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alcium and Chitosan Metabolism to the Excretion of Radiostrontium in Mice

마우스에서 칼슘 및 Chitosan metabolism이 방사성스트론튬의 체외배출 효과에 미치는 명향

  • Kim, Young-Ho (Dept. of Nuclear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Dept. of Biology Chosun University) ;
  • Bom, Hee-Seung (Dept. of Nuclear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Kim, Ji-Yeul (Dept. of Nuclear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Roh, Young-Bok (Dept. of Biology Chosun University)
  • 김영호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조선대학교 생물학과) ;
  • 범희승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김지열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 노영복 (조선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7.03.30

Abstract

Chitosan, a natural nontoxic chelator, was reported to reduce whole body retention of radiostrontium in mice. As calcium has a simillar chemical properties to strontium both of which be easily bound with hydroxyapatite structure, calcium can be either a competitor or enhancer to chitosan on the removal of radiostrontium. We compared the effect of chitosan and calcium on the excretion of ingested radiostrontium ($^{85}$Sr). Chitosan or calcium($Cacl_2$) and usual food was mixed as 1:99 by weight. The mixed food to chitosan (group 1) or calcium (group 2) were given orally for 30 days before $^{85}$Sr administration. In other groups, mixed calcium and chitosan solution (group 3), 1% calcium (group 4), or 1% chitosan solution (group 5) was given for 7 days immediatel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85}SrC1_2$ ($0.25{\mu}Ci$). In control group, no chitosan or calcium were given. Either chitosan or calcium was effective on the removal of $^{85}Sr$ from mouse body(Table. 1). Addition of calcium on chitosan did not improve or deteriorate the effect of chitosan on the removal of $^{85}Sr$ from mouse body. In conclusion, calcium was similarly effective on the removal of $^{85}Sr$ from mouse body.

카이토산은 무독성 천연착화제의 일종으로 방사성스트론튬의 마우스체내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스트론튬은 칼슘이온과 비슷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hydroxyapatite에 쉽게 결합하여 제거하기가 어렵다. 본 실험에서는 카이토산과 칼슘이온을 처리하였을 경우 방사성스트론튬의 체외배출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1% 카이토산 혹은 칼슘을 일반식이와 혼합하여 섭취시킨 후 방사성스트론튬을 관을 통해 구강으로 주입하였고, 방사성스트론튬 오염후 1% 카이토산 혹은 칼슘용액, 그리고 1% 카이토산과 칼슘을 혼합한 용액을 각각 구강주사하였다. 대조군은 카이토산 또는 칼슘을 처리하지 않았으며, 각각의 실험군은 10마리씩 7일간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변과 오줌 등을 통한 스트론튬의 체외배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p<0.01), 골조직 등의 침착율도 낮게 나타났다 (p<0.01). 칼슘 투여군과 카이토산 투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카이토산 단독투여 군과 칼슘과 카이토산 동시 투여군 사이에는 방사성스트론튬 배설율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칼슘은 카이토산과 동일하게 입으로 오염된 방사성스트론튬 제거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