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l bridge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9초

상시 계측결과를 이용한 고속철도 교량의 유지관리 기준치 설정 (Establishment of Maintance Methods for Express railway Bridges using High Rail Monitoring Systems)

  • 서형렬;한상철;지기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2-327
    • /
    • 2006
  • Banwol bridge with steel plate girder and Pyongtaek bridge with PSC bos girder have been operated maintenance measuring system by the Seoul-Chonan of Kyongbu express railway.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ues of design load for these two bridge, the establishment of reference maintenance for measuring items was deduced from research. Two materials, steel and concrete plates, were considered as the upper structure. Actual measurement data for the behavior under speed, structural analysis results, and the presented references were analyzed and used to set up the reference establishment. The measuring items are stress(strain), displacement, dynamic acceleration, expansion movement, and dynamic frequency. The maintenance reference was established by comparing analytical and measuring values of the five items with respect to structural state class.

  • PDF

중약진 지역에서의 고속철도 연속교량 장대레일의 응력 해석 (Rail-Stress Analysis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using Long Rails in Low and Moderate Seismic Areas)

  • Koh, Hyun-Moo;Kim, Yong-Gil;Choo, F. Jinkyo;Kwon, Ki-Jun;Kang, Junwon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52-359
    • /
    • 2003
  • 철도나 고속철도 교량에 사용되는 장대레일은 차량에 의한 동적충격의 완화, 주행시 승차감의 향상과 같은 장점을 가져온 반면에, 인접한 교량의 연결부에서 레일과 교량 상부구조간의 거동 불일치로 인해 레일에 부가적인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부가적인 레일응력과 지반운동의 특성에 따른 구조적 응답의 민감도 및 열차의 안전한 정지를 고려하여, 지진 발생시 고속철도교량의 장대레일 응력을 해석하기 위해 레일의 재료비선형성, 지반운동의 위상차 등을 고려한 비선형 시간이력해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여러 지반조건을 고려하고 고속철도의 대표적인 연속교량 모델에 적용하여 제시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HOLISTIC DECISION SUPPORT FOR BRIDGE REMEDIATION

  • Maria Rashidi;Brett Lemas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52-57
    • /
    • 2011
  • Bridges are essential and valuable elements in road and rail transportation networks. Bridge remediation is a top priority for asset managers, but identifying the nature of true defect deterioration and associated remediation treatments remains a complex task. Nowadays Decision Support Systems (DSS) are used extensively to assist in decision-making across a wide spectrum of unstructured decision environments. In this paper a requirements-driven framework is used to develop a risk based decision support model which has the ability to quantify the bridge condition and find the best remediation treatments using Multi Attribute Utility Theory (MAUT), with the aim of maintaining a bridge within acceptable limits of safety, serviceability and sustainability.

  • PDF

Heuristic Decision Method를 이용하여 구조물-궤도 종방향 상호작용 및 구조물-차량 상호작용을 고려한 고속철도 교량의 신뢰성 최적설계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eliability-Based Optimum Design of High-Speed Railway Bridges Considering Structure-Rail Longitudinal Interaction and Structure-Vehicle Interaction Using Heuristic Decision Method)

  • 임영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1-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교량 구조물-궤도 종방향 상호작용, 교량 구조물-차량 상호작용을 고려한 신뢰성 최적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알고리즘의 개발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구조해석 프로그램은 ABAQUS를 사용하였으며, 최적화 방법은 Automated Design Synthesis(ADS)에서 신뢰성면에서 우수한 ALM-BFGS방법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ALM-BFGS방법은 최적해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어 1방향 탐색을 하지 않으며 Push-Off Factor 값이 보통 0.1~0.2에서 대부분 수렴하나 본 연구에서는 'Heuristic Decision Method' 의하여 결정된 Push-Off Factor 값이 90일 때 1방향 탐색인 Golden Section Method의 적용이 필요하였으며, 알고리즘이 잘 수렴함을 확인하였다. 구조물-궤도 종방향 상호작용, 구조물-차량의 상호작용에 의한 응답을 제약조건으로 설정하여 단면 설계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물-궤도 종방향 상호작용 및 구조물-차량 상호작용을 고려한 설계기법에 대한 효율성 및 경제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5${\times}$(1@50m) 2주형 강합성 거더교에 대한 최적설계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설계기법이 기존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방법보다 경제적이며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철도교용 프리케스트 바닥판의 온도변화를 고려한 적정한 종방향 프리스트레스 수준의 산정 (Evaluation of Proper Level of the Longitudinal Prestress for the Precast Deck of Railway Bridges Considering the Temperature Change)

