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ctive compatibilize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유변학적 성질 측정으로 측정한 고분자 계면에서의 반응 kinetics와 morphology 변화 (Reaction Kinet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at Polymer-polymer Interface measured by Rheological Properties)

  • Kim, Hwang-Yong;Unyong Jeong;Kim, Jin-Kon
    • 한국유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변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27
    • /
    • 200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action kinetics by a convenient but useful method-rheology to characterize the interface between two immiscible blends with a Reactive compatibilizer. Also, we made an attempt to correlate changes of interface roughness with rheological properties. The blend systems employed in this study was mono-carboxylated polystyrene (PS-mCOOH) and an poly(methyl methacrylate-ran-glycidylmethacrylate) (PMMA-GMA). PS-mCOOH was synthesized by an anionic polymerization and PMMA-GMA by 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We prepared two plates of each polymer using compression molding with a smooth surface molder, then put one upon another. As soon as these two plates welds together inside a rheometer under nitrogen environment, the torque and moduli were obtained with reaction time at different temperatures.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modulus change with reaction time, we estimated interfacial reaction and roughening. The increment of modulus in initial state can be correlated to the extent of reaction. We obtained the reaction kinetic constant by fitting appropriate kinetic equation into experimental data. We also showed that increment of modulus in later state was due to by roughened interface.

  • PDF

폴리카보네이트와의 레이저 투과 용접성 개선을 위한 폴리프로필렌 개질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for Improving the Laser Transmission Weldability to Polycarbonate)

  • 김대진;전일련;박해윤;서관호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753-763
    • /
    • 2013
  • 동종 혹은 이종의 고분자를 레이저로 접착시키는 방법은 레이저 접착이 가지는 장점들로 인해 많은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카보네이트(PC)가 레이저 투과용접이 가능하다면 자동차 헤드램프에 큰 이점을 갖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카보네이트는 상용성이 낮아 레이저 접착을 시켜도 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압출을 통해 폴리프로필렌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MA)로 개질하고, 폴리카보네이트와의 상용성, 기계적 물성 및 레이저 투과 용접을 통해 접착성을 조사하였다.

Poly(phenylene ether)/Polyamide 블렌드의 상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tibilization of Blends Based on Poly(phenylene ether) and Polyamide)

  • 김형수;임종철
    • 폴리머
    • /
    • 제25권3호
    • /
    • pp.441-449
    • /
    • 2001
  • 폴리페닐렌 에테르(PPE)/폴리아미드(PA)를 근간으로 하는 블렌드를 상용화하기 위하여 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이 그라프트된 공중합체 (g-BS)를 합성하고 여기에 폴리아미드의 말단기인 아민기와 반응성이 높은 무수말레인산기를 그라프트시킨 g-BS*를 도입하여 블렌드의 형태학과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고 상용화제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폴리아미드 연속상에 분산되어 있는 PPE상의 크기와 이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는 사용된 g-BS의 구조와 관능기의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블렌드의 내열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을 위하여 g-BS성분을 PPE상에 내재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상구조의 형성은 g-BS에 포함된 폴리스티렌의 함량과 분자량이 적절하게 유지될 때 가능하였다. 고무함량과 그라프트된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g-BS*에 존재하는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낮거나, 고무입자의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연속상과 분산상의 계면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g-BS*를 사용하면, 폴리페닐렌 에테르에 관능기를 도입하여 상용화하는 기존의 방법과 동등한 정도의 물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자연 색상이 보다 우수한 수지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친환경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 EPDM과 PP의 기능화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terials Using EPDM Scrap : Functionalization of EPDM and PP)

  • 김섭;정경호
    • 청정기술
    • /
    • 제15권3호
    • /
    • pp.180-185
    • /
    • 2009
  •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을 고온전단분쇄기를 이용하여 표면활성화 된 분말을 얻은 후 이를 폴리프로필렌과 블렌드하여 열가소성탄성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 분쇄 시 표면활성제를 1.5 phr 첨가하면 최적의 표면활성화 된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는 maleic anhydride를 반응블렌드에 의해 그라프트시켜 기능화 하였다. 기능화된 에틸렌-프로펄렌 분말과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드하여 열가소성탄성체를 제조할 때 계면젖음 특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계면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용화제로 poly(ethylene-co-acrylic arid)를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였다. Poly(ethylene-co-acrylic acid)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에틸렌-프로필렌 분말과의 계면젖음성이 크게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한 MA-PLA 제조 및 바이오플라스틱 PLA/PA11 블렌드의 상용성 개선 (Preparation of MA-PLA Using Radical Initiator and Miscibility Improvement of PLA/PA11 Blends)

  • 이종은;김한얼;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6-85
    • /
    • 2019
  • Vegetable oil은 자연 유래 물질로 낮은 가격 및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vegetable oil 내의 이중결합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의 기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ung oil은 ${\alpha}$-eleostear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이 구조는 3개의 이중결합이 공명구조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vegetable oil과는 달리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ung oil을 styrene 및 divinylbenzene 등의 monomer와 양이온 중합을 통해 tung oil의 관능기 치환 과정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각 monomer의 조성이 합성된 열경화성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ung oil-styrene-divinybenzene copolymer는 단일 Tg를 갖는 homogeneous한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통해 tung oil 및 styrene은 soft segment로써 합성된 copolymer에 elastic한 성질을 부여하고, divinylbenzene은 hard segment로 작용하여 합성된 copolymer에 brittle한 성질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