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strontiu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46초

인삼 모상근이 생쥐에서 경구투여된 방사성스트론튬(85Sr)의 흡수와 배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inseng Hairy Root on Absorption and Excretion of Orally Injested Radiostrontium(85Sr) in Mouse)

  • 고경민;황경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83-187
    • /
    • 1991
  • Effect of ginseng hairy and native roots on body absorption, fecal and urinary excretion of Ingested radiostrontium were investigated in the mouse(NIH-strain, male) treated with or without pre-feeding of each ginseng soluble fraction. The test groups were fed with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1% each ginseng soluble fraction for 7 darts before the radiostrontium were administered by intragastric intubation. In the groups of treated with soluble fraction from ginseng hairy roots, the radioactivities of fecal and urinary excretion increased about 15% ov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and the whole body retention were about 38%. In the groups of treated with soluble fraction from native ginseng roots, the radioactivities of fecal and urinary excretion increased about 25% over than that of control groups and the whole body retention were about 28%. Also, the levels of radiostrontium accumulation retained significantly the higher percent in skeletons than in other organs.

  • PDF

수용성카이토산에 의한 마우스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급성 전이 억제 (Blocking the Acute Radiostrontium Transfer from Placenta In Fetus by Soluble Chitosan in Mice)

  • 김영호;범희승;김지열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237-250
    • /
    • 1997
  • 카이토산은 천연무독성 착화제의 일종으로 유전적 독성이 거의 없으며, 방사성스트론튬의 마우스 체내 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임신 17일째 마우스에서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전 후에 수용성카이토산을 공급함으로써 오염 후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급성 전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용성카이토산 분말을 50일간 일반식이와 혼합하여 10% (Group 1), 1%(Group 2)를 공급하고 임신 17일째에 방사성스트론튬을 오염시킨 군의 경우 일반식이를 공급한 대조군과 방사성스트론튬 오염 후 카이토산 10%, 1%분말을 공급한 군(Group 3, Group 4)에 비해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관찰하였다(p<0.01, 표 1).본 실험을 통해서 임신 17일째에 방사성스트론튬에 오염된 임신마우스의 경우 천연무독성 착화제인 카이토산을 장기간 전처치하였을 경우 태반을 통한 태아로의 방사성스트론튬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Reducing Fetal Contamination of Radiostronium by Water Soluble Chitosan

  • Kim, Young-Ho;Roh, Young-Bok;Kim, Kwang-Yoon;Bom, Hee-Seung;Kim, Jl-Yeu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337-34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water soluble chitosan, a natural nontoxic chelator, can reduce fetal contamination of radiostrontium in pregnant mice. Various forms of water soluble chitosans (10% or 1% powder, or 1% solution) were given to pregnant mice before or after contamination of 0.005 uCi/B.W(g) Sr-85. Transplacental transfer of Sr-85 to fetus was $6.8{\pm}2.7%$ of injected dose, when Sr-85 was administered at the 20th day of pregnancy. Fetal radioactiv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mother mice were treated with water soluble chitosan before contamination of Sr-85. Water soluble chitosans of 10% or 1% powder, or 1% solution significantly reduced fetal retention of Sr-85 to $2.3{\pm}0.7%$, $2.7{\pm}0.8%$, and $2.0{\pm}0.9%$, respectively. However, fetal contamination was not reduced, when water soluble chitosans of 10% or 1% powder, or 1% solution were administered after maternal contamination of Sr-85. From these data we can conclude that water soluble chitosan could reduce fetal contamination of radiostrontium in pregnant mice, when given before the pregnant mice were exposed to radiostrontium.

  • PDF

논토양에 대한 K와 Ca의 동시처리가 벼의 Radiocaesium과 Radiostrontium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taneous K and Ca Application to Paddy Soil on the Uptake of Radiocaesium and Radiostrontium by Rice)

