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9초

Phylogenic Relationships of Rubus Species Revealed by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s

  • Eu, Gee-Suck;Chung, Byung-Yeoup;Bandopadhyay, Rajib;Yoo, Nam-Hee;Choi, Dong-Geun;Yun, Song-Joong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9-44
    • /
    • 2008
  • Korean cultivated bramble, which is known as Bokbunja-ddal-gi is regarded to be originated from Korea native Rubus coreanus. However, little scientific evidence and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ivated bramble(KCB) and R. coreanus throw doubt on the ancestry of KCB.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phylogenetic information on KCB by comparing its nuclear genomic background with those of R. coreanus, black(R. occidentalis) and red(R. idaeus) raspberry, blackberry(R. lanciniatus) and R. crataegifolius. A total of 99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markers were generated and used for phylogenetic analysis of 76 Rubus accessions. Accessions of each species were grouped into each distinct subclade by the RAPD markers at a similarity coefficient of about 0.59. The KCB subclade formed a clade with R. occidentalis and R. crataegifolius subclades at a similarity coefficient of 0.47. The R. coreanus subclade formed a clade with R. idaeus, R. lanciniatus and R. crataegifolius subclades at a similar similarity coefficient. Only one KCB accession from Hoengsung was included in R. coreanus subclade. The accession shows leaf and flower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KCB accession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inferred from the RAPD markers suggests that the nuclear genomic background of KCB accessions which show morphological similarity to black raspberry is more closely related to black raspberry than to R. coreanus. This brings about the need for close scientific evaluations on the ancestry of KCB at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levels.

  • PDF

RAPD를 이용한 한국산 줄장지뱀(Reptilia: Squamata)의 종내 다양성에 관한 연구 (Intraspecific Diversity of Korean Takydromus wolteri(Reptilia: Squamata) Based on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장민호;송재영;정규회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295-299
    • /
    • 2004
  • 한반도 전지역에 줄장지뱀이 서식하고 있지만, 이 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한반도의 5지역(경기도, 충청북도,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의 한국산 줄장지뱀에 대해 RAPD method를 통한 종내 유전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28개의 primer를 사용하였고, 그 중 유의성이 있는 17개의 primer에 대한 결과를 Nei's(1972) genetic distance를 통해 유전적 거리와 UPGMA 방법을 통한 phenogram을 구하였다. 그 결과 총 68개의 밴드를 확인했고,이 중 87%인 59개의 polymorphism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한 phenogram에서는 GG1, GG2, CB1, CB2, JN이 Group 1을 이루었으며,JJ1, JJ2, GN이 Croup 2를 이루었다. 줄장지뱀의 경우 지리적 격리를 통한 집단간의 종내 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경상남도 지방의 유전적 독립성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다른 분류군인 어류나 양서류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집단에 대한 형태적, 생태적 그리고 다른 유전적 분석 등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분석에 의한 Acinetobacter Baumannii 균주의 유전형 분류 (Molecular Typing of Acinetobacter Baumannii Strains by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오재영;조재위;박종천;이제철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9-139
    • /
    • 2000
  • Acinetobacter baumannii strains are emerging pathogens of the nosocomial infection with an increasing frequency in recent years. The therapeutic difficulty due to the wide spread of multiple resistant strains was major problem in A. baumannii infection. It seems likely that high frequency of A. baumannii infection will be increasing epidemiological importance in the future. However, the current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epidemiology of A. baumannii infections is caused by lack of a rapid and practical method for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baumannii strain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molecular types and genetic similarity among A. baumannii strains isolated from four hospitals by RAPD analysis. Eighty-five strains, including 40 from Chunnam University Hospital, 27 from Dankook University Hospital, 15 from Yonsei University Hospital, and 3 from Seonam University Hospital, were classified into three molecular types. Molecular type II was the most common pattern and included 72 strains. All strains from Dankook University Hospital and 40 strains from Chunnam University Hospital belonged to molecular type I or II. A. baumannii strains form Yonsei University Hospital were very distant similarity values. The range of genetic similarity values among 85 strains of A. baumannii was 0.26 to 1.00. Although phenotypes including biotype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of A. baumannii strains were same or very similar to each other, their RAPD patterns were quite different. Typing with phenotypes was found to be less reliable than molecular typing by RAPD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PD analysis provides rapid and simple typing method of A. baumannii strains for epidemiological studies. This work is the first epidemiological report of A. baumannii infections in Korea and it is hoped that results of this work may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linical importance and epidemiology of A. baumannii strains.

