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ctive blend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Preparation of Epoxidized Soft Terpolymers and Their Reactive Compatibilizing Effects on PP/EVOH Blends

  • Kim, Jung Soo;Jeon, Dong Gyu;Jang, Ji Hoon;Kim, Jin Hoon;Kim, Ki Bum;Yang, Hong Joo;Park, Jun Sung;Lee, Youn Suk;Kim, Dong Hyu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0권3호
    • /
    • pp.189-195
    • /
    • 2015
  • In this study, we prepared epoxidized poly ethylene-ter-1-decene-ter-divinylbenzene (Epo-PEHV) as a reactive compatibilizer to prevent phase separation phenomenon which occurs upon blending polypropylene (PP) and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EVOH). Firstly, PEHV was prepared under high catalyst activity according to content of catalyst and cocatalyst. After then, we modified vinyl group of the terpolymer with epoxy group. We observed that the terpolymer was successfully epoxidized by 1H-NMR and FT-IR analysis. The Epo-PEHV was added by 2, 5, 10% in PP/EVOH blends. The morpholog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P/Epo-PEHV/EVOH blends were analyzed by SEM and UTM, respectively. Epo-PEHV enhanced the interfacial adhesion of PP and EVOH blends.

Modified Silk Sericin Nanoparticles and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 Kanchanason, Vipasri;Magaraphan, Rathanawan;Nithitanakul, Manit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60-260
    • /
    • 2006
  • Sericin was modified by solution blending (10-30 wt%) with 70-90 wt% polyacrylamide (PAM) in water. The reactive sites of sericin such as serine and tyrosine were attached to PAM. Prot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NMR$)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were used to characterize the modified sericin. The electrospinning conditions i.e. the blend composition and the power supply voltage, at a tip to target distance of 15 cm were studied. The morphology of nanoparticles and nanofibers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average particles size of the nanoparticle obtained was 191 nm and nanofibers was 150-300 nm.

  • PDF

Toughened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탄소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충격파괴 거동 (Impact Fracture Behavior of Toughened Epoxy Resin Applied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 이정훈;황승철;김민영;김원호;황병선
    • 한국복합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합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1-114
    • /
    • 2003
  • Thermosets are highly cross-linked polymers with a three-dimensional molecular structure. The network structure gives rise to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one major drawback of thermosets, which also results from their network structure, is their poor resistance to impact and to crack initiation. In this study, to solve this problem, the reactive thermoplastics such as amine terminated polyetherimide (ATPEI), ATPEI-CTBN-ATPEI(ABA) triblock copolymer, CTBN-ATPEI(AB) diblock copolymer, and carboxyl group modified ATPEI was synthesized, after that blended with epoxy resin, and the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s were fabricated. The impact load, energy, and delamina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drop weight impact test and C-scan test. As a results, the ABA/epoxy blend system showed good impact properties.

  • PDF

반응성 분산염료를 이용한 혼방섬유의 일욕염색 (One-bath Dyeing of Blend fabric with Reactive Disperse Dyes)

  • 김지수;이정진;윤양수;김재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5-226
    • /
    • 2003
  • 일시적 수용성 반응성 분산염료는 염료합성시에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절감 및 밀링공정 생략에 의한 생산성 증대효과가 있다[1-2l. 또한 혼방섬유를 단일염료로 일욕에서 염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단축의 효과, 염색공정시에도 분산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제절감 및 염색폐수의 환경문제 개선 둥의 장점이 있다. 3원색(yellow, red, blue)의 일시적 수용성 반응성 분산염료를 이용하여, Acetate/Nylon(A/N), Acetate/polyester(A/P), Polyester/Nylon(P/N) 혼방섬유를 일욕에서 염색하였으며, 염색성, 견뢰도 및 염색폐수의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혼합 폐포장 필름의 상용성 증진과 강인화 (Enhancement of Compatibility and Toughening of Commingled Packaging Film Wastes)

  • 전병환;윤호규;황승상;김정안;홍순만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27-134
    • /
    • 2005
  • 포장용 필름 등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PP)계 필름[PP/polyethylene(PE)/aluminum(Al)poly(ethylene terephthalate)(PET)]과 나일론(Nylon)계 필름[Nylon/PE/linear-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등 혼합 폐포장 필름의 상용성 증진과 강인화를 위해 시판되는 여러 가지 상용화제 중 ethylene vinylacetate(EVA),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triblock copolymer(SEBS),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graft-maleic anhydride copolymer(SEBS-g-MA), polyethylene-graft-maleic anhydride (PE-g-MA), polypropylene-graft-maleic anhydride(PP-g-MA), polyethylene-graft-acrylic acid(PE-g-AA), polypropylene-araft-acrylic acid(PP-g-AA) 등을 사용하여 반응 압출 공정에 의한 기계적 물성, 유성학적 성질과 형태학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단순 용융 블렌드와 비교하여 상용화제로 SEBS와 EVA를 사용하였을 때 약 $50\%$의 물성 향상을 보였으나 나일론의 말단기인 아민기와의 반응성 향상을 위해 무수말레인산이 그래프트된 열가소성 탄성체 SEBS-g-MA의 사용시 분산 입자의 감소 및 접촉면적의 증가에 의한 계면 접착력의 증가로 약 $200\%$ 이상의 내충격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었다.