  • 전세진;김영진;김성운;김철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D호
    • /
    • pp.499-509
    • /
    • 2006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은 일반적인 현장타설 바닥판과 비교할 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도로교의 노후 바닥판 교체 공사 및 신설 도로교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철도교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활하중, 장대레일 종하중, 시제동하중, 온도변화, 건조수축 등 도로교와 철도교의 하중 특성의 차이를 적절히 반영한 설계가 요구되며, 특히 횡방향 이음부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해 바닥판 내부에 배치한 종방향 텐던의 적정한 프리스트레스 수준을 평가하는 연구가 요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교에 빈번히 적용되는 PSC 합성거더 철도교에 대하여 정밀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주요 설계하중이 유발하는 바닥판의 종방향 응력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종방향 인장응력을 유발하는 지배적인 요인은 활하중보다는 바닥판의 온도 저하나 시동하중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온도의 영향은 설계기준상의 제안식 또는 이론식과도 비교해 가며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종방향 인장응력을 상쇄하여 올바른 구조거동을 유도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의 범위를 고찰한 결과, 대상 철도교에 대해 2.4 MPa 이상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것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로교의 경우와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공용중인 경전철 직결 궤도 콘크리트 도상블록의 보강 방안 연구 (A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of Concrete Block for Direct Fixation Tracks on Serviced Light Rail Transit)

  • 최정열;강유송;안대희;한재민;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633-640
    • /
    • 2023
  • 본 연구는 운행선 경전철 직결식 궤도 부설구간에서 발생한 도상블록의 변위거동 특성을 분석하여 적정 보강 방안을 도출하고자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선로는 교량상 급곡선 직결식 콘크리트 궤도로서 교량바닥판에 부설된 도상블록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D Solid요소를 이용한 궤도구조 모델링을 바탕으로 운행하중 조건에서 발생가능한 직결식 궤도의 거동을 분석하고 다양한 보강방안에 대한 보강효과를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도상블럭의 보강 전, 후 횡변위 분석결과, 극한 횡압 작용 시 보강 후 최대 횡변위는 보강 전 대비 약 3% 수준(약 0.1mm)으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채움 모르타르, 교량 바닥판, 보강철근의 발생응력 검토결과, 모두 2.6 이상의 충분한 안전율을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보강방안에 대한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검토한 앵커링 보강 수량 및 대칭형 앵커배치는 도상블록 횡방향 변위 발생 제어 및 교량, 도상블록의 구조적 건전성 확보에 효과적일것으로 판단된다.

PSC 박스거더 교량의 상호작용에 의한 KTX 동력차의 윤하중 분포 해석 (A Dynamic Analysis of Wheel Forces distribution of KTX locomotive for Interaction of PSC box Girder Bridge)

