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pid fermentation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초

발효 인진쑥과 약쑥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GC와 SAW센서기반 electronic nose에 의한 향기패턴의 신속분석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mugworts and the rapid pattern analysis of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 via surface acoustic wave (SAW) based electronic nose sensor in the GC system)

  • 송효남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54-563
    • /
    • 2013
  • 유산발효한 인진쑥과 약쑥에 대해 발효전후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SAW(surface acoustic wave) 센서가 장착된 GC를 기반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의 패턴을 신속하게 비교분석하였다. 발효후 pH는 6.0~6.4에서 4.6~5.1로 감소하였고 총 가용성고형분 함량은 발효에 따라 약쑥은 감소, 인진쑥은 증가하였다. Hunter's color value를 측정한 결과 명도의 L값과 황색도의 b값은 감소한 반면 적색도의 a값은 발효후 모두 증가하였다. 아미노산의 총량은 발효에 따라 모두 크게 증가하였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인진쑥보다 약쑥에 많았으며 특히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지방산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약쑥에, 다가불포화지방산은 인진쑥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발효후 모두 그 함량이 각각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인진쑥이 62.71~69.40 mg/g로 약쑥의 23.64~24.12 mg/g보다 월등히 높았고, 발효전후의 차이는 없었다. 총 당함량은 발효전 1.58~2.70 mg/g 이었으나 발효후 0.34~1.14 mg/g으로 크게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쑥의 주요 지표성분중의 하나인 scopoletin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약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인진쑥의 경우 발효전과 발효후 각각 5.36 및 6.24 mg/g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살펴본 발효쑥의 표면미세구조는 쑥의 종류에 따라서는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발효후 식물조직이 다소 거칠어지고 부스러진 입자가 생성된 것이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 발효에 의한 식물세포의 변형은 크지 않았다. 전자코에 의한 향기성분 분석결과 발효후 새로운 향기성분의 생성되거나 발효전의 피크가 크게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약쑥은 11개에서 발효후 17개로 증가하였고, 인진쑥은 12개에서 19개로 증가하였다. VaporPrint$^{TM}$로 향기성분의 조합과 함량비를 이미지화된 패턴으로 분석한 결과 약쑥과 인진쑥 원료의 향기는 매우 뚜렷하게 다른 패턴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고, 발효후에는 미세하지만 발효전과 확연히 다른 냄새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냉장고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발효 및 저장효과 (Effect on Fermentation and Storage of Yogurt Using Control System of Refrigerator)

  • 고용덕;정희엽;김경숙;이광훈;김양우;전성식;성낙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14-818
    • /
    • 1994
  • 요구르트의 신속한 발효 및 장기저장을 위한 제어시스템을 냉장고에 도입시켜 밭효 및 저장효과를 조사하였다. 발효 최고온도를 $40^{\circ}C$로 하여 가열시간을 비피더스가 들어 있지 않는 일반 요구르트는 약 7시간, 비피더스 요구르트는 약 11시간으로 하였고 그 후 점진적으로 온도를 감소시켜 약 20시간 후에 발효를 완료시킬수 있었다. 발효가 완료된 후의 pH 산도, 유산균수 및 점도는 $4.23{\sim}4.29$, $0.93{\sim}0.97%$, $4.8{\times}10^7{\sim}2.54{\times}10^8\;cfu/ml$$1,700{\sim}1,800\;cp$로 각각 나타났는데 일반 요구르트외 발효속도가 비피더스 요구르트외 발효속도보다 더 빨랐다. 저장기간 중 pH, 산도, 유산균수 및 점도의 변화는 $4.09{\sim}4.54$, $0.76{\sim}1.1%$, $9.4{\times}10^6{\sim}5.68{\times}10^8\;cfu/ml$$1,450{\sim}2,000\;cp$로 각각 나타났으며, 오염의 지표가 되는 효모 곰팡이 및 대장균군의 경우 효모 및 곰광이가 일반 요구르트에서 저장 15일째에 3.3 cfu/ml로 나타난 것 이외에는 모두 음성으로 나타나 안전한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PDF