이미다폴(2E4MZ-CN) 촉매 첨가에 의한 에폭시/폴리아미드/MPD 반응성 블렌드의 경화 반응, 형태학적 특징 및 접착력 향상 연구 (Characterizations of Adhesion Property, Morphology and Cure Reaction of Epoxy/Polyamide/MPD Reactive Blend with Imidazole(2E4MZ-CN) Catalyst)

  • 송현우;강학수;김원호;스테판말지;김병민;최영선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290-2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DGEBA)/폴리아미드/MPD/2E4MZ-CN 반응성 블렌드의 경화 촉진제 함량에 따른 블렌드계의 형태학적 특징 및 기계적 물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블렌드계의 경화거동은 DSC, 기계적 강도는 UTM, 형태학적 특징 변화는 SEM을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미다졸(2E4MZ-CN) 경화촉진제의 함량을 $0{\sim}3\;phr$까지 조절 하였으며, 경화 반응 온도는 $170^{\circ}C$에서 30분간 유지하였다.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발열 온도가 미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에폭시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에 의해 경화 반응이 거의 방해받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폴리아미드 함량이 20 phr인 조건에서 에폭시 블렌드계는 co-continuous한 분산상을 보이며, 이 조건에서 경화 촉진제의 첨가에 의해 더욱 균일한 co-continuous한 분산상이 나타났다. 상압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해 표면장력이 증가되어 집착력이 향상되었으며,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2 phr에서 가장 우수한 집착력을 보여 20% 이상의 집착력 향상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경화 촉진제에 의한 블렌드계의 형태학적 조절을 고려하면 구조용 접착제에서 보다 향상된 집착력과 연신율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폴리아마이드 66/폴리프로필렌 블렌드의 상업화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of Polyamide 66/Polypropylene Blend)

  • 김석준;남병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3호
    • /
    • pp.262-272
    • /
    • 2003
  • 말레인산 무수물을 그라프트시킨 폴리프로필렌(PP-g-MA)을 폴리아마이드 66(PA 66)/PP-g-MA 이원 블렌드 및 PA 66/polypropylene(PP)/PP-g-MA 삼원블렌드에 한 성분 및 상용화제로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원 및 삼원블렌드 사이의 여러가지 물성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평가된 물성으로는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용융흐름지수 그리고 전단속도 증가에 따른 점도변화가 포함된다. 이원 블렌드의 충격강도는 모든 조성에서 삼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A 66 말단의 아민 그룹과 PP-g-MA의 산 무수물이 반응하여 이미드(imide) 그룹이 형성되어 PP-g-PA 66 공중합체의 합성이 분자량을 증가시키고 이 반응이 삼원 블렌드에서 보다 이원 블렌드에 더 많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삼원 블렌드계의 경우 대부분의 물성이 이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P의 물성이 PP-g-MA의 물성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충격에 매우 강한 70/30(PA 66/pp-g-MA) 및 80/20 조성의 이원 블렌드는 가공성이 나빠 상업적 응용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상업적 응용에는 낮은 용융점도를 보이는 삼원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 박정훈;승유택;김우년;홍존희;홍병권;유태욱;윤호규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9-24
    • /
    • 2005
  •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lzod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경우, PP-g-styrene acrylonitrile(PP-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ethylene-ethyl acrylate-maleic anhydride(E-EA-MAH-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서 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olycarbonate(PC)/Nylon-6,6 블렌드의 경우, ethylene glycidylmethacrylate(E-GMA) 상용화제를 0.5 phr 첨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C/Nylon-6,6/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oxymethylene)(POM)/poly(vinyl acetate)(PVC)/poly(butylenes terephthalate)(PBT) 블렌드에서 PP-g-SAN 같은 물리적 상용화제와 E-GMA 와 E-EA-MAH-g-SAN 같은 반응상용화제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pes/speek blend NF membrane for dyeing solution treatment

  • Lau, W.J.;Ismail, A.F.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권1호
    • /
    • pp.49-60
    • /
    • 2010
  • In this stud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performed in NF membrane process to evaluate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membrane in the removal of salt and reactive dye by varying different variables such as pressure, temperature, pH, dye concentration and salt concentration. The significant level of both the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 were observed b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pproach.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have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performances of membrane. The rejection of salt was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pressure, pH and salt concentration whereas the dye rejection was relatively constant in between 96.22 and 99.43%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the variables. The water flux on the other hand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pressure and salt concentr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model prediction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se models in predicting membrane performances prior to the real filtration process.

Enhancement of Molecular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 on Photoreactive Polymers by using Non-Photoreactive Naphthalenic Polyimide

  • Hah, Hyun-Dae;Sung, Shi-Joon;Cho, Ki-Yun;Kim, Won-Sun;Jeong, Yong-Cheol;Park, Jung-K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1169-1172
    • /
    • 2004
  • Polyimides are blended with photoreactive polymers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molecular orientation of photoreactive groups induced by polarized UV irradiation. The polyimide/photopolymer blends can be applied for the photo-induced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s. However, the polyimides are also decomposed by UV irradiation and this may have the negative effect on the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s. In order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polyimide on the molecular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 non-photoreactive naphthalenic polyimide (1,4,5,8-naphthal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was selected for the blend alignment layers. We prepared the blends of photo-reactive coumarin polymers and naphthalenic polyimide, and investigated the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s. Thermal stability of the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s was enhanced due to the thermally stable polyimide. However, there was no other side-effect of polyimide on the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s and this might be attributed to the non-photo-reactivity of naphtahlenic polyim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