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recognition factors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31초

차량 번호판 밝기 제어를 이용한 인식률 개선 방안 (Improvement Method of Recognition Rate Using Brightness Control of Vehicle License Plate)

  • 이광옥;배상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3호
    • /
    • pp.57-63
    • /
    • 2017
  • 차량번호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질의 차량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인 도로영상들은 시간, 햇빛, 날씨 등 다양한 환경의 영향을 받아 번호판 밝기가 일률적이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미지 보정 기능을 거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인식속도 저하, 인식률 저하 등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영상 촬영 시 번호판 주위의 밝기를 측정하여 카메라의 shutter, bright, gain등 이미지 밝기와 품질에 영향을 주는 각 요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빠르고 선명한 고품질의 차량 이미지 촬영하기 위해 실시간 도로 영상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을 테스트 하였다.

매칭성능 기반의 지문샘플 품질측정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Matching Performance-Based Comparative Study of Fingerprint Sample Quality Measures)

  • 김장룡;김학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25
    • /
    • 2009
  • 지문샘플의 품질은 지문인식 시스템에서 매칭 성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문인식 시스템에서 낮은 품질의 지문영상을 제거하면 인식 에러율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inutiae 기반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일 샘플 품질 측정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minutiae 기반의 지문인식 알고리즘의 매칭성능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에 대하여 검증하고, 다음, 현재 흔히 사용하는 측정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그 중 효과적인 품질측정방법들을 선택하여 NIST, QualityCheck와 Verifinger 5.0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FVC 데이터베이스로 