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safety management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7초

치과 구내촬영 장비 현황과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 연구 (Current status of dental intraoral imaging devices and radiographic safety management)

  • 강은주;형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5-214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radiographic safety management in Korea.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00 dental hygienists in Jeonbuk province from September 1, 2014 and October 31,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adiation knowledg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radiation exposure anxie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Duration of clinical experience(r=0.142) and number of daily radiation shot(r=0.145)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o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a nrgative correlation to use of intraoral films and digital devices(r=-0.587).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n radiography knowled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ge group over 41 years old(OR 7.25; 95% CI 1.30-40.43) and those who took a position above team leader(OR 0.23; 95% CI 0.59-0.90). Conclusions: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the safety management toward dental intraoral imaging and radiograpgic shot in the dental hygienists.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emphasized on radiographic safety management and behavior.

의료기관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능 방어에 대한 인식도 및 수행도 분석: 부산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Radiation Workers' Radiation/Radioactivity Protection in Medical Institutions: Focused on Busan Regional Medical Institutions)

  • 박철구;황철환;김동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101-108
    • /
    • 2017
  •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방사선/능 방어에 대한 안전관리 인식과 행동조사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 2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40대, 50대 그룹과, 고학력 그룹에서 방사선 안전관리 인식도와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에 따른 분석은 "매우 잘 알고 있다" 그룹에서 인식도와 수행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전관리 노력 정도에 따른 분석은 "다양한 교육을 받거나 책을 통해 안전관리 내용을 공부하고 있다" 그룹에서 높은 인식척도와 수행척도를 나타냈다. 하부요인들간 상관관계의 경우 종사자 개인측면의 인식도와 환자 및 환자보호자 측면의 인식도에서 가장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따라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다양한 경로를 통한 지속적인 방사선 안전관리 교육 습득을 통해 종사자 및 환자 그리고 환자보호자에 대한 방사선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들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행위 (Radiological Operating Technicians's Protective Behaviors on Radio-medical Measures in Hospitals)

  • 한은옥;문인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9-77
    • /
    • 2007
  • Background & Objectives: International radiation protection committe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radiation protection from medical practices because the exposure to the radiation in medical practice is higher than any other exposure. The factors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radiation safety of the medical workers engaged in radiation were analyzed in order to improve radiation safety technology. Metho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1200 radiation workers in medical institution from July 23 through September 4 and collected for analysis. Results: Different level of safety measures were practiced by age, marital status, career, and medical facilit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s of safety measures were practiced in the age group of 50s and married persons. The workers who have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have higher level of safety measures. The workers of health centers have higher level of safety measures to compare with other workers. The factors which give more concerns on safety practice were self efficacy, practice and knowledge in order. Conclusion: Safety conscious operators should get additional education program to maintain higher level of safety. The operators who do not have much safety concern should be intensive training program for self efficacy and safety.

  • PDF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y Dental Hygienist)

  • 강은주;이경희;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05-112
    • /
    • 2005
  • 구강진료기관에서 이용되는 방사선은 노출양이 극히 미량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장기간 방사선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위해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사선 종사자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를 파악하여 구강 방사선 촬영실에서의 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의 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어계획 수립과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에 대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함에 도움이 되는시사점을 도출하고자 각 지역의 치과병원 및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03년 12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약 4개월동안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총15점 만점 중 평균이 $8.59{\pm}2.36$점으로 나타났으며, 최고점수는 13점, 최소점수는 3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지식 수준을 살펴보면, 근무경력별로(p < 0.001),결혼 여부별로(p < 0.001),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별로(p < 0.001), 병원형태별로(p < 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 수준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4.08{\pm}0.50$점으로 나타났으며, 문항별 최고점수는 평균 $4.31{\pm}0.73$점, 최저 점수는$3.82{\pm}0.89$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태도 수준을 살펴보면, 연령별로(p < 0.001), 근무경력별로(p < 0.05),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별로(p < 0.01), 병원형태별로(p < 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행위 수준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전체평균은 $2.89{\pm}0.77$점으로 태도 수준에 비해 행위 수준은 낮게 조사되었으며, 문항별 최고점수는 $3.82{\pm}0.94$점, 최저점수는 $2.37{\pm}1.0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행위수준을 살펴본 결과, 근무경력별로(p < 0.001), 병원형태별로(p < 0.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태도 및 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방사선 안전관리 태도와 행위 정도가 높았으며,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adiation Exposure from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2011-2015

  • Lim, Young Kh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2권4호
    • /
    • pp.222-228
    • /
    • 2017
  • Background: On June 18, 2017, Korea's first commercial nuclear reactor, the Kori Nuclear Power Plant No. 1, was permanently suspended, and the capacity of nucle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ill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denuclearization policy.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quality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by evaluating the radiation dose associated with them. Materials and Methods: The average annual radiation dose per unit, the annual radiation dose per person, and the annual dose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the radiation dose database of nuclear reactors for the last 5 year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ere compared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Nuclear Safety Act and Medical Law in Korea. Results and Discussion: The annual average per unit radiation dose of global major nuclear power generation was 720 man-mSv, while that of Korea's nuclear power plants was 374 manmSv. No workers exceeded 50 mSv per year or 100 mSv in 5 years. The individual radiation dose according to occupational exposure was 0.59 mSv for nuclear workers, 1.77 mSv for non-destructive workers, and 0.8 mSv for diagnostic radiologists. Conclusion: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has achieved the best outcomes worldwide,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as-low-as-reasonably-achievable (ALARA) approach and stric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Moreover, the occupational exposures were also very low.