  • 최용호;임광묵;전인;금동권;김인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90-95
    • /
    • 2012
  • Radiocaesium과 radiostrontium에 대한 벼의 흡수억제 대책으로서 K와 Ca의 동시처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온실 내에서 방사성 추적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흙상자에 담긴 논토양(pH 6.5의 양토)에 $^{137}Cs$$^{85}Sr$을 가하고 농업용 KCl과 $Ca(OH)_2$를 사용하여 K와 Ca를 처리한 다음 모내기하였다. 대조 작물체의 쌀알에 대한 $^{137}Cs$$^{85}Sr$의 토양-작물체전이계수(TF, $m^2\;kg^{-1}-dry$)는 각각 $7.4{\times}10^{-5}$$2.1{\times}10^{-4}$였고 볏짚의 경우에는 각각 $2.6{\times}10^{-4}$$2.2{\times}10^{-2}$였다. K와 Ca의 동시처리 수준(K/Ca, $g\;m^{-2}$)이 $^{137}Cs$의 경우 33.6/322까지, $^{85}Sr$의 경우 48.0/460까지 증가할수록 전이계수가 점점 감소하였다. 최고 감소율은 두 핵종 모두 60% 정도였다. $^{85}Sr$ 전이계수는 33.6/322 처리에서도 60% 가까이 감소하였다. 당 처리에서는 벼의 생산성도 양호하였다. 이로써 본 실험에서는 33.6/322 처리가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최적 처리 수준은 각종 요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차후 다양한 조건에 대한 실험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스트론튬 선택적이온교환수지$(Sr.\;Spec^{TM})$를 이용한 환경시료중의 방사성 스트론튬의 분리 (Separation of Radiostrontium from Environmental Sample Using Strontim Selective Chromatographic Resin$(Sr.\;Spec^{TM})$)

  • 홍광희;이창우;최용호;이명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7
    • /
    • 1995
  • 스트론튬선택성을 갖는 크로마토그래피용 수지인 $Sr-Spec^{TM}$을 이용한 환경시료중 토양시료와 물시료에 대한 방사성 스트론들 분리를 고찰하였다. 이 수지는 질산수용액에서 스트론튬과 큰 결합능력을 가졌으며, 다량의 칼슘원소의 존재에서도 스트론튬분리를 할 수 있는 선택성을 가졌다. 그러나 K나 Ba와 같은 방해원소에 의해서는 스트론튬 추출능력이 감소하였고, 때문에 토양시료중의 스트론튬 분석시에는 이러한 방해원소의 제거단계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물시료증 스트론튬분석에서는 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높게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카이틴, 카이토산, EDTA, DTPA의 방사성스트론튬(Sr-85) 착화물 형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Radiostrontium Chelation with Chitin, Chitosan, EDTA and DTPA)

  • 범희승;김영호;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1-395
    • /
    • 1998
  • 목적 : 방사성스트론튬은 핵사고시 방사성옥소, 방사성세슘 등과 더불어 환경 중으로 다량이 방출되어 환경 및 인체를 오염시키는 방사독소 중의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분자량이 서로 다른 카이틴 3종, 카이토산 3종, 인산카이토산 1종 등의 천연착화제와 EDTA, DTPA 등의 화학적착화제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통해 방사성스트론튬에 대한 착화율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한 카이틴 및 카이토산, 인산카이토산, EDTA, DTPA은 모두 수용성으로 생리식염수에 녹여 0.01% 상태로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컬럼은 PD-10 Sephadex G-25 M을 사용하였다. 착화물 형성비율은 전체 분획의 방사능 중 착화물의 분획이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하였다. 결과: 카이틴, 카이토산, 인산카이토산과 같은 천연착화제나 EDTA, DTPA 등의 화학적착화제 모두 pH 3, 5, 7에서 평균 90% 이상의 높은 착화율을 나타내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천연착화제인 카이틴, 카이토산은 화학적착화제와 차이가 없이 방사성스트론튬에 대해 우수한 착화율을 보이므로, 무독성인 점을 감안한다면 방사성스트론튬 오염에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착화제라고 사료된다.

  • PDF

마우스에서 칼슘 및 Chitosan metabolism이 방사성스트론튬의 체외배출 효과에 미치는 명향 (The Effect of Calcium and Chitosan Metabolism to the Excretion of Radiostrontium in Mice)

  • 김영호;범희승;김지열;노영복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9-14
    • /
    • 1997
  • 카이토산은 무독성 천연착화제의 일종으로 방사성스트론튬의 마우스체내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스트론튬은 칼슘이온과 비슷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hydroxyapatite에 쉽게 결합하여 제거하기가 어렵다. 본 실험에서는 카이토산과 칼슘이온을 처리하였을 경우 방사성스트론튬의 체외배출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1% 카이토산 혹은 칼슘을 일반식이와 혼합하여 섭취시킨 후 방사성스트론튬을 관을 통해 구강으로 주입하였고, 방사성스트론튬 오염후 1% 카이토산 혹은 칼슘용액, 그리고 1% 카이토산과 칼슘을 혼합한 용액을 각각 구강주사하였다. 대조군은 카이토산 또는 칼슘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각각의 실험군은 10마리씩 7일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변과 오줌 등을 통한 스트론튬의 체외배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골조직 등의 침착율도 낮게 나타났다 (p<0.01). 칼슘 투여군과 카이토산 투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카이토산 단독투여 군과 칼슘과 카이토산 동시 투여군 사이에는 방사성스트론튬 배설율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은 카이토산과 동일하게 입으로 오염된 방사성스트론튬 제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신마우스에서 수용성카이토산에 의한 태아의 방사성스트론튬 오염 억제 (Inhibition of Radiostrontium Contamination to Fetus by Water Soluble Chitosan in Pregnant Mice)