Bacillus natto 가 된장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acillus natto on the Soybean Paste)

  • 이갑상;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3-168
    • /
    • 1973
  • 1) 숙성(熟成)은 납두(納豆)된장이 koji된장 보다 빠르고 13일간(日間)이면 충분(充分)하다. 2) 화학성분(化學成分) 품질(品質) 및 냄새와 색깔은 15% 납두(納豆)된장이 다른 것보다 가장 좋은 영향을 주었다. 3) 총 질소량의 변화는 담금한 후 13일(日)까지는 점차로 감소되었으나 amino acid양(量)과 암모니아태 질소량은 증가되었다. 4) Amino acid양(量)의 변화(變化)는 13일(日)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5) Amino acid양(量)은 납두(納豆)된장이 koji된장 것보다 많았다. 6) 총산과 환원당량의 변화는 숙성 $9{\sim}15$일(日)까지 급증가 하였으며 그 후(後)부터는 서서히 증감하였다. 7) 총산과 환원당은 koji된장보다 납두(納豆)된장이 약간 많았으며, 납두(納豆) 첨가량의 상이(相異)에 의(依)한 큰 차이(差異)는 없었다. 8) 환원당량과 amino acid양(量)의 변화(變化)는 protease 역가(力價)에 비례하였다. 9) 15% 납두(納豆)를 첨가하여 13일간(日間) $30^{\circ}C$에서 속양(速釀)하면 좋은 된장을 만들 수 있다.

  • PDF

발효 중 오이지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 김종군;최희숙;김상순;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38-844
    • /
    • 1989
  • 오이지의 제조과정 중 담금액의 pH, 산도, 탁도와 오이의 견고성, 색, 소금의 침투량 등 물리화학적 성질과 오이지의 맛, 냄새, 텍스쳐에 대한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이지를 5, 10, 15%의 소금용액에서 7-10일간 발효하였을 때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오이 조직내 소금의 침투속도는 빠르게 증가하였고 그 증가속도는 담금시간과 반대수 함수적 관계가 있었다.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pH는 천천히 감소하는 한편 담금액의 산생성액은 적어졌다. 먹기에 적당한 pH3.7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5% 경우 2.5일, 10% 경우 4일, 15% 경우 6일이 걸리었다. 산도는 소금농도가 낮을수록 산의 생성이 많았으며 오이지 담금액은 맑은 용액에서 불투명한 유백색으로 빨리 혼탁해졌으며 오이의 표피색은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하였다. 한편 텍스쳐 변화는 1일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그 후 pH3.2에 도달할 때까지 완만하여졌으며,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오이의 견고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오이지의 관능적 품질비교 결과 생오이 맛의 감소와 신맛, 군덕내의 증가는 소금농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변하였다. 텍스쳐 중 사각사각한 성질이 각 농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진 않았으나 중반기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부드러운 성질은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차츰 증가함을 보여 이는 연부현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소금농도는 오이지의 숙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열처리가 오이지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 최희숙;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45-850
    • /
    • 1989
  • 본 연구는 오이지를 발효시킬 때 열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오이를 높은 온도의 소금물에 담금과 생오이를 microwave로 가열처리한 뒤 $25^{\circ}C$에서 10일간 10% 소금용액에 넣어 발효시켰을 때 pH, 총산도, 텍스쳐 및 관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초기 절임온도를 $60-90^{\circ}C$로 하였을 때 pH의 감소경향은 60-70-표준시료 $-80-90^{\circ}C$순으로 감소속도가 점점 낮아져 $80-90^{\circ}C$에서의 담금이 오이지의 숙성을 현저히 지연시켰으며 산의 생성은 $70^{\circ}C$가 가장 많고 $90^{\circ}C$가 가장 적게 나타났고. 오이의 견고성은 발효 4일째부터 $80-90^{\circ}C$ 처리구가 높았다. 생오이에 microwave 열처리함은 오이지 담금액의 pH 변화가 발효 2일부터 표준시료보다 빠르게 밀어져 모든 microwave 처리구가 비교 적 낮은 pH값을 보였으며 산생성도 2일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무처리구보다 많은 양의 산이 생성되어 발효가 촉진되었다. 한편 텍스쳐 변화는 4일 이후 2-3분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 생오이의 microwave 열처리는 발효를 촉진시켰으나 텍스쳐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성질의 평가는 7일 경과한 오이지를 비교하였을 때 열수에 담금과 micorwave에 의한 열처리는 맛이나 냄새에 큰 영향이 없이 사각사각한 성질이 높게 나타나 오이지 텍스쳐의 연화현상을 감소시키는데 유익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additive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in vitro digestibi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mulberry (Morus alba L.) leaves silage

