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k regression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36초

Sparse and low-rank feature selection for multi-label learning

  • Lim, Hyunk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레이블 분류를 위한 특징 선별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 많은 특징 선별 기법들은 상호정보척도 등을 이용하여 특징과 레이블 사이의 연관성을 계산하여 특징을 선별하였다. 하지만 상호정보척도는 결합 확률을 요구하기 때문에 실제 전제 특징 집합에서 결합 확률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소수의 특징만 계산이 가능하여 지역적 최적화만 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런 지역적 최적화 문제를 피해, 주어진 특징 전체 공간에서 저랭크 공간을 구성하고, 희소성을 가진 특징들을 선별할 수 있는 특징 선별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뉴클리어 노름을 이용해 회귀 기반의 목적함수를 설계하였고, 이 목적 함수의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한 경사하강법 방식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4가지의 데이터와 3가지 다중 레이블 분류 성능을 기준으로 다중 레이블 분류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론이 기존 특징 선별 기법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또한 제안하는 목적함수의 파라미터 값 변화에도 성능 변화가 둔감한 것을 실험적인 결과로 확인하였다.

영화의 개봉일 흥행성과가 영화의 최종 흥행에 미치는 영향: 개봉일 흥행순위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pening Day Box Office Performance on a Movie's Final Box Office: Focusing on a Movie's Box Office Rank on an Opening Day)

  • 최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21-229
    • /
    • 2020
  • 본 연구는 개봉일 흥행순위, 특히 개봉일 흥행 1위 여부에 초점을 두고 영화의 최종 흥행 예측 지표를 탐색하고자 한다. 한국 영화시장의 최근 5년간(2013~2017년) 개봉작 총 794편의 자료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개봉일 흥행 1위를 달성한 영화일수록 최종 흥행성과가 더 좋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화의 질(quality)이 개봉일 흥행 1위 영화의 흥행에 추가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개봉일 흥행 1위 여부 외에 개봉일 대비 일요일 상영횟수 증가 여부도 최종 관객 수에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봉일 흥행 1위 영화 158편에 대한 추가 분석 결과, 개봉 2주차 관객증가율의 최종 흥행 설명력이 높았다. 영화의 개봉일 흥행과 최종 흥행 간의 상관계수를 연도별로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가 일관된 증가 추세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영화 흥행에 대한 새로운 지표들을 발굴하고 해당 지표들의 최종 흥행에 대한 영향이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Genetic Trend for Growth in a Closed Indian Herd of Landrace × Desi Crossbreds

  • Gaur, G.K.;Ahlawat, S.P.S.;Chhabra, A.K.;Paul, Saty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363-367
    • /
    • 1998
  • This study has objectives of to estimate the genetic and phenotypic trend for growth in a closed herd of Landrace $\times$ desi crossbreds. The possibility of early selection of boars was also investigated in order to reduce generation interval and thus, to enhance response per year in selection programmes. The data originated from Livestock Production Research (Pigs), Indian Veterinary Research Institute (IVRI), Izatnagar (UP), India - a unit of All India Coordinated research Project on Pigs (AICRP on Pigs). Data consisted of 891 crossbred piglets, progeny of 29 boars. The piglets were born in 132 parities of 72 sows between 8 years from 1987 to 1994. Records on weight at birth, at 2 weeks interval upto 8 weeks of age (Wl, W2, ${\cdots}\;{\cdots}$ W8) and at 16th week (W16) were used in this investigation. BLLTP estimates of the sires were computed. Breeding value of each sire was estimated as twice of sire and sire group solutions. Phenotypic trend was estimated as regression of weight performance on year. Genetic trend was computed by estimating regression of breeding value of sires on time. Average body weights ranged from 0.92 kg (W1) to 18.95 kg (W16) and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over age. Heritabilities of the weight at 4th and 6th week were medium (0.29 and 0.14). Rest of the weights were highly heritable. The product moment and rank, both correlations were high between breeding value for W6 and W16 (0.68 and 0.70). This shows that sire selection for W6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order to achieve sufficient genetic improvement in growth. Phenotypic trend was positive at all ages. The phenotypic regression coefficient ranged from 0.02 kg at birth to 0.40 kg at 16 weeks. Genetic trend was also positive.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average breeding value of sires on time showed a range of 1.471 kg (0.021 to 1.492 kg) for different weights. These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and higher than their corresponding phenotypic regression coefficient.

