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sh-leaf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초

알타리무의 삭피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I) - 알타리무의 물리적 특성 - (Development of a Peeling Machine for Altari Radish(I) - Physical Properties of the Altari Radish -)

  • 김성태;민영봉;정효석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1호
    • /
    • pp.29-36
    • /
    • 2004
  •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Altari radish were measured for the purpose of mechanization of the kimchi processing. In this study, geometr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ctional area and volume of the radishes(pyeong-gang and sa-chul) were calculated us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cutting force of the radish and the torsional moment of the radish leaf-stems were measured by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 case of the radish(pyeong-gang), the weight was ranged 215.0∼465.0 g, the length of the radishes(body) was 86.3∼129.2 mm, the diameters were 43.3∼58.1 mm, and the length of the leaves was 261.3-368.2 mm. And the vertic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ranged 83.8∼171.7 N/$\textrm{cm}^2$, the horizont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113.0∼176.3 N/$\textrm{cm}^2$, the shearing forces were 86.0∼114.6 N, and the surface hardness was ranged 51.1∼52.1 N/$\textrm{cm}^2$. In case of the radish(sa-chul), the weight was ranged 203.5∼412.2 g, the length of the bodies was 67.5∼127.0 mm, the diameters were 22.3∼59.8 mm and the length of the leaves was 245.6∼312.6 mm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ranged 91.3∼168.3 N/mm, the horizontal compressive strengths were 132.6∼186.9 N/$\textrm{cm}^2$, the shearing forces were 89.4∼116.5 N, and the surface hardness was ranged 52.4∼67.8 N/$\textrm{cm}^2$, respectively.

BREEDING EXPERIMENT ON MUTATION INDUCTION BY IRRADIATION (2) Effects of X-ray and Thermal Neutron Irradiation on Dry Seeds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 Kim, Dawng Woo;Kim, Yang Choon;Cho, Mi Kyu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5권1호
    • /
    • pp.1-6
    • /
    • 1962
  • 1) Germination rate was rather irregular than decreasing as increasing dose of radiation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Kyong-Sam and Chuong-Bang of Chinese cabbage. 2) In R1 generation, abnormal leaves from seedling of irradiated seeds were observed. These were more apparent in X-ray irradiation than in thermal neutron. 3) Seedling height was inhibited with increasing dose of X-ray and thermal neutrons. Growth inhibition was more remarkable in X-ray than in thermal neutron. Kyong-Sam demonstrated more sensitivity than Chyong-Bang in both X-ray and thermal neutron. 4) Seedling height produced from seeds subjected to thermal neutrons showed small variation around its mean value, while in X-irradiation there was a greater deviaton from the mean value. 5) Fertility was decreased as increasing with dose, while the frequency of abortive pollen was increased. There were variability of the fertility and frequency of abortive pollen among plants or branches of a plant. 6) The mutants were obtained more in thermal neutron irradiation than in X-ray. The types of mutations obtained in Chinese radish of R2 generation were abnormal leaf, densely glowing leaf, degeneration in growing point and dwarf. The maximum frequency of phenotypic mutations was abnormal leaf mutation.

  • PDF

김치 모재료 채소의 질산염 함량 분포와 배추 염장처리 및 김치 조리방법에 따른 질산염 함량 변화 (Distribution of Nitrate Content in Vegetables for Kimchi Raw Material and Changes of Nitrate Content by Salting of Chinese Cabbage and by Cooking Process of Kimchi)

