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 There were reports about the decreasing of quit-smoking ratio because of taking professional advices.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moking prevalence rate of the dental hygienist study in nationwide and quit-smoking counseling activity for patients in dental clinic. Methods : The registered Korea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Meeting in 2005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e personal surveyed, 486(87.7%) returned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 The smoking rate of dental hygienist is 3.1%, past smoking rate 1.4% and smoking cessation 95.5%. In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activity, only 20.8% of dental hygienist would advise to quit smoking. However, 63.8% intended to advise to quit smoking but they have no idea about quit smoking program and 15.4% had no intention of advising to quit. It is a whole consent that Smoking dental hygienist is tend to against smoking and necessary training about smoking cessation same opinion. Conclusions : Dental hygienist is more effective for health care professional to help people stop smoking, therefore dental hygienist is important for them to have through knowledge of subject and confidence in their role in smoking cessation.
Background: Smoking is one of the most preventable causes of disease and death, including cancer, and quitting at an early age can reduce smokin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quit" among intermediate and secondary school current cigarette smoker students in Al Madinah city, Saudi Arabi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hort included 307 current smoker students in a school-based survey. The intention to quit and its related determinants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geq}17$ years, and of male gender (54.7%, 77.9% respectively). An intention to quit smoking was reported in 71.7% of participants, and was been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ale gender (OR=3.25, 95% CI=1.65-6.41): age at 1st trial of smoking. 10-15 years (OR=2.11, 95% CI=1.03-4.32) along with age of ${\geq}15$ years (OR=3.10, 95% CI=1.20-7.88); days of smoking in the past 30 days (days <10 (OR=2.31, 95% CI=1.23-4.35) along with days ranging from 10-19 days (OR= 3.42, 95% CI=1.18-9.91); knowing that smoking is hazardous to health (OR=3.04, 95% CI=1.42-6.47); and finally, supporting smoking bans in public places (OR=1.89, 95% CI=1.11-3.25). Conclusions: A substantial number of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quit smoking. Effective interventions focusing o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hazards of smoking and prohibiting smoking in public places could help initiate the intention to quit among youth smokers.
본 연구는 흡연자의 금연의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성별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지역사회건강조사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39,43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수준, 금연시도 경험, 금연캠페인 노출경험, 금연교육 경험, 하루 흡연량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흡연자와 다르게 남성 흡연자는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흡연자 중 낮은 교육수준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금연캠페인과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 차이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 정도에 따른 금연시도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6년 제12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 연구로 SPSS 21.0으로 복합표본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소년 흡연자 4,012명으로 하루 10개비 미만의 일반흡연 청소년은 3,171명(78.4%), 하루 10개비 이상의 중증흡연 청소년은 841명(21.6%)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금연시도 비율은 일반흡연 청소년은 71.6%, 중증흡연 청소년은 64.8%로 일반흡연 청소년에서 더 높았다. 일반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격렬한 신체활동, 우울 경험, 흡연 시작시기, 친구흡연, 금연교육 경험, 금연홍보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중증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격렬한 신체활동, 친구흡연, 금연교육 경험, 금연홍보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성공을 위해 효과적인 밀착형 금연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을 기대한다.
