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leaf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8초

제약폐기 은행잎중에 함유된 식물생육억제물질 분리동정 (Isolation and Chemical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llelopathic Substances from the Ginkgo(Ginkgo biloba L.) Leaf Waste Produced by Phamaceutical Process)

  • 성기석;김복진;권오경;최두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7-383
    • /
    • 1997
  • 제약폐기은행잎의 유기물자원화 및 식물생장억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은행잎 제약폐기물중에 함유된 식물생육 억제물질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물질을 처리하여 무와 벼의 발아 및 초기생육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기은행잎 조추출물 10% 용액은 무 종자 발아율을 저하시키고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1% 농도에서는 뿌리 길이가 약간 짧아졌고, 0.1% 농도는 무처리와 비슷하였다. 벼 발아율은 조추출물 10% 농도에서 31%이상 억제되었다. 2) 지베렐린 $A_3(3.3{\times}10^{-6}M)$와 조추출액(10%)을 벼 유묘와 함께 처리하면 지베렐린 $A_3(3.3{\times}10^{-6}M)$ 단독처리보다 제2엽초장이 짧았다. 3) 조추출액의 산도를 달리한 3종의 액액분리물은 (EtOAc $(pH9)A_1$, EtOAc $(pH3)A_2$, BuOH $A_3$) 모두 1% 농도에서 무 종자의 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4) 조추출액을 액액분리, column chromatography, HPLC에 의한 분리정제를 통하여 활성성분을 분리하고, GC/MS, NMR 분석 결과 phenol류인 catechol로 판명되었으며, 폐기은행잎 29kg으로부터 분리한 catechol량은 0.76g이었다.

  • PDF

김치생산용 알타리무 전처리 가공시스템 개발(I) - 무청·뿌리끝부 절단장치 - (Development of the Altari Radish Pre-Processing System for Kimch Production (I) - Leaf and root tail cutting equipment -)

  • 민영봉;김성태;강동현;정태상;나우정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5호
    • /
    • pp.451-456
    • /
    • 2004
  • To establish a Altari radish pre-processing system far kimchi, the leaves and root tail of the Altari radish cutting de-vices were developed. The cutting resistances depend on the edge angles, oblique angles and cutting speeds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reveal the optimal conditions that showed the minimum cutting resistances acting on the materials. As the results, the optimum conditions that acting on the leaves were at edge angle $25^{\circ}$, oblique angle $40^{\circ}$ and cutting speed 0.5 m/s, and those acting on the root tails were at edge angle $20^{\circ}$, oblique angle $30^{\circ}$ and cutting speed 0.5 m/s, respectively. Considered a safety conception, the oblique angle of the leaves cutting device was adjusted as $20^{\circ}$, and then the cutting efficiencies of the both devices at these conditions were showed perfect performances.

엽채류 간이 터널 재배 시 피복자재별 미기상 환경 및 생육 (Effects of Row Cover Materials on the Micro Environment and the Growth of Leafy Vegetables)

  • 이재욱;이안희;성기철;엄영철;박동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6-331
    • /
    • 2009
  • '뚝섬적축면상추', '잔치열무', '다조은엇갈이배추'에 대한 본포 재배기간 동안 터널 막덮기재배에 있어서 막덮기 자재 종류간에 터널 내 기상, 생육 및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복자재별 투광률은 무피복(100%)에 비해 네트류가 90% 정도를 보였으며, 부직포는 83~89%로 다소 낮았다. 평균기온과 지온은 무피복에 비해 네트와 한랭사 피복에서 $0.3{\sim}1^{\circ}C$, 부직포는 $0.5{\sim}3^{\circ}C$ 상승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열무, 엇갈이배추, 상추 모두 무피복에 비해 부직포 막덮기에서 생육이 촉진되었는데, 상추는 81%, 열무는 58%, 엇갈이배추는 93% 정도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특히 부직포 피복에 의해 해충의 피해가 크게 경감되었다.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이 몇가지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Extracts from Allium spp. on Growth of Several Crop Seedling)