  • Dong, Zhihao;Wang, Siran;Zhao, Jie;Li, Junfeng;Shao, T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292-1300
    • /
    • 2020
  • Objective: To explore feed resources capable of replacing regular poor-quality fodd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in vitro digestibi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mulberry leaves silage. Methods: The mulberry leaves were ensiled either untreated (control) or treated with 1×106 cfu/g fresh matter Lactobacillus plantarum (L), 1% glucose (G), 3% molasses (M), a combination of 1% glucose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G), and a combination of 3% molass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M).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analyzed after 7, 14, 30, and 60 d, respectively. The 60-d silages were subjected to an aerobic stability test and fermented with buffered rumen fluid to measure the digestibility. Results: Inoculating lactic acid bacteria (LAB) resulted in more rapid increase in lactic acid concentrations and decline in pH of mulberry leaves silage as compared control. Higher acetic acid and lower ethanol and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s (p<0.05) were observed in the LAB-inoculated silages as opposed to control during ensiling. The LAB-inoculated silages contained lower water-soluble carbohydrates compared with control during the first 14 d of ensiling, and lower neutral detergent fibre (p<0.05) concentrations as compared with non-LAB inoculated silages. Adding molasses alone increased (p<0.05)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The aerobic stability of mulberry leaves silage was increased by LAB inoculation, whereas decreased by adding glucose or molasses. Conclusion: The LAB inoculation improved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mulberry leaves silage, while adding glucose or molasses failed to affect the fermentation and impaired the aerobic stability. Inoculating LAB alone is recommended for mulberry leaves especially when ensiled at a relatively high DM.

Inhibi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Fermentation by Nisin

  • CHOI, MIN HO;YUN HEE P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5호
    • /
    • pp.547-551
    • /
    • 1998
  • Sixty isolates of lactic acid bacteria found in kimchi, a traditional Korean dish of fermented vegetables, were tested for nisin sensitivity. Of the sixty isolates, all belonging to the genera Leuconostoc, Lactobacillus, and Pediococcus, fifty isolates were sensitive to nisin at a concentration of 100 IU/$m\ell$, and four isolates appeared to be resistant to nisin. This demonstrated that the nisin sensi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und in kimchi varied considerably among isolates. In MRS broth containing nisin at concentrations of 100 to 300 IV/$m\ell$, the growth of sensitive isolate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as inhibited for two to three days at 2$0^{\circ}C$. When nisin was added to kimchi preparations at a concentration of 100 IU/$m\ell$,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delayed and reached a maximum two days later than that in kimchi without nisin.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le use of nisin in kimchi preparation, at recommended levels, to control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of a sensitive isolate L. plantarum revealed the formation of pores on cell surfaces followed by rapid cell wall destruction 1 h after the addition of nisin.