  • 오순택;이동준;심영우;윤준관;김한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0-689
    • /
    • 2011
  • A dynamic analysis procedure is develop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estimation of the dynamic response spectrum for locomotive's wheels running over a Pre-Stressed Concrete (PSC) box girder bridge on the Korea high speed railway. The wheel force spectrum with the bridge behavior are analyzed as the dynamic procedure for various running speeds (50~450km/h). The high-speed railway locomotive (KTX) is used as 38-degree of freedom system. Three displacements(vertical, lateral, and longitudinal) and three rotational components (pitching, rolling, and yawing). For one car-body and two bogies as well as five movements except pitching rotation components for four wheel axes forces are considered in the 38-degree of freedom model. Three dimensional frame element is used to model of the PSC box girder bridges, simply supported span length of 40m. The irregulation of rail-way is derived using the exponential spectrum density function under assumption of twelve level tracks conditions based on the normal probability procedure. The dynamic responses of bridge passing through the railway locomotive with high-speed analyzed by Newmark-${\beta}$ method and Runge-Kutta method are compared and contrasted considering the developed models of bridge, track and locomotive comprehensively. The dynamic analyses of wheel forces by Runge-Kutta method which are able to analyze the forces with high frequency running on the bridge and ground rail-way are conducted. Additionally, wheel forces spectrum and three rotational components of vehicle body for three typical running speeds is also presented.

  • PDF

설계차량하중 변화에 따른 교량상 장대레일 궤도의 부가축응력 (Additional Axial Stress of CWR Track on the Bridg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Design Vehicle Load)

  • 윤경민;전병흔;최신형;임남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07-813
    • /
    • 2015
  • 교량상의 장대레일은 궤도-교량상호작용에 의해 토노반상의 장대레일에 비해 복잡한 거동을 보인다. 궤도-교량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도변화와 차량하중이다. 국내 철도설계지침 KR C-08080에서는 해석 시 사용하는 물성치, 모델링 방법, 하중 및 하중 조합 방법 등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2014년에 KR C-08080에서 제시된 차량하중이 변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경된 차량하중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22개 교량에 대한 궤도-교량 상호작용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고속철도교량 하부구조 강성도에 관한 현장실험 (Field Test on the Rigidities of Substructures of High Speed Railway Bridges)

  • 진원종;최은석;곽종원;강재윤;조정래;김병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18-124
    • /
    • 2006
  • SThe rigidities of bridge substructures are the important data in the rail-bridge interaction analysis in Korean High -Speed Railway. This experimental study is being performed because of followings. 1) More correct longitudinal stiffness of the structure including sub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stresses in rails. 2) There are many uncertaintie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piers and foundations. 3) Actual guideline for the rigidities of piers and foundations in the design is necessary. 4) Measurement on the rigidity of pier according to the types of piers, foundations and soil-conditions is needed. Curve for estimating the total rigidity of substructure will be obtained through this and further experimental studies. It may be used in the analysis of Korean High-Speed Railway bridge and then, longitudinal stresses in the rails can be estimated more accurately. One pair of piers, which consist of pot-bearing for fixed support and pad-bearing for movable support, are loaded by steel frame devices with steel wire ropes and hydraulic jack. The responses which are measured at each loading stages in those field tests are displacements and tilted angles on the top and bottom of piers. This study is being performed testing and analysis about several piers in the construction field.

사용중 PSC-I 거더 철도 교량의 휨모멘트에 대한 신뢰도 분석 (Flexural Reliability Assessment of PSC-I Girder Rail Bridge Under Operation)

  • 김기현;여인호;심형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87-194
    • /
    • 2016
  • 철도교량의 신뢰도 기반 한계상태설계법 도입 시 목표신뢰도지수 산정을 위하여 기존 철도교량의 신뢰도지수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복선 철도교량 중 하나인 6주형 PSC-I형 거더교량에 대해 신뢰도지수를 산정하였다. 최외측 거더의 휨모멘트에 대한 신뢰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휨저항강도 및 고정하중효과는 도로교 한계상태설계법 도입 시 적용된 선행연구자들의 평균과 변동계수를 활용하였고, 열차의 활하중 효과는 여객/화물 혼용선 중 중량화차 통행이 빈번한 중앙선에서 현장계측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한계상태방정식에 대하여 개선된 일계이차 모멘트법(AFOSM)으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하중효과와 저항효과의 각 요소가 신뢰도지수에 미치는 민감도를 분석하여 중요도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