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si ideal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1초

Comparative Study of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 Activation According to Angle of External Rotation of Glenohumeral Joint

  • Yang, Dongseok;Choi, Wonho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071-2076
    • /
    • 2020
  • Backgrou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muscle activ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s to according to the angle of motion during external rotation on glenohumeral joint, effective shoulder joint strengthening exercise for the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of shoulder injury due to muscle strength imbalance can be performed by achieving the ideal muscle activity ratio during exercise. Objectiv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uscle activation changes and activity ratio of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s according to the glenohumeral external rotation angle. Design: Quasi-randomized trial. Methods: The study included 48 healthy male and female adults who provided informed consent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All the subjects performed isometric glenohumeral external rotation by setting the angle of motion to 30°, 45°, and 60° using a 5 kg resistance weight pulley. On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differences in muscle activation and activity ratio between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s were investigated.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ation was found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s according to the glenohumeral external rotation angle (P<.05). The muscle activation levels of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s were highest at the external rotation angles of 30° and 60°, respectively. The muscle activity ratio between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muscle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nd was highest at the shoulder external rotation angle of 30°.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scle activity is the highest at the shoulder external rotation angle of 30° in healthy individuals.

Transverse dynamics of slender piezoelectric bimorphs with resistive-inductive electrodes

  • Schoeftner, Juergen;Buchberger, Gerda;Benjeddou, Ayech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8권2호
    • /
    • pp.355-374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nd compares a one-dimensional (1D) bending theory for piezoelectric thin beam-type structures with resistive-inductive electrodes to ANSYS$^{(R)}$ three-dimensional (3D) finite element (FE) analysis. In particular, the lateral deflections and vibrations of slender piezoelectric beams are considered. The peculiarity of the piezoelectric beam model is the modeling of electrodes in such a manner that is does not fulfill the equipotential area condition. The case of ideal, perfectly conductive electrodes is a special case of our 1D model. Two-coupled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re obtained for the lateral deflection and for the voltage distribution along the electrodes: the first one is an extended Bernoulli-Euler beam equation (second-order in time, forth order in space) and the second one the so-called Telegrapher's equation (second-order in time and space). Analytical results of our theory are validated by 3D electromechanically coupled FE simulations with ANSYS$^{(R)}$. A clamped-hinged beam is considered with various types of electrodes for the piezoelectric layers, which can be either resistive and/or inductive. A natural frequency analysis as well as quasi-static and dynamic simulations are performed.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extended beam theory and the FE results is found. Finally, the practical relevance of this type of electrodes is shown. It is found that the damping capability of properly tuned resistive or resistive-inductive electrodes exceeds the damping performance of beams, where the electrodes are simply linked to an optimized impedance.

Two More Radicals for Right Near-Rings: The Right Jacobson Radicals of Type-1 and 2

  • Rao, Ravi Srinivasa;Prasad, K. Siva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6권4호
    • /
    • pp.603-613
    • /
    • 2006
  • Near-rings considered are right near-rings and R is a near-ring. $J_0^r(R)$, the right Jacobson radical of R of type-0, was introduced and studied by the present authors. In this paper $J_1^r(R)$ and $J_2^r(R)$, the right Jacobson radicals of R of type-1 and type-2 are introduced. It is proved that both $J_1^r$ and $J_2^r$ are radicals for near-rings and $J_0^r(R){\subseteq}J_1^r(R){\subseteq}J_2^r(R)$. Unlike the left Jacobson radical classes, the right Jacobson radical class of type-2 contains $M_0(G)$ for many of the finite groups G.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G, $M_0(G)$ belongs to different right Jacobson radical classes of near-rings. Also unlike left Jacobson-type radicals, the constant part of R is contained in every right 1-modular (2-modular) right ideal of R. For any family of near-rings $R_i$, $i{\in}I$, $J_{\nu}^r({\oplus}_{i{\in}I}R_i)={\oplus}_{i{\in}I}J_{\nu}^r(R_i)$, ${\nu}{\in}\{1,2\}$. Moreover, under certain conditions, for an invariant subnear-ring S of a d.g. near-ring R it is shown that $J_2^r(S)=S{\cap}J_2^r(R)$.