  • 김광윤;범희승;양광희;최근희;채기문;김지열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2-229
    • /
    • 1994
  • 핵분열생성물중의 하나인 방사성스트론튬은 임신한 쥐에서 태반을 빠르게 통과하여 태아를 오염시킨다. 독성이 적은 천연착화제로서 마우스체내의 방사성스트론들(Sr-85)의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카이토산을 이용하여 Sr-85의 태반오염억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공급한 대조군과 임신 17일째에 수용성카이토산을 피하(1% 카이토산), 구강(10% 카이토산), 복강(0.3% 카이토산)으로 주사한 카이토산군으로 분류하였다. 피하주사군은 Sr-85 오염후 카이토산을 주사한 군이며 복강과 구강주사군은 Sr-85 오염전 15일간 카이토산을 공급한 군이었다. 출산과 동시에 어린마우스의 전신을 측정한 결과 출생후 7일째에 대조군이 $2.8{\pm}0.3%$의 전신축적율을 나타낸 반면 피하, 구강, 복강 주사군은 각각 $1.2{\pm}0.1%,\;1.4{\pm}0.1%,\;1.6{\pm}0.2%$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임신한 마우스에서 수용성카이토산은 방사성스트론튬의 태반오염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마우스에서 경구투여한 방사성스트론튬의 제거에 대한 경구투여 카이토산과 알긴산의 효과 (Effect of Oral Ingestion of Chitosan and Alginate on the Removal of Orally Ingested Radiostrontium ($^{85}Sr$) in Mice)

  • 김희경;김광윤;범희승;최근희;김지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0-134
    • /
    • 1993
  • 방사성스트론튬은 원자력 사고에 의해 환경 증으로 유출가능한 핵종으로 주로 위 장관을 통해 흡수됨으로써 인체에 심각한 방사선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위장관 흡수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실험에서는 마우스에서 장기간 복용시킨 수용성 및 불용성 카이토산과 수용성 및 불용성 알긴산이 방사성스트론튬($^{85}Sr$)의 체외배출을 어느 정도 촉진시킬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군당 10마리씩을 웅성 마우스(NIH계)에 7일간 l0% 불용성, 수용성 카이토산과 10% 불용성 및 수용성 알긴산을 보통 식이에 섞어먹인 후, $^{85}Sr$ 74KBq ($2{\mu}Ci$)을 구강위관을 통하여 투여하였으며, $^{85}Sr$ 투여후 7일 동안 카이토산과 알긴산을 같은 방법으로 복용시키면서 매일 변을 통해 배설되는 방사능을 감마카운터로 계측하고, 7일후 도살부검하여 신체 장기별 $^{85}Sr$ 침착량을 계측하였다. 변을 통한 $^{85}Sr$의 배설은 카이토산 및 알긴산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용성카이토산, 불용성알긴산, 수용성알긴산, 불용성카이토산 처리군 순서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각 처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5}Sr$은 주로 골조직에 침착되었으며, 카이토산 및 알긴산 처리에 의한 $^{85}Sr$의 골조직 침착은 각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p<0.01). 결론적으로 l0%불용성, 수용성 카이토산과 10% 불용성 및 수용성 알긴산은 구강을 통해 유입되는 방사성스트론튬의 체내 흡수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약제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INORGANIC AND BIO-MATERIALS IN THE REMOVAL/SPECIATION OF RADIOCESIUM AND RADIOSTRONTIUM : AN OVERVIEW

  • Tiwari, Diwakar;Prasad, S.K.;Yang, Jae-Kyu;Choi, Bong-Jong;Lee, Seung-Mo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06-125
    • /
    • 2006
  • Cesium and strontium are two important fission products and the removal/speciation of these two cations with several inorganic/bio-materials is an interesting topic to discuss. It is to be noted that inorganic materials are found to be fairly effective and efficient in the removal/speciation of these cations. Moreover, these solids are to be found promising as they show fairly good radiation and temperature stability. Henc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tudies. However, various studies reveal that in addition to inorganic materials various biosorbents can also be employed in the removal/speciation of these ions. But the radiation and temperature stability of these bio-sorbents and dead biomasses are still the topic lying among the researchers to be investig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