수술실 간호사와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과 태도 및 행위에 대한 비교조사 (A Survey about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Operating Room Nurse and Dental Hygienists)

  • 윤정애;윤영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0-239
    • /
    • 2014
  • 기존 영상의학과 의사, 방사선사 등이 방사선 피폭 위험도가 높은 의료인으로 분류되어 방사선 피폭 계측기를 착용하고 제도적으로 피폭 정도를 평가 및 관리받고 있는 반면, 수술실 간호사와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피폭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와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교육에 대한 현주소를 알기 위해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를 파악하여 방사선 피폭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잠재적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교육과 기술훈련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부산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 병원, 정형외과 및 치과병 의원 등의 의료기관을 임의 선정하여 현재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4년 2월18일부터 3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지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총 15점 만점 중 치과위생사 10.57점, 수술실 간호사 9.55점으로 나타났고(p<0.001),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수준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수술실 간호사 4.67점, 치과위생사 4.64점으로 나타났으며(p<0.001),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행위수준을 살펴본 결과 5점 만점 중 치과위생사 3.27점, 수술실 간호사 2.93점으로 나타났다(p<0.001).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태도 및 행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방사선안전관리 지식은 방사선 안전관리 태도 및 행위에서 통계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방사선 발생장치 제조업체 및 의료기관 종사자의 방사선 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Radiation Management among Radiation Generating Device Manufacturers and Medical Personnel)

  • 김규환;배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18-426
    • /
    • 2021
  • 이 연구는 방사선 발생장치 제조업체 종사자와 의료기관 종사자들 간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적극적인 대처능력과 안전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조사하게 되었다. 방사선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점수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직종, 직위, 현 직장근무기간, 직장 총 근무기간, 방사선 관련 유사업무 유무, 매뉴얼 비치 여부, 방어 시설유지 여부, 방어 장비보유 수, 방사선 안전교육 여부, 특수건강검진 여부, 방사선 용어인지 여부와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방사선 관련 직종에서 방사선사의 지식 점수가 가장 높았다(p<0.05). 방사선 안전관리는 방사선제조업체 종사자 및 의료기관 종사자 모두 방사선 노출에 적극적인 방어 노력이 필요하며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지침 준수, 주기적인 교육, 시설보강, 매뉴얼 작성, 특수 건강검진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방사선사의 방사선/능에 대한 지식, 인식, 행위 분석 (Analysis of Radiation/Radioactivity-Related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 김정훈;고성진;강세식;최석윤;김창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123-129
    • /
    • 2011
  • 본 연구는 방사선사들의 방사선방어에 대한 인식, 지식 및 행위를 조사하여 종사자 본인은 물론 환자 및 환자보호자의 불필요한 방사선피폭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부산시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PC+ Win 13 버전을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으며, 일반변인(지식, 학력, 연령, 근무경력)이 방사선안전관리측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여 검증하였다. 학력, 연령, 근무경력에 따른 방사선/능의 지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방사선안전관리의 경우 40대 이상과 대졸이상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방사선안전관리와 방사선/능의 지식정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일반변인이 방사선안전관리측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능의 지식이 높을수록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종사자 및 환자에 대한 방사선피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종사자 교육을 통한 올바른 방사선/능의 관리에 있다고 판단된다.

진단용 방사선 관련 업무 종사자의 피폭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Exposure of Workers and Assistants Related to Diagnostic Radiation)

  • 임창선
    • 의료법학
    • /
    • 제22권3호
    • /
    • pp.97-124
    • /
    • 2021
  • 의료기관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하는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있다. 그리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방사선진료를 보조하거나 방사선 검사실로 환자이송 등을 하는 업무 보조자들이 있다.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의료법」 등에 의해 방사선 피폭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방사선 진료업무 보조자 등은 이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진단용 방사선 피폭관리는 의료법령에 의해 규율되고 있고, 치료용 방사선과 핵의학검사에 의한 방사선 피폭관리는「원자력안전법」의 규율을 받고 있다. 이에 진단용 방사선에 의한 피폭관리를 개선하기 위하여「의료법」 상 진단용 방사선 피폭관리에 관한 규정과「원자력안전법」 상 관련 규정들을 비교·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로 얻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용 방사선에 의한 피폭관리 대상으로 방사선 관계 종사자 외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실습 학생 등을 포함시켜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둘째,「원자력안전법」에서처럼 진단용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임신이 확인된 경우에는 피폭선량 한도를 명문으로 규정해야 한다. 셋째,「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의 개인피폭선량계의 종류에 관한 규정을 현실에 맞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방사선 관계 종사자,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수시출입자에 대한 건강진단의 검사항목은 동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 진단용 방사선뿐만 아니라 치료용 방사선과 핵의학을 포함한 의료용 방사선 전체를 하나의 법체계에서 통일하여 규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의 추이분석 :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Trend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ed to Radiation Safety Management : Focused on Radiation Workers at Medical Institutions)

  • 한은옥;권덕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4호
    • /
    • pp.321-327
    • /
    • 2007
  • 본 연구는 방사선 종사자에 의해 주도되는 의료기관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해 교육학적 접근인 지식, 태도 및 행위를 조사하여 과거와의 연속선상에서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시대적인 변화를 파악하고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추이분석을 함으로써 방사선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의 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사선안전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전국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를 대상으로 2001년과 2006년도에 각각 약 40일 가량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수준이 2001년보다 2006년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의 상관관계는 2001년, 2006년도 모두 지식과 태도, 행위와 지식, 태도와 행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태도와 행위의 상관관계는 2006년도가 2001년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방사선안전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2001년, 2006년도 모두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로 나타났고 지식보다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