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lroad fire accide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6초

철도화재사고 비상대응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mergency Response with a Railroad Fire Accident)

  • 노삼규;박상규;함은구;김시곤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11-1517
    • /
    • 2008
  • In January, 2005, "railroad security law" was presented, preparing the systematic equipment that allows several railroad operators to consider the railroad security issue, and each of railroad operative institutions accepted such situation that construct the integral railroad security system, resulting in constructing the emergent system coping with the railroad fire accident through the relevant study business to improve the railroad security efficiency against fi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studying direction on developing the emergent educational program coping with the railroad fire accident, which is distributed to the spot, about the railroad worker for improving the railroad security efficiency against fire through the education of systematic and efficient emergent countermeasure procedure of emergent system against the railroad fire accident.

  • PDF

고속철도 화재사고 비상대응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mergency Response against Fire Accidents in KTX)

  • 김시곤;박민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1-49
    • /
    • 2009
  • In January, 2005, the "Railroad Safety Act" was presented, preparing the systematic equipment that allows several railroad operators to consider the railroad safety issue, and each of the railroad operative institutions accepted such situatio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emergent system of coping, resulting in the construction of the emergent system of coping with the railroad fire accident through the relevant study to improve the railroad security efficiency against fire.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on developing the emergent educational program for coping with the KTX fire accident, which is distributed to the spot, to the railroad emergency staff for improving the railroad security efficiency against fire through the education of systematic and efficient emergent countermeasure procedures against fire accidents the fire accident in KTX.

철도 비상사고 비상대응 훈련 프로르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Emergency Response against Railroad Emergency Accidents)

  • 박민규;김시곤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3-40
    • /
    • 2009
  • The Railroad Safety Act was implemented in 2005 due to the increased concerns regarding railroad safety since the Daegu subway fire in 2003. In line with this, the Act became a standard to build the total railroad safety systems which has been overlooked compared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railroad business. The minister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lays down the Act for railroad Companies to conduct emergency programs in response to the emergency occurring on the railroad such as fire, explosion, derailment, etc. By enacting the Safety Act, the nation's construction of the contingency management system for railroad emergency increased", and it made the railroad company prepare the Emergency SOP by establishing 'The guidelin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ailroad Emergency Plan' in order to support the efficiency of the Act. In line with this, I would like to analyze a matter of system development and the main function of the "railroad Emergency Training Program" for activation improvement of standardized operation procedure developed through the 'Total capitalize Safety Technology development'.

철도시스템의 확률론적 위험평가 모델 개발 연구 - 터널화재 위험도 평가에의 적용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Risk Analysis Model on Railroad System - Its Application to Tunnel Fire Risk Analysis)

  • 곽상록;왕종배;홍선호;김상암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265-270
    • /
    • 2003
  • Though the probability of tunnel fire accident is very low, but critical fatalities are expected when it occurr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ritical safety parameters on tunnel fire accident are examined using probabilistic technique. Fire detection time, smoke spread velocity, passenger escape velocity, flash-over time, and emergency service arrival time are considered. In order to estimate the uncertainties of input parameters Monte Carlo simulation are used, and fatalities for each assumed accident scenarios are obtained as results. For the efficiency of iterative calculation PRA(Probabilistic Risk Analysis) code is developed in this study. As a result fire detection have large effect.

  • PDF

장대터널용 소방차량의 운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peration of fire fighting vehicle for a long railway tunnel)

  • 권태순;박원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16-5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장대터널의 철도차량 화재사고 진압을 위한 소방차량 운용 시 고려사항을 분석 및 검토하였다. 최근들어 터널연장 10 km 이상의 긴 장대터널 시공사례가 늘고 있으며 경부선의 금정터널(연장 20.3 km)을 시작으로 영동선의 솔안터널(연장 16.7 km) 및 2016년 하반기 개통 예정인 수서고속선의 율현터널(연장 50.3 km)까지 점점 터널의 길이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터널 내에서 철도차량 내 대형화재사고 발생으로 긴급정차 시에 승객의 피난시간이 길어지는데 반해 소방인력의 접근은 더욱 어려워져서 큰 인명피해의 발생이 우려된다. 이에 해외 선진국에서는 철도선로 주행이 가능한 특수소방차량을 개발 및 도입하여 운용 중에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존 도로전용 소방차량이 아닌 철도터널 내에서 운행이 가능한 특수소방차량 도입을 통한 대응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상기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철도터널의 주요 환경과 철도차량 내 화재발생에 따른 터널 내 열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개발 중인 장대터널용 소방차량의 주요 사양과 연계하여 국내 장대철도터널에서 소방차량 운용 시 주요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도시 재난 관리를 위한 u-철도 방재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 u-railroad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 함은구;노삼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2-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든 발생 가능한 철도 사고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비상대응절차를 정의하여 철도사고 별 비상대응 절차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하여 u-철도 방재시스템을 제안하였다. u-철도 방재 시스템은 u-예방 시스템, u-대비시스템, u-대응 시스템, u-복구 시스템 4개의 단위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별로 분리되어 있다. 수집된 정보는 각 시스템별로 분석되고 각종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며, 연계된 타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특히 u-철도 방재 시스템은 오감인지기능을 바탕으로 한 센서 네트워크와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비상사고 발생 시 적절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2차원, 3차원 공간 정보 인터페이스에 유비쿼너스 센서 네트워크와 예상 시나리오를 함께 연동시키므로 서 종합적 의사 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다.