  • 손상목;이윤건;김영호;박양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3-75
    • /
    • 1997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devices to minimize the amount of nitrate ingested from kimchi, the main way of vegetable intake for Koreans, and the basic data to deliver to calculate the total daily intake for Korean, investigating the year-round changes of nitrate content in vegetables for Kimche raw material, and changes of nitrate content by salting of chinese cabbage, and stewed kimchi through the use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 over between 205-6655mg/kg f.w. in chinese cabbage, 480-3970mg/kg f.w. in chinese radish, 157-5820mg/kg f.w. in lettuce and 29-520mg/kg f.w. in cucumber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strongly adviced to introduce the nitrate limit value of vegetables in Korea if the nitrate content in Kimchi should be reduced to meet the nitrate ADI(Acceptable Daily Intake, 219mg60kg b.w) of FAO.WHO, because the nitrate content in Kimchi reflects the nitrate content in vegetables. In order to keep the low nitrate content in Kimchi. it was adviced to remove the outer leaf which contains 2-3 times higher nitrate content compare to the inner leaf at the time of preparation, i.e. chinese cabbage, before the soaking treatment in salt solution for Kimchi making process. The dehydration by soaking treatment in salt solution occurred at 0.9%~4.7% in leaf midrib and more than 13%~24% in leaf blade. The nitrate content after soaking in salt solution was increased 107%~123% compared with before soaking, increasing rates of nitrate content in the outer and inner leaf midrib were higher than those in leaf blade. The increase of nitrate content in salt solution after soaking due to the dehydration of chinese cabbage by soaking treatment. The Kimchi stew(Kimchi JJige) was processed with and without animal oil, but the amount of nitrate in kimchi stew did not decrease both treatments, but it increased after the processing since the water in Kimchi stew has got low by boiling.

  • PDF

부산 지역 주부들의 시판 밑반찬 기호도 및 이용 실태 (Housewives'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Commercialized Basic Side Dishes in the Busan Area)

  • 류은순;이동선;정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2-3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s, consumption, and eating frequencies of housewives for commercialized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The investigators visited 18 food markets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4 housewives in the Busan area. The number of basic side dishes being sold at the markets were in the order of seasoned dried radish (17 markets; mk), salted garlic stalk (15 mk), braised black soy beans (14 mk), braised peppers and dried anchovies (13 mk), and braised lotus roots (12 mk). The housewives' order of preferences was for stir-fried dried anchovies, braised peppers and dried anchovies, braised seasoned beef, salted perilla leaf, and perilla leaf kimchi equal to seasoned sea lettuce, respectively. The order for eating frequency was stir-fried dried anchovies, braised peppers and dried anchovies, salted perilla leaf, and perilla leaf kimchi, respectively. Salted perilla leaf, perilla leaf kimchi, braised crab preserved in soy sauce, salted bean leaves, seasoned dried radish, and seasoned crab were either occasionally or frequently purchased by over 40% of the women. However, the reasons they did not purchase these products included: the excess use of chemical seasonings, unsanitary, unreliable cooking process, unreliable the origin, and high price, in the respective order. If the commercialized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were improved to eliminate these problems, 52.2% of the housewives would buy the products, and 65.6% anticipated increasing their use of these products in the future.

  • PDF

실험실에서 사육한 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의 식성과 성장 (Feeding Habits and Growth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pulcherrimus (A. Agassiz) Reared in the Laboratory)

  • 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1-133
    • /
    • 1988
  • 고가의 식품으로 이용되는 말똥성게의 생식소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 연안의 말똥성게 자원은 계속 감소하고 있어 이 종류에 대한 양식 기술개발은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똥성게를 실내에서 양식할 경우 먹이로서 신선한 해조류를 대치할 수 있는 육상식물을 조사하였다. 해조류 6종류 (미역, 구멍갈파래, 지충이, 개지누아리, 모자반, 곰피), 육상식물 5종류 (시금치, 상치, 무우잎, 배추, 케일), 동물성 먹이 2종류 (바지락. 쇠고기)를 대상으로 말똥성게의 선택적 및 비선택적 식성과 영양 효과를 비교한 결과, 말똥성게의 먹이로서 육상 식물의 이용이 가능하였다. 미역을 공급한 경우 말똥성게의 체중의 성장은 가장 높았으나 생식소지수는 시금치, 무우잎 또는 상치를 공급할 경우가 미역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시금치와 무우잎의 공급은 생식소가 성장하는 계절에 적합하고, 각이 성장하는 시기에는 상치 또는 배추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무우잎은 식용으로 이용하지 않고 버려지므로 무우잎을 이용한 말똥성게의 양식은 매우 경제적일 것이다.