보건간호사의 사기진작(士氣振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urses' Morale)

  • 권동연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5-2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ublic health nurses for their morale, test the effect of each factor on the morale, determin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morale, and thereby,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the development of personnel affair administration for nurses. The survey on the nurses for public health centers was conducted for 10 days from April 23 to May 2, 2001; 96 nurses from Pusan, 101 from Kyonggi-do and 108 from Kangwon-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e demographic variables, those aged between 31 and 39 accounted for the majority $(50.2\%)$ of the sample. $90.8\%$ was married, and $67.9\%$ of the sample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29.6\%$ of them had worked for 10-14 years and $62.5\%$ was of the seventh rank. $62.3\%$ of the nurses was recruited, and $59.4\%$ had chosen the public job for its guaranteed status. Half the nurses were working for the county population of which was more than 260 thousands, and $53\%$ of the nurses was serving the public health centers with 11-15 members. $47.3\%$ of them perceived that their living standard is middle or lower. 2. The degree of the moral was found as mean score. 2.65, which is interpreted as low. It has 11 factors. The rank of mean score of the factors is job satisfaction (3.36), sense of belonging (3.36), sense of recognition (3.30), stress due to supervision (3.13), degree of participation (3.05) and self-achievement (3.04), while those scoring lower points were assurance of status (2.58), pay level (2.53), working conditions (2.35) and promotion opportunity (2.31). 3. The degree of moral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uch variables as 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rank, employment method, motive for the job, size of the population served and living standards. 4.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orale factors, it was found that self-achievement accounted for $61\%$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degree of morale, followed by stable status $(18\%)$, working conditions $(8\%)$, job requirements $(4\%)$ and promotion opportunities $(2\%)$; these five factors explained about $94.6\%$ of total variance of the degree of nurses' morale. On the other hand. age $(8\%)$ and academic background $(2\%)$ accounted for $10\%$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degree of morale. 5.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job life was economic need $(26.7\%)$, personnel management $(17.5\%)$, sense of recognition $(13.2\%)$, human relationship $(11.0\%)$, stable status and personal development in rank.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ir possible resignation were children's bringing-up $(27.8\%)$, poor personnel management and promotion $(13.3\%)$, workload $(11.1\%)$ and little personal development $(8.9\%)$, Since such morale factors as promotion opportunity, working condition. pay level and stable status scored lower,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those factors to improve nurses' morale.

  • PDF

건설기능인등급제의 등급기준이 정책목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ating Criteria of Construction Skilled Workers' Rank System on Policy Purpose)

  • 김명수;김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5-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능인등급제의 안정적인 제도 정착에 있어 중요한 요인 등급기준이 적절하게 설정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등급기준이 동 제도의 정책 목표인 신규인력 유입, 직무능률 향상, 이직감소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능인등급제도입 이후 시행 예정된 전자카드제와 적정임금제의 도입을 각각의 시나리오 설정하여 정책목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등급기준의 적절성은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책목표에 대한 기여수준 역시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인등급제 등급기준의 적절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정책목표인 신규인력 유입, 직무능률향상, 이직감소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회귀분석에서 각 시나리오별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인 변수의 차이가 나타났다. 신규인력 유입에 있어서는 경력 및 포상기준의 적절성이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으며, 직무능력 향상의 경우, 네 가지 등급기준 적절성이 각 시나리오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직감소의 경우, 모든 시나리오에서 포상기준의 적절성이 정(+)의 영향관계를 보였다. 특히, 기능인등급제만 도입되는 시나리오보다 전자카드제 및 적정임금제가 함께 도입되는 시나리오에서 정책목표 달성에 대한 기여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제도가 함께 활용되는 것이 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평생교육업무에 대한 인식 연구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ians about Lifelong Education Tasks: Focus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김남지;조재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73
    • /
    • 2016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평생교육 단위직무를 파악하고 동시에 재교육이 필요한 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 순위를 맨휘트니(Mann Whitney U-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첫번째, 조사 대상 사서의 87%가 평생교육 직무는 보통이거나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단위 업무별로는 운영계획수립을 가장 어려운 직무로 생각하고 있었다. 두번째, 평생교육사 자격이 있는 사서가 없는 경우에 비해 업무를 수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P=0.04), 단위업무별로는 강사섭외(P=0.04), 운영계획수립(P=0.05)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또한 평생교육관련 경력이 길수록 업무를 수월하게 (R=-0.217)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정편성(R=-0.33), 진행업무(R=-0.22)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세번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이 평생교육업무 전반에 대하여 느끼는 체감 난이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단위 직무는 운영계획수립(P=0.04)과 홍보(P=0.05) 업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운영계획수립(${\beta}=0.233$)이 체감 난이도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91%의 사서가 평생교육 직무 관련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스피어만(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 결과(R=-0.210), 평생교육 업무에 대한 체감 난이도가 높은 사서일수록 재교육 필요성을 더욱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HP 분석 결과 평생교육 직무 관련 재교육 내용은 이용자와의 소통(CU P=0.310), 기획(PL P=0.246), 마케팅(LM P=0.173) 순의 가중치를 보였으며, 도출된 CR(Consistency Ratio) 비율은 0.146으로 계산돼, 응답에 대한 일관성은 허용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콩 수량안전성 분석방법간 비교 (Comparison of Performance and Stability Parameters for Soybean Yield)