  • PDF

선체수평진동(船體水平振動)에 있어서의 부가질량(附加質量) 3차원수정계수(次元修正係數) (Three Dimensional Correction Factors for the Added Mass in the Horizontal Vibration of Ships)

  • 김극천;유병건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6
    • /
    • 1974
  • To contribute towards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virtual inertia coefficient for the horizontal vibration of ships, three dimensional correction factor $J_H$ for the added mass of finitely long elliptic prismatic bars in horizontal vibration in a free surface of an ideal fluid are calculated. In the problem formulation Dr. T. Kumai's quasi-finite length concept[1,11,12] is employed. Now that, in Dr. Kumai's work[1] for the horizontal vibration the mathematical model was a circular cylinder, the principal aim of the authors' work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beam-draft ratio B/T on $J_H$. The numerical results of this work are shown in Fig.3 graphically, from which we may recognize that the influence of B/T on $J_H$ is remarkable as much as that of the length-draft ratio L/T(refer to Fig.1 also). In Fig.3 the curves for B/T=2.00 are of those based on Dr. Kumai's result[1].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Burril et al.[9] for the horizontal vibration of finitely long prismatic bars of various cross-section shapes a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added mass coefficients defined by combination of the authors' $J_H$ from Fig.3 and two dimensional coefficients $C_H$ obtained by Lewis form approximation for the corresponding sections. They are in reasonable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2. Finally, considering that the longitudinal profile of full-form ship's hull is well resembled to that of an elliptic cylinder and that the influences of other factors such as the sectional area coefficient and the shape of section contour itself can be well merged in the two dimensional added mass coefficient, the authors recommend that the data given in Fig.3 may be successfully adopted for the three dimensional correction factor the added mass in the horizontal vibration of hull-form ships.

  • PDF

2-Butanol, 2,2,4-Trimethylpentane, Methylcyclohexane 그리고 Toluene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101.3 kPa에서의 인화점 측정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2-Butanol, 2,2,4-Trimethylpentane, Methylcyclohexane, and Toluene at 101.3 kPa)

  • 황인찬;인세진
    • 청정기술
    • /
    • 제26권3호
    • /
    • pp.161-167
    • /
    • 2020
  • 가연성 물질을 사용하는 화학공정 산업에서 저장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및 폭발 예방 조치를 설계하려면 신뢰할 수 있는 인화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중요한 용매와 가솔린의 옥탄가 향상제로 사용되는 방향족, 나프텐 및 파라핀계 탄화수소 화합물과 알킬알코올에 대한 이성분 혼합물의 인화점 데이터를 얻는 것이다. 그래서 이성분 혼합물인 {2-butanol + 2,2,4-trimethylpentane}, {2-butanol + methylcyclohexane} 그리고 {2-butanol + toluene} 계에 대한 최소인화점을 Stanhope-Seta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을 예측하기 위해 이상성인 라울의 법칙(Raoult's law)과 비이상성인 Wilson, NRTL 그리고 UNIQUAC 매개변수를 이용하였고 실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이상성을 나타내는 라울의 법칙(Raoult's law)보다 비이상 용액 혼합물의 활동도 계수 모델에서 2.36 K 이하의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연성 혼합물을 함유한 석유화학 용매의 안전한 저장 및 공정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굴절의 법칙의 수학적 증명과 그 교수학적 의의 (The mathematical proofs of refraction law and its didactical significances)

