RCC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The results of qRT-PCR showed mRNA levels of COX-1 in RCC tissues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adjacent normal tissues (p < 0.001). Immunohistochemical assays also revealed COX-1 to be overexpressed in RCC tissues (p < 0.001).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high expression of COX-1 was correlated with tumour size (p = 0.002), pathological stage (p = 0.003), TNM stage (p = 0.003, 0.007, 0.027, respectively), and tumour recurrence (p < 0.001). Survival analysis indicated patients with high expression of COX-1 had shorter survival time (p < 0.001), and COX-1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veal overexpression of COX-1 in RRC and point to use as a prognostic marker in affected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