  • 이석하;류용환;성열규;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04-608
    • /
    • 1997
  • 수원 작물시험장 등 전국 각도 9개 지역에서 1990 및 1991년에 걸쳐 수행된 콩 지방적응연락시험에서, 팔달콩 등 10개의 공시계통들의 평균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수량안정성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수량 안정성분석은 Francis와 Kannenberg의 coefficient of variability, Finlay와 Wilkinson의 regression coefficient, Eberhart와 Russell의 deviation parameter, Plaisted의 variance component, Wricke의 ecovalence등 5개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산성분 비교에 의하면, 수량에 대한 콩유전자와 지역간 상호작용 분산성분이 콩유전자 및 년차간 상호작용 분산성분보다 약 7배 높아서, 정확한 수량안정도 평가를 위해서는 여러 해 걸쳐서 콩계통을 평가하기보다는 더 많은 지역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였다. 2. 2년차 9개지역에서 수원 14005('92년 태광콩으로 장려품종 지정)가 평균수량이 높았으며, 5개 안정성 분석결과 수량안정도도 높았다. 3. 안정도계수 종류들 간의 rank correlation 분석결과, Eberhart와 Russell, Plaisted, 그리고 Wricke의 방법들 간의 고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Francis와 Finlay 방법은 다른 분석방법들과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경남 지방도로 절취사면의 안정성평가 (Risk Assessment of the Road Cut Slopes in Gyeoungnam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강태승;엄정기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393-404
    • /
    • 2007
  • 본 연구는 절리암반사면의 현장상태 및 위험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기초로 사면의 상대적 위험도를 판단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개별요인이 사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으며 사면붕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면의 붕괴요인으로는 기존에 제시된 인장균열, 지반변형, 구조물 변형, 붕괴발생규모, 절리주향, 절리경사, 절리상태, 사면경사, 강우 및 지하수위, 절취상태, 배수조건, 보호보강상태 등 12가지 항목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지역은 경상남도 지방도로에 위치한 절취사면 중 붕괴 이력이 있거나 다소 불안감을 보이는 위험 절개지 233개소이다. 조사지역의 사면안정성평가는 각각의 평가요인(붕괴요인)에 따른 사면의 결함지수와 사면위험등급에 의해 수행되었다. 조사된 총 233개소의 사면 중 토사사면을 제외한 암반사면 126개소를 선별하여, 각각의 붕괴요인들과 사면위험등급과의 통계적 연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고 적용성을 고찰하여 사면결함지수와 위험등급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체질별 성격요인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ity by Each Sasang Constitution on Sleep)

  • 김상혁;박기현;정경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7-137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ersonality by each Sasang constitution on sleep using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and NEO-personality inventory(NEO-PI).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78 people who had information on Sasang constitutional type and personality(PANAS, NEO-PI) among the data established at the Korean Medicine Data Center. Sleep time and sleep quality were investigated through self-written questionnaires. Sleep time was collected by hand-writing, and sleep quality was checked on a 4 point Likert scal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leep in each constitutional typ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persona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to find out how much personality affects sleep time. In order to find out how much personality affects sleep qualit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rsona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Conclusions Sleep time was hardly affected by personality. As a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leep time in all subjec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In logistic regression on sleep time as the dependent variab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except for the Negative Affect(NA) in Taeeumin. Sleep qua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affect(NA), neuroticism(N), extraversion(E), Physical Component Summary(PCS) and Mental Component Summary(MCS).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sleep qual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neuroticism(N), negative affect(NA), positive affect(PA), and extraversion(E) were found in the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Besides, how much personality affected sleep quality might differ in each constitution. In all constitutions, sleep quality was affected by N, but the rank of N was different in each constitution. The sleep quality of Soyangin was not affected by E, and the sleep quality of Taeeumin was specifically affected by O.

고혈압 질환의 지역간 입원의료이용 변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ll Area Variations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in Hypertensive Disease)

  • 권영채;이경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9-1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s to find the degree of variations and trends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for hypertensive disease, and have don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occurring some variations. For this, this study uses the data for patients-survey and health-survey of a regional society by Korea Institute for Heath and Social Affairs in 2008; The regional units are classified into 160 of medium size medical service areas. Methods. I understand the level of variation by using index of Extremal Quotient(EQ) and Coefficient Variation(CV), and analyz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some differences in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by using multi-regression model.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followed:The first, in case of rate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according to standarization of sex and age by small area, I find the variations of EQ 5.3 and CV 0.3; In Ho-nam, especially, the variation of high rank of 10 of age shows higher distribution. The second, the results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on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by multi regression model are that a number of bed hospitals i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and EQ-5D of health behavior is significant negative one. Conclusions. To increase equity of hospital services utilization for hypertensive disease, this study requests the appropriate supply management of bed hospitals by region,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and revitalization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