  • 최상태;안형근;장영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26-534
    • /
    • 1996
  • 파속 작물인 대파, 양파, 부추 및 마늘의 조추출물이 각종 작물의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은 국화와 상추의 유묘생육을 저농도부터 억제하기 시작하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상추는 하배축에 비해 근의 신장억제 효과가 컸다. 2. 벼의 유묘생육은 국화과 작물과는 달리 대파와 부추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대파, 마늘, 및 부추의 경엽추출물에서는 500에서 1,000ppm까지 근의 신장을 현저히 촉진시켰다 그러나 지상부의 생육은 저농도에서 촉진되었다. 3. 마늘과 양파의 경엽추출물은 2,000혹은 3,000ppm의 고농도까지 각각 배추의 근 및 하배축을, 모든 파속 식물의 근추출물은 300에서 700ppm까지 근의 신장을 각각 촉진시켰으나 하배축 신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무의 유묘생육은 양파, 마늘 및 부추추출물에서 저농도에서는 촉진효과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부추의 근추출물은 고농도에서도 근의 신장이 촉진되었다. 대파 추출물은 뚜렷한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5. 고추의 유묘생육은 양파와 마늘의 경엽추출물에서만 5,000ppm의 고농도까지 하배축의 신장촉진효과가 나타났을 뿐 타처리구에서는 뚜렷한 촉진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오이의 유묘생육은 모든 파속 식물의 추출물에서 주근, 측근 및 하배축의 신장이 현저히 촉진되었으며 특히 양파와 마늘추출물에서 측근의 신장촉진이 두드러졌다. 7. 참외의 유묘생육은 오이와는 달리 저농도에서 약간의 촉진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김치생산용 알타리무 전처리가공시스템 개발 (IV) - 시작기의 자동화와 평가 - (Development of the Altari Radish Pre-Processing System for Kimchi Production (IV) - Autom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totype Machine -)

  • 민영봉;김성태;정태상;강동현;문성원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1권2호
    • /
    • pp.121-127
    • /
    • 2006
  • An Altari radish pre-processing system, which feasible to process automatically such operations as leaf and root tail cutting and root peeling, for kimchi production was accomplished based on the foregone serial studies.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s of the developed prototype machine, considered as a commercializing level, were analyzed and evaluated. The prototype machine attached Tiny PLC automatic control system was performed the sequent function as the rate of successful peeling was more than 98% for the Altari radish less than 70 mm diameter of a radish.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is was 9 see/each, 128 kg/h, and it means as much as $5{\sim}6$ times that of a woman labor's. The sanitation and taste of the mechanized-processed Altari radish kimchi was almost same as that of the handmade. And they were suitable for manufactory of kimchi as the both short term ripening and storing kimchi. Developed machinery with one peeling device and two peeling devices that compared with hand processing, it was analyzed that the break-even yearly working days were 28 days and 19 days, and the break-even yearly processing amount were 28,700 kg, 32,400 kg, respectively.

인공산성(人工酸性)비 후(後) 일반(一般)비 처리량(處理量)에 따른 작물생육(作物生育)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 (Crop Performanc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ffected by Amounts of Normal Water after Simulated Acid Rain)

  • 김복진;박선도;이석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41-347
    • /
    • 1996
  • 인공산성비 다음에 처리된 일반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공산성비(pH 2.7)를 5mm, 10mm를 살포한 후 일반비를 각각 0, 5, 10mm 씩 살포하는 처리를 3일 간격으로 배추와 무는 20회, 콩은 42회 실시하여 작물의 가시적 피해증상,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과 관련된 특성, 식물체 및 토양의 무기 양분 함량 등을 분석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무, 콩의 가시적 피해정도는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심한 편이었고, 일반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감소되었다. 피해증상은 잎이 담갈색, 연록색으로 변하고, 황백색의 괴사 반점이 생기면서 잎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엽록소 함량은 배추, 무, 콩 모두 인공산성비 5mm보다 10mm 처리에서 높았고, 인공산성비 처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3. 배추, 무, 콩 등의 수량은 인공산성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또 인공산성비 살포 후 일반비 처리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4. 식물체중 무기양분 함량은 일반비 처리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무와 콩의 황 함량은 인공산성비의 처리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5.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배추, 무, 콩 모두 토양 pH는 다소 감소하였고, 질소와 황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유기물, 인산, 치환성 칼슘, 마그네슘 및 칼리 함량 등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Vitamin U in Medicinal Food Plants