고속철도 터널의 정량적 위험도 분석(QRA)을 위한 세부기준에 관한 고찰 (Review on the detailed standards for Quantitative Risk Analysis in High Speed Railway Tunnels)

  • 최원일;최정환;문연오;김선홍;유호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6호
    • /
    • pp.393-407
    • /
    • 2008
  • 철도터널에서의 화재 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철도시설에 대한 안전기준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에서는 "철도시설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2005년 10월 27일)"과 "철도시설 안전세부기준(2006년 9월 22일)"을 고시하여 일반철도와 고속철도 터널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재관련 법규는 터널 방재설비의 과다 및 과소 설계를 방지하기 위하여 5가지 주요시설물(방연문, 배연설비, 대피통로 접속부, 대피통로 간격, 연결송수관 설비)에 대하여 안전성 분석결과에 따라 설치하도록 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방패시설물의 합리적인 설치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안전성 분석방법은 기존 사고사례 및 자료를 토대로 화재강도, 가능한 시나리오, 사건발생 가능성, 사고영향, 사고발생확률 등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방법에 따라 안전성 분석 결과의 차이가 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속철도 터널 안전성 분석에 대하여 단계별로 세부적인 수행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합리적인 범위 및 기준을 개발하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철도차량 접촉사고자 보호 에어백 개발연구 (Development and Feasible Study of Train to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 유완동;함정식;조규상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82-91
    • /
    • 2012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and feasible study of the train to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The concept of the airbag system is to protect the pedestrian like as workers on railroad. The airbag system includes cushions, gas generators, a housing, sliding fixture, anti-bouncing airbag, and a leg protection bumper. Those things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The performance of the airbag system was evaluated in the sense of the static deployment test, drop test, dynamic motion test and field(train level) test. The deployment logic, TTF(Time to fi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cushion were also investigated for the airbag.

경전철 차량 안전기준 적용을 위한 개정 연구 (Amendment Research of Safety Standard of Urban Railroad Vehicle for LRT)

  • 홍재성;이안호;조봉관;조홍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1-445
    • /
    • 2008
  • 경전철은 중전철에 비하여 건설비가 50% 정도 소요되며 친환경적이어서 최근 국내의 많은 지자체에서 여러 가지 형식의 경전철을 계획하고 있으며 일부 건설이 진행중인 곳도 있다. "도시철도법제22조의 2(도시철도차량의안전기준)"에서는 "구조 및 장치가 안전운행에 필요한 기준(구조 및 장치)에 적합하지 아니하면 운행하지 못한다." 도시철도차량안전기준에관한규칙 제3조에는 도시철도의 건설자 또는 운영자가 안전기준에 맞게 차량을 발주하거나 운영하도록 되어있다. 도시철도차량안전기준에관한규칙은 2000년에 제정되어 대구지하철사고이후 화재안전기준등이 강화되어 2004년에 한번 개정이 되었다. 이는 전적으로 중 대형 전동차를 위주로 작성되었다. 완전무인운전을 기본으로 하여 신호장치 등에 대한 안전기준이 다르고 연절형 대차등을 적용 및 축중등에 대한 안전기준 내용등이 달라 국내 경전철과 관련된 많은 기관 등에서 전반적인 개정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 경전철 차량의 특징 및 개정의 필요성등을 다루어 향후 경전철 관련 안전기준의 개정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전동차 안전을 위한 제동장치의 기술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Regulation of Brake System for Electrical Multiple Unit Safety)

  • 이우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332-1334
    • /
    • 2003
  • Safety of breaking facility is very important in subway safety, especially in case of subway that many people used, breaking capability is connected directly with safety and capability of vehicle. Recently, direction of subway technical development is established as passenger's convenience and agreeableness. However, we are known importance of safety in subway through Dae-gu subway incendiary case. Subway accident not happen only fire, vehicle collisions or passenger's fall to the track can happen. In this case, safety standard of breaking facilities is very important. so this paper define safety of breaking facilities and take proper that stand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