  • PDF

인공산성(人工酸性)비에 의한 농작물(農作物) 잎의 조직형태(組織形態)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I. 벼, 콩, 보리, 무에 관하여 (Histological Perturbations of Crop Leaves after Exposure to Simulated Acid Rain;II. For rice, soybean, barley, and radish)

  • 이종식;김복진;정구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4
    • /
    • 1996
  • 산성비에 의한 작물의 조직피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벼, 콩, 보리, 무 등 4개 작물에 pH 2.0, 2.5, 2.7, 3.0 및 6.0(대조구)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10회 처리한 후 잎의 피해율과 모용(Trichome) 및 기공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성비 처리에 의한 작물별 가시적 피해는 콩 > 무 > 벼 > 보리의 순으로 외떡잎 식물인 벼와 보리가 쌍떡잎 식물보다 적게 나타났다. 2. pH 2.0의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작물의 잎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살펴본 결과, 콩과 무는 잎의 모용이 변형되었으나 벼 잎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3. pH 2.5 인공산성비 처리로 벼를 제외한 콩, 보리 및 무의 기공에 피해가 나타났다.

  • PDF

음식물 쓰레기를 먹이로 한 지렁이분립이 채소류(열무와 엇갈이배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ermicast Application of Earthworm Feeding Food Waste in Vegetable Plants (Radish and Chinese Cabbage) Growth)

  • 최이진;권혁현;이한호;손형기;홍상길;박유순;강종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15-725
    • /
    • 2012
  • 본 연구는 공동생활주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지렁이먹이로 공급하기 위하여 먹이로 조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생산한 분변토를 텃밭이나 옥상 농원 등에 채소 재배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지렁이 분변토 적정 혼합비율을 규명하였다. 음식물쓰레기는 수거 후 kg 당 수돗물 15L로 세척하여 햇빛에 물기가 제거될 정도로 건조하여 달걀껍질을 혼합하여 65~70%로 수분을 조절한 것을 지렁이 먹이로 사용하였다. 처리는 무처리(일반 채소재배용 상토, 서울바이오), 100% 지렁이 분립, 지렁이 분립을 상토(서울바이오상토)에 30, 50, 70%를 혼합하여 재배토양을 조제하였다. 각 처리구에 열무(청농춘하열무, 청농(주))와 엇갈이배추(대농, 대농종묘(주))를 공시하여 2012년 6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 플라스틱하우스 내에서 재배하였다. 수확 후 생육특성 조사결과 열무의 경우 지렁이 분립 70% 혼합 처리구에서 엽폭은 7.85cm로 고도로 유의성이 있었고, 지상부 생체중을 조사한 결과 지렁이 분립 혼합비율 70% 처리구는 중량이 식물체당 129.92mg로 높았고, 지상부 건조중도 지렁이 분립 혼합비율 70%처리구가 10.25mg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열무의 생육특성 조사결과 지렁이 분립 70%처리구가 생육이 가장 적합했다. 엇갈이 배추의 생육특성 조사결과 초장은 지렁이 분립 50% 처리구에서 24.32cm로 가장 길게 나타났고 고도의 유의성이 있었다. 엽폭은 지렁이 분립 50% 처리구에서 9.79cm로 유의하였다. 지상부 생체중은 지렁이분립 50% 처리구에서 식물체당 185.08mg으로 무거웠으며, 지하부 생체중은 30, 70% 처리구가 각각 24.09mg, 23.96mg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지상부 및 지하부 건조중은 50% 처리구가 각각 15.63mg, 7.03m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엇갈이배추의 생육 특성 조사 결과 지렁이 분립 50% 처리구가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 결과 음식물 쓰레기를 지렁이 먹이로 공급하여 생산한 분변토를 텃밭이나 옥상 농원 등에 봄, 가을철 주요 채소인 열무와 엇갈이배추의 재배 용토에 혼합하여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무청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radish leaf extracts o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mice)