  • Kim Gun-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년도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224-231
    • /
    • 2004
  • Vitamin U levels in 26 kinds of food plants are well known to healthy vegetables in Asian or Western countries were determined. Spinach showed the highest level of 452.04 mg/kg and in order Pack-choi (343.18 mg/kg) > Kale (234.18 mg/kg) > Somssukbujaengi (197.66 mg/kg) > leaf mustard (196.21 mg/kg) > aralia bud (192.50 mg/kg)> broccoli (189.03 mg/kg) >Asparagus (187.35 mg/kg). Among Korean wild medicinal plants, Sumssukbujaengi showed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Sanmanul (a kind of wild garlic) level of 143.46 mg/kg. For Chinese cabbages and cabbages, vitamin U showed different levels according to the parts of plant such as core, middle, outward leaves. In both samples, middle parts of leaves including midribs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vitamin U. The level of vitamin U was dependent on the part of the plant sample and cultivars. Leaf parts of turnip and white radish showed higher value of 84.82 mg/kg and 124.62 mg/kg than those of roots which were in order of middle (112.39 mg/kg), top (84.84 mg/kg) and bottom (84.61 mg/kg) portions in the white radish. In the analysis of amino acids, we didn't find either distinctive relationship between methionine and vitamin U synthesis or significant connection various free amino acids and vitamin U level in food plants.

  • PDF

전자선 조사의 채소 종자 및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영향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Selected Vegetable Seeds and Plant-Pathogenic Microorganisms)

  • 배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15-14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물병원성 미생물들인 잿빛곰팡이와 Agrobacterium rhizogenes의 전자선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 kGy의 전자선량이 잿빛곰팡이의 분생포자 및 Agrobacterium rhizgenes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데에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종자의 전자선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해 본 결과, 대파, 열무와 오이 종자는 2 kGy의 전자선 조사에서도 발아율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쑥갓 종자의 경우에는 발아율에 있어서 근소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고추와 상추의 경우에는 전자선 조사에 대해서 대단히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열무, 오이, 대파 및 쑥갓 종자의 경우에는 식물병원성 미생물의 살균에 필요한 2 kGy의 전자선량을 조사함으로써 발아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충분한 살균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고추와 상추의 경우에는 전자선을 이용한 살균 방법은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산성(人工酸性)비의 철수(撤水) 및 분무(噴霧)가 배추, 무, 콩에 미치는 영향(影響) (Response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Soybean Exposed to Sprinkle and Mist of Simulated Acid Rain)

  • 박선도;이석순;김복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5-340
    • /
    • 1996
  • 인공산성비가 배추, 무, 콩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저 인공산성비(pH 2.7)와 자연비(pH 6.0)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살수(撒水)와 분무(噴霧) 처리하였다. 배추와 무는 30회, 콩은 62회 처리하였으며, 가시적 피해증상과 피해율, 엽록소 함량, 수량 및 수량관련특성, 식물체 무기양분 함량,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에 의한 가시적 피해증상은 배추는 담갈색 혹은 적갈색 반점이 생기고, 잎은 윤기가 없었다. 무는 잎 가장자리가 다소 위축되고, 담갈색의 반점이 생기며, 잎에 윤기가 없었다. 콩은 담갈색과 적갈색의 반점이 생기면서 잎의 가장자리가 위축되었다. 2. 인공산성비에 의한 피해정도는 3작물 모두 인공산성비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살수(撒水)보다 분무(噴霧)에서 다소 더 컸다. 3. 엽록소 함량은 인공산성비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인공산성비의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인공산성비 처리는 3작물의 수량을 모두 감소시켰으나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수확기 배추, 무, 콩의 식물체 칼리, 석회, 고토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황 함량은 증가되었고,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시험후 토양의 화학성은 인공산성비 처리로 토양 pH, 석회, 고토, 칼리 함량은 감소시켰으나 황 함량은 증가하였고, 유기물, 전질소, 인산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인공산성비를 처리할 때 살수와 분무간 토양의 화학성은 차이가 없었다.

  • PDF

Bacillus ehimensis YJ-37에 의한 채소류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Vegetables Damping-off by Bacillis ehimensis YJ-37)

  • 김진호;최용화;강상재;이인구;주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6-422
    • /
    • 2002
  • B. ehimensis YJ-37은 생육촉진미생물이면서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균으로서 관찰되었다 길항균 B. ehimensis YJ-37의 무와 수박의 근권정착밀도는 인공용토에 존재하는 길항균의 평균밀도 $10^4$(cfu/g) 보다 주근과 측근에서 약 1.2~2배 이상의 증가하였다. 길항균 배양액으로 만든 토양미생물제제에 의한 무의 생육촉진은 토양미생물제제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잎면적은 85% 자엽의 길이는 33% 뿌리의 길이는 23% 건조중량은 89% 촉진되었고, 수박의 경우도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잎면적은 63% 자엽의 길이는 27% 뿌리의 길이는 25% 건조중량은 69% 촉진되었다. 토양미생물제제는 채소류 모잘록병균 R. solani AG-4와 P. ultimum 등의 생육을 억제하여 모잘록병을 유발시키지 못하게 하였으며, 생육촉진현상도 동시에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