  • 강흥규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8
    • /
    • 2006
  • 물리학에서 Snell의 법칙으로 불리는 굴절의 법칙은 수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Snell이 많은 관찰 자료를 바탕으로 굴절의 법칙 $\frac{v_1}{sin{\theta}_1}=\frac{v_2}{sin{\theta}_2$를 발견한 이후 많은 수학자들은 '최소 시간의 원리'를 사용하여 이 식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려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은 미분의 발명을 촉진한 주요한 동력 중의 하나였다. format는 자신만의 방법을 개발하여 이 문제를 최초로 해결하였으며, 이때 Format가 사용한 극대$cdot$극소 방법은 현대의 미분을 통한 방법과 유사한 것으로 이후 Leibniz의 무한소 방법의 기원이 되었다. 역사적으로 수학과 물리학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면서 과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굴절의 법칙은 이러한 수학과 물리학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 물리학은 수학에 질문을 제기하고 수학은 보편적인 원리로 그것을 해결함으로써 처음의 현상보다 더 넓은 현상까지 포괄적으로 설명한다. 수학교육의 목적은 완성된 수학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수학을 응용할 줄 아는 능력이라는 Freudenthal의 말을 생각할 때, 굴절의 법칙은 고등학교의 우수한 학생이나 대학의 수학 교육과정에 적합한 소재이다. 대학의 수학이나 물리학 전공과정에서는, 미분을 통한 현대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format의 방법(미분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원시적인 미분의 방법을 쓰고 있는)을 동시에 다루면서 양자를 비교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은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 PDF

PFC 컨버터와 DTC를 이용한 BLDC 모터의 구동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BLDC Motor Drive System using PFC converter and DTC)

  • 양오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5호
    • /
    • pp.62-7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일정 토크영역에서 승압형 PFC 컨버터와 직접토크제어(DTC) 방법을 사용하여 BLDC 모터의 구동 시스템을 DSP(TMS320F2812)로 구현하였다. 기존의 6단계 PWM 전류제어와 달리 미리 정한 샘플시간 마다 간단한 look-up 표로부터 2상 도통 모드에 대한 인버터의 전압 상태 벡터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전류파형을 만들었으며 이로부터 기존의 전류제어기보다 훨씬 빠른 토크 응답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BLDC 모터의 비 이상적인 사다리형 역기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저주파 토크변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위치 loop-up 표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역률을 보정하기 위해 승압형 PFC 컨버터를 구성하였고 이 때 전파 정류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 인덕터의 전류에 의해 평균전류모드 제어 방식으로 80 kHz마다 PWM 듀티(duty)가 조절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은 초고속 DSP의 출현으로 PFC와 DTC 알고리즘이 동시에 제어가 가능하며, 본 논문에서는 DTC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DSP의 일반 범용의 출력포트를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단지 PFC에서만 1개의 PWM을 사용하여 디지털 제어기를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DTC 알고리즘과 PFC 컨버터를 이용한 BLDC 모터 구동 시스템의 타당성과 효용성을 보였고, 실험결과로부터 PFC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는 역률이 약 0.77이었으나 PFC 컨버터를 사용하였을 때는 부하변동에 관계없이 약 0.9997로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Towards Safety Based Design Procedure for Ships

  • Bakker, Marijn;Boonstra, Hotze;Engelhard, Wim;Daman, Bart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5권3호
    • /
    • pp.1-13
    • /
    • 2001
  • Present-day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hips are almost without exemption of a prescriptive and deterministic nature. Often it is argued that this situation is far from ideal; it does no right to the advances, which have been made during the past decades in engineering tools in marine technology, both in methodology and in computational power. Within IMO this has been realized for some time and has resulted in proposals to use Formal Safety Assessment(FSA) as a tool to improve and to modernize the rule making process. The present paper makes use of elements of the FSA methodology, but instead of working towards generic regulations or requirements, a Risk Assessment Approach, not unlike a 'safety case'; valid for a certain ship or type of ship is worked out.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safely assessment procedures in ship design, in co-operation with Anthony Veder Shipowners and safety experts from Safely Service Center BV. The ship considered is a semi-pressurized-fully refrigerated LPG carrier.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that a major accident occurs, various accident, scenarios were considered and assessed, which would impair the safety of the carrier. In a so-called Risk Matrix, in which accident frequencies versus the consequence of the scenarios are depicted, the calculated risks all appeared lo be in the ALARP('as low as reasonable practicable') region. A number of design alternatives were compared, both on safety merits and cost-effectiveness. The experience gained with this scenario-based approach will be used to establish a set of general requirements for safety assessment techniques in ship design. In the view that assessment results will be most probably presented in a quasi-quantified manner, the requirements are concerned with uniformity of both the safety assessment. These requirements make it possible that valid comparison between various assessment studies can be made. Safety assessment, founded on these requirements, provides a validated and helpful source of data during the coming years, and provides naval architects and engineers with tools experience and data for safety assessment procedures in ship design. However a lot of effort has to be spent in order to make the methods applicable in day-to-day practice.

