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y(phenylene ether)/Polyamide 블렌드의 상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tibilization of Blends Based on Poly(phenylene ether) and Polyamide

  • 김형수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 임종철 (제일모직 종합연구소)
  • 발행 : 2001.05.01

초록

폴리페닐렌 에테르(PPE)/폴리아미드(PA)를 근간으로 하는 블렌드를 상용화하기 위하여 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이 그라프트된 공중합체 (g-BS)를 합성하고 여기에 폴리아미드의 말단기인 아민기와 반응성이 높은 무수말레인산기를 그라프트시킨 g-BS*를 도입하여 블렌드의 형태학과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고 상용화제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폴리아미드 연속상에 분산되어 있는 PPE상의 크기와 이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변화는 사용된 g-BS의 구조와 관능기의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블렌드의 내열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을 위하여 g-BS성분을 PPE상에 내재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상구조의 형성은 g-BS에 포함된 폴리스티렌의 함량과 분자량이 적절하게 유지될 때 가능하였다. 고무함량과 그라프트된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이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g-BS*에 존재하는 무수말레인산의 함량이 낮거나, 고무입자의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연속상과 분산상의 계면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g-BS*를 사용하면, 폴리페닐렌 에테르에 관능기를 도입하여 상용화하는 기존의 방법과 동등한 정도의 물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자연 색상이 보다 우수한 수지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ompatibilization of blends based on poly(phenylene ether) (PPE) and polyamide (PA) has been practiced with the incorporation of a copolymer formed by grafting polystyrene onto polybutadiene latex (g-BS) which is further functionalized with maleic anhydride (MAH) (g-BS*) to impart reactivity with amine groups of PA. The major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effect of the various structural factors in g-BS8 on the phase morphology and mechanical performance of the blends. For the balance of impac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it was important to locate g-BS n particles inside of the PPE phase, which was accomplished by the proper control of the molecular weight and amount of PS in g-BS*. For g-BS*'s having constant molecular weight and amount of PS, the reduction of MAH content or increase of rubber particle size in g-B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domain size and consequently loss in mechanical properties. Based on the comparison made with the conventional PPE/PA blend comprising MAH grafted PPE as a compatibiliz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arable level of mechanical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an appropriate g-BS* type material with improved whiteness index.

키워드

참고문헌

  1. US 4,315,086 K. Ueno;T. Maruyama
  2. US 4,654,405 R. L. Jalvart;T. S. Grant
  3. US 4,740,552 T. S. Grant;D. V. Howe
  4. Polym. Eng. Sci. v.23 M. B. Djordjevic;R. S. Porter
  5. Polymer v.26 S. Wu
  6. Polymer v.28 R. J. M. Borggreve;R. J. Gaymans;J. Schuijer;J. F. I. Housz
  7. J. Appl. Polym. Sci. v.35 S. Wu
  8. Polymer v.33 A. J. Oshinski;H. Keskkula;D. R. Paul
  9. Polymer(Korea) v.23 S. Yang;K. Char;J. C. Lim;H. Kim;S. H. Ryu
  10. Korean Journal of Rheology v.9 S. C. Lee;H. Kim;I. K. Hong;Y. S.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