  • 이윤성;서영호;김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97-3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MU-C와 MU-CA에 대해 3T3-L1 세포를 이용하여 지방분화 억제 효과와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항비만 효과를 조사하였다. 3T3-L1 세포를 adipocyte로 분화 시키면서 무청 추출액을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을 통하여 지방축적을 비교해 본 결과 Control 대비 MU-C와 MU-CA 처리군에서 세포 지방 축적이 현저히 감소 되었으며, MU-C 처리군이 MU-CA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6주간의 동물실험을 통한 무청 추출액 투여 후 체중 측정 결과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체중 증가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보였으며, 시료 투여 4주차부터 HFD군에 비해 시료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지방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종료 후 간 무게와 지방무게를 측정한 결과 절대 장기 무게와 상대 장기 무게 모두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무게가 감소하였다. 혈중 TG, TC 함량 측정 및 동맥경화지수와 심장위험도 지수 계산 결과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 하였으며, 혈청 내 간 기능 효소(ALT, AST) 측정 결과 또한 MU-C군과 MU-CA군 순으로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병리조직학적 분석 결과 HFD군의 경우 지방축적 정도 심하였고, 일부에서 염증과 풍선도를 볼 수 있었다. MU-C군과 MU-CA군에서는 일부 간세포에 염증과 지방이 침착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HFD군에 비해 간세포가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고 지방 축적 정도는 감소된 모습을 관찰하였다. 지방세포의 경우도 대체적으로 균일한 크기에 지방세포를 가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HFD군 비해 MU-C군과 MU-CA군 순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유의적으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체중 변화, 지방무게, 혈중지질, ALT, AST 수치에서 열수 추출한 MU-C군이 MU-CA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MU-C군이 항비만 효과에 더 효과적인 물질로 확인된다. 이는 유기산 첨가 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가 분리되어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유량이 증가에 따른 성분 차이로 판단되며(Kim, 2011), 가수분해를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 수율 증가로 인해 MU-C군이 비만 예방 효과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렁이 분립이 엽채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분립의 최적혼합비율의 추정 - (The Effect of Vermicast on the Growth of Vegetable Plants - Estimation of Optimum Mixture Ratios of Vermicast -)

  • 김인수;김성진;이지영;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3-422
    • /
    • 2005
  • 본 연구는 톱밥발효 돈분을 vermicomposting으로 처리하여 생산된 분립을 상토재의 원료인 피트모스와 혼합하였을 때 이 화학적 특성과 엽채류(근대, 열무, 시금치,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분립의 적정 혼합비율을 추정하였다. 이 화학적 분석결과 지렁이 분립량이 증가할수록 용적비중(bulk density), 진밀도(particle density), pH 전기전도도(electrolytic conductivity), 무기물(ash), 전질소(total nitrogen), 양이온 치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유효인산함량(available $P_2O_5$) 및 치환성양이온향량(exchangeable cation)이 증가하였다. 근대는 분립 $40{\sim}100%$의 혼합비율에서 초장(PL), 엽면적(LA), 지상부중(SHW), 근중(RW), 근장(RL)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열무는 분립 $40{\sim}60%$의 혼합비율에서 지상부중(SHW), 근중(RW)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시금치는 분립 40%의 혼합비율에서 지상부중(SHW), 근중(RW)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상추는 분립 40%의 혼합비율에서 초장(PL), 엽면적(LA), 지상부중(SHW), 근중(RW), 근장(RL) 및 생물학적 수량(BY)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서 분립의 첨가비율은 근대 $40{\sim}100%$, 열무 $40{\sim}60%$, 시금치와 상추 40%가 적정혼합비율이었다.

  • PDF

김치생산용 알타리무 전처리가공시스템 개발(III) - 삭피장치의 개발 - (Development of the Altari Radish Pre-processing System for Kimchi Production(III) - Development of the Peeling Device -)

  • 민영봉;김성태;정태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3호
    • /
    • pp.166-171
    • /
    • 2005
  • A prototype peeling device with rotating cutter blades was designed to peel altari radish skin. With the designed blades, the maximum peeling depth increased as the cutter clearance increased but the effect of the peeling speed was not significant.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eeling was; the peeling speed was at 0.19m/s when peeled 2.5 blades/sec and the maximum peeling depth was 1.5mm, the minimum peeling depth was 0.5mm, and the leaf rotating speed was 12 rpm, respectively. In the peeling test fur the optimum operation conditions, with a auxiliary rolling device could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ot uniformly, the altari radishes under 70mm diameter were peeled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