  • PDF

RAPD, ISSR과 PCR-RFLP를 이용한 한국산 제비꽃속(Viola)의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Korean Viola based on RAPD, ISSR and PCR-RFLP analyses)

  • 유기억;이우철;권오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61
    • /
    • 2004
  • 한국산 제비꽃속 32분류군과 일본산 2집단 등 총 34집단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및 PCR-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실시하였다. RAPD 분석에서는 40개의 primer 중 6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70개(98.6%)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ISSR 분석에서는 4개의 primer로 부터 28개(96.6%)의 다형화밴드를 얻었다. 엽록체 DNA의 non-coding부분을 이용한 PCR-RFLP 분석에서는 반응이 일어난 4지역에서 증폭된 약 6.78 kb의 DNA 각각에 대하여 15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총 80개의 restriction site를 얻었으며 그중 16 site는 polymorphic하게 나타나 20%의 다형화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3가지 형질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각각의 형질에 의해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유집형태를 보였지만 3가지 형질을 통합한 결과는 진정제비꽃절(sect. Nomimium)내 아절과 계열간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무경종과 유경종도 구별이 가능하여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기존의 분류체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노랑제비꽃절(sect. Chamaemelanium)은 진정제비꽃절과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지 않고 진정제비꽃절 내 무경종그룹인 Patellares아절과 Vaginatae아절 사이에 위치하여 나타났다. 형태적인 변이가 매우 심한 분류군으로 알려진 태백제비꽃군(V. albida complex)은 Patellares아절 내에서 하나의 군으로 유집되어 Pinnatae계열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가지 형질 중 RAPD 분석방법은 ISSR과 PCR-RFLP 분석보다 제비꽃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분자표지자에 의한 지황 유전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Rehmannia glutinosa Genotypes Assessed by Molecular Markers)

  • 방경환;정종욱;김영창;이제완;김홍식;김동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440
    • /
    • 2008
  • RAPD 분석을 이용하여 지황 육성 계통과 지역 수집종 들을 구분할 수 있는 분자표지자를 선발하고, 집단 간, 집단 내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20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 한결과, 육성 계통과 수집종 들을 구별할 수 있는 OPA-1 등 10개의 재현성과 다형성이 좋은 프라이머 들을 선발하였다. 특히 OPA-10, OPA-11 및 OPA-19는 고려지황과 지황1호를 다른 계통 및 수집종 들과 구별할 수 있었으며,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0.9 kb, 1.2 kb, 1.3 kb 및 1.4 kb등의 육성계통 특이적인 DNA 밴드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의 결과를 토대로 통계처리에 의한 유전분석 결과, 고려지황, 지황1호 및 일본지황은 집단 내 유사도가 높아 다른 집단들과 구별되었다. 결론적으로, RAPD 분석을 통한 결과는 지황의 유전적 다양성 이해와 특정 계통을 다른 계통 및 수집종 들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꽃도라지(Eustoma grandiflorum Shinn.) 조직배양시 발생한 변이체의 RAPD 분석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of the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Shinn.) Variants Obtained during Tissue Culture)

  • 정창호;유기원;백기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3호
    • /
    • pp.352-354
    • /
    • 1999
  • 꽃도라지(Eustoma grandiflorum) 조직배양시 발생한 5개의 변이체와 모본을 이용하여 PCR 반응으로 나타난 RAPDs 밴드 형태로 유전적인 변이 유무를 확인하려고 하였다. 6개의 분류군은 엽수, 옆모양, 줄기직경, 초장 그리고 옆면적과 같은 형태적인 특징이 달랐다. 실험한 20개의 임의 primers 중에서 모본과 변이체에서 모두 밴드를 나타낸 5개 PCR 반응에서 증폭밴드는 총 34개였으며 64.7%의 다형성을 나타냈다. 밴드의 유무를 코드화하여 NTSYS-PC (ver. 1.5)분석으로 나타난 변이체들의 유전적인 거리값의 차이가 변이체인 5개체와 정상 식물체간 비유사성 계수는 0.72에서 0.91로 밀접한 유사성을 나타냈으며 거리값이 0.79에서 두 그룹으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변이체의 형태적인 차이와 거의 일치되는 유전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 PDF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Panax Species by RAPD Analysis

  • Shim, Young-Hun;Choi, Jung-Ho;Park, Chan-Dong;Lim, Chul-Joo;Cho, Jung-Hee;Kim, Hong-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8호
    • /
    • pp.601-605
    • /
    • 2003
  • Traditional taxonomic method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ginsengs rely primarily on morphological observations or physiochemical methods, which cannot be used efficiently when only powdered forms or shredded material is available.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used to determine the unique DNA profiles that are characteristic not only of the genus Panax but also of various Panax subgroups collected from five different countries. RAPD results of OP-5A primer showed a specific single band that is characteristic of all ginseng samples. RAPD results of OP-13B primer demonstrated that OP-13B primer could be used as a unique RAPD marker to differentiate Panax species. These results support that this approach could be applied to distinguish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from others at the molecular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