Objectiv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t researched students' smoking status, smoking attitude, smoking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providing them with a five-day-smoking cessation program. Methods: Data collection proceeded from April to August 2008. The subjects were the whole number, 38 students, of 1EA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The subjects who attended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were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the high school whom classroom teachers recommended. As to the subject, I comparatively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between after instruction and after consecutive consulting, and between before instruction and after consecutive consulting. The five-day-smoking cessation program took 2 successive hours a day for five days. Results: Average age for them to start smoking was 13.6 and to form smoking habits was 15.5. Average smoking period was 31.6 months and average smoking quantity was 11.2 cigarettes. As a result of the five-days smoking cessation program, 10.5% of the participants quit smoking and smoking quantity also significantly reduced. After instruction, willingness to quit smoking was generally higher than before. Smoking attitude, especially toward adolescent smoking, changed to be more negative than before. Perception of smoking also changed to be positive.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revealed a decrease on smoking quantity of the participants who attended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change on smoking attitude,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nd smoking perception.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quit-smoking intention based on the planned behavior theory among out-of-school youth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nt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during Nov. 1. 2018 to Feb. 28, 2019, study subjects were 189 out-of-school youths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A, B, C area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quit smoking intention according to age, weekly allowance, participate of antismoking program.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it smoking intention and attitude to non-smoking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fluenced by predictive variable, age, weekly allowance, attitude to non-smoking,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explain 26.8% smoking cessation intention. Conclusion: We believe that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the specific smoking cessation education program for out-of-school youth's health behaviors.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o graphic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smoking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5 smoking adolescents attending two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who had witnessed graphic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within the previous 30 day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Ver. 25.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 threat perception (𝛽=.14, p=.037) after witnessing a cigarette warning messag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reactance (𝛽=-.23, p=.001)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Conclusion: When designing and developing a message for smoking adolescents, customized messages are required to reflect teenagers' characteristics and raise threat perception and lower psychological reactance. In addition, we propose a future study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various psychological determinants, including self-efficacy and skills, on threat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o graphic health warnings on cigarette packages among smoking adolescents.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mbining "non-halal" labels with visual and textual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ages to induce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boost the stop-smoking campaig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xamines"non-halal" labeling on cigarette packages using an experimental method. A total of 120 smokers, aged 18-23, were chosen from among Universitas Indonesia students.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ANOVA and T-Test. Results - The use of a "non-halal" label as a warning on cigarette packages is more effective to influence Muslim smokers to quit smoking.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non-halal" labels more effectively increase intentions to quit smoking when use din combination with textual-visual labels. Conclusions - The study found that the addition of "non-halal" labels in textual or textual-visual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ages w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intention of Moslems smokers to quit smoking. These results support previous research findings, that if cigarettes are labeled as "non-halal" (haram) products for Moslem teenagers, it will induce them to quit smok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 revised HPM was appropriate to explain smoking quitting behavior. A convenience sample of 40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Inchon province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smoking-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included in the study could significantly explain commitment to a plan to quit smoking which was one of the behavioral outcomes in the revised HPM.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among predictors, smoking-related affect, perceived benefit of quitting smoking, and perceived self-efficacy significantly explained commitment to a plan to quit smoking, but perceived barrier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did not. The model for smoking quitting behavior formulated with smoking-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l explained 48 percent of variance in smoking quitting behavior. More specifically, it was shown that among smoking-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only smoking-related affect, interpersonal influences, and perceived self-efficac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smoking quitting behavior. Smoking-related affec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explain smoking quitting behavior, followed by perceived self-efficacy. However, the influence of commitment to a plan to quit smoking on smoking quitting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model for smoking quitting behavior formulat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could explain 13 percent of the variance in behavior to quit smoking. Although the mod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e number of quitting attempts had significant and direct influence on behavior to quit smoking, while the remaining variables did not.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in outpatients. Method : Subjects were 40f adult smoking patients who saw their doctors in the outpatient setting at a university hospital, regardless of their willingness of otherwise in smoking cessation. Physicians delivered a brief, stop smoking prompt to all patients who smoked one or more cigarettes a day. Then they referred to on-site counselors who provided a brief, nurse assisted intervention with a survey to a randomly assigned intervention group (200 smoking patients), whom the counselors telephoned later to prevent relapse or promote the motivation to quit, or gave only a survey to a control group (201 smoking patients). After at least 5 months, self-reported current smoking cessation was confirmed later using cut-off values of 7 ppm or less in expired alveolar air after breath holding portable CO analyzer. Results : After 5 months, subject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1.56 times (95% C.I. 0.89-2.73) more likely to quit smoking than those in the non-intervention group (14.0% vs. 9.0%). Willingness to quit smoking in a month, scheduled admission in a month, self efficacy score and FTND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score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previous attempts to quit smoking were significant instead of self efficacy score. In the intervention group who ha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in a month (132 smoking patients), FTND score, whether quit date was today, and whether quit promise paper was submitting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cheduled admission in a month and whether quit date was today wer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Smoking cessation treatment should be tailored to individual smoking patients considering these predictor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