  • PDF

전북 완주군 대아리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 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와 생육특성 (The Value and Growing Characteristics of the Dicentra Spectabilis Community in Daea-ri, Wanju-gun, Jeollabuk-do as a Nature Reserve)

  • 이석우;노재현;오현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72-105
    • /
    • 2011
  • 본 연구는 전북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산1-2번지의 도유림인 속칭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를 검토하는 한편 금낭화군락지의 적정 생육환경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낭화군락지의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 및 인터넷조사를 통해 '금낭화의 형태적 생태적 특성'과 '국내 천연기념물 초본군락의 지정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는 한편 현지조사를 통해 금낭화군락의 광환경, 토양환경, 식생조건 등을 조사 분석하여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천연보호구역적 가치를 파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국내 금낭화 자생군락지를 분석한 결과, 금낭화는 전국의 산지에 고루 분포되고 있으며 이 중 완주 가막골 금낭화군락지의 서식규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낭화군락지 분포에 대한 문헌 및 현지조사 결과, 준고냉지에서 생육이 월등하며, 생육왕성기인 5월의 풍부한 강수량은 금낭화 생육에 매우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 가막골 금낭화군락지는 매우 전형적 기상여건을 보이는 서식지라 판단된다. 한편 금낭화 고밀도분포 군락의 환경 분석 결과, 전석지(轉石地) 토양을 기반으로 고도 300~375m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고도는 344.5m이고 자생지의 좌향(坐向)은 북향 또는 북서향도 포함되나 북동향(NE)이 압도적이었으며 평균 경사는 $19.5^{\circ}$로 나타났다. 또한 광조건 분석 결과, 4월부터 8월까지 생육기간인 5개월간 군락 내 광도는 평균 30,810Lux 이었으며, 생육 초기에는 낮았고 후기로 갈수록 광도는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금낭화 자생조건은 4~5월 생육기에는 약 14,000~18,000Lux 정도의 광조건이었으며, 개화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광도 증가와는 관련 없이 결실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환경 분석 결과, 토양산도(pH)는 표토, 5.2~6.1, 심토, 5.2~6.2로 거의 유사한 범위를 보였으며 표토의 평균 토양pH는 5.54, 심토는 5.58로 이 조건은 비교대상 군락지와 거의 유사하고 전형성이 큰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가막골의 토양 안정성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식생환경 분석 결과, 조사구별 금낭화의 개체수는 13~52개체까지 심한 편차를 보였으나 군락내 발견된 분류군(taxa)은 총 126종류로 순수군락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종다양성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아수목원 금낭화군락지는 금낭화, 미나리냉이, 거북꼬리, 이삭여귀, 물봉선 등이 우점하는 식물사회로 확인되었으며 군락내 식별종(Differential species)은 물봉선, 꼭두서니, 칡, 산딸기와 고추나무, 광대싸리, 개다래로 밝혀짐에 따라 지형 및 토양습도에 따라 전형적 하위군락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가막골 금낭화군락지는 탁월한 관상성을 가진 자생식물의 서식처임을 확인할 수 있고, 본 군락은 전국분포상의 금낭화 자생군락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추정되며 기상 및 지형, 토양조건과 식생환경이 군락지의 지속적인 생육 환경을 보장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서식지로 판단된다. 따라서 전형적 서식조건과 지속가능성이 큰 가막골 금낭화군락은 당연히 천연보호구역적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