  • PDF

Effects of Daily and Interval Feeding of Sapindus rarak Saponins on Protozoa,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and Digestibility in Sheep

  • Wina, Elizabeth;Muetzel, Stefan;Becker, Klau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1호
    • /
    • pp.1580-1587
    • /
    • 2006
  • Several researchers have demonstrated that the rumen microbial community rapidly adapts to saponins and proposed interval feeding to prevent this rapid adaptation. An in vivo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daily versus application every third day (interval feeding) of Sapindus rarak saponins (SE) on rumen fermentation end products, protozoal counts and nutrient digestibility. Thirty sheep were allocated into 5 groups. Sheep were fed daily or every third day with two levels of SE (0.48 and 0.72 g/kg body mass). One group received no saponin and served as control. All sheep received the same diet, a mixture of elephant grass and wheat pollard (65:35 w/w). Independent of the feeding regime and the level of inclusion, the addition of SE decreased protozoal counts and rumen ammonia concentrations (p<0.01). Microbial N supply and N reten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high feeding regime. Daily feeding negatively influenced rumen xylanase and cellulase activity, but only when the high level of saponins was fed. However, these negative effects on rumen cell wall degradation were not reflected in decreasing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the organic matter or the plant cell walls. Our results show that rumen microorganisms do not rapidly adapt to S. rarak saponins.

Influence of preserved brewing yeast strains on fermentation behavior and flocculation capacity

  • Cheong, Chul;Wackerbauer, Karl;Beckmann, Martin;Kang, Soon-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4호
    • /
    • pp.260-265
    • /
    • 2007
  • Preservation methods on the physiological and brewing technical characters in bottom and top brewing yeast strains were investigated. The preserved yeasts were reactivated after 24 months storage and grown up to stationary phase. The samples of filter paper storage indicated a higher cell growth and viability during propagation than those of nitrogen and lyophilization storage independent on propagation temperature. In addition, the filter paper storage demonstrated a faster absorption of free amino nitrogen and a highest level of higher aliphatic alcohols production during propagation than other preservation methods, which can be attributed to intensive cell growth during propagation. Moreover, the filter paper storage showed a faster accumulation for glycogen and trehalose during propagation, whereas, in particular, lyophilization storage noted a longer adaptation time regarding synthesis of glycogen and trehalose with delayed cell growth. In beer analysis, the filter paper storage formed an increased higher aliphatic alcohols than control. In conclusion, the preservation of filter paper affected positively on yeast growth, viability and beer quality independent on propagation temperature. In addition, in this study, it was obtained that the HICF and Helm-test can be involved as rapi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flocculation capacity.

메주의 압출성형에서 성형온도에 따른 메주의 발효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Extruded Meju by the Molding Temperature)

  • 변명우;김동호;육홍선;김기연;신명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0-255
    • /
    • 2001
  • Effect of molding temperature on the quality changes of extruded meju was studied. Meju was molded at 8$0^{\circ}C$, 6$0^{\circ}C$ and 4$0^{\circ}C$, and then stored at $25^{\circ}C$ with 50% of relative humidity for 30 days. The texture of the cooked soybean grain showed that the firmness and cohesiveness were increased, and consistency was decreased by decrease of molding temperature. The density of the meju molded at 8$0^{\circ}C$, 6$0^{\circ}C$ and 4$0^{\circ}C$ were 1.072g/mL, 1.079g/mL and 1.203g/mL, respectively. The meju molded at 4$0^{\circ}C$ had significantly higher density than those molded at 8$0^{\circ}C$ or 6$0^{\circ}C$. Also, delay of water evaporation, acidification, and rapid growth of fungal mycellium were observed on the sample with molding temperature at 4$0^{\circ}C$ during fermentation. Activity of amylase and protease, contents of total reducing sugar and amino nitrogen of 4$0^{\circ}C$-molded meju were represented lower level than those of 6$0^{\circ}C$ or 8$0^{\circ}C$-molded sampl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molding temperatur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meju fermentation and molding temperature of 6$0^{\circ}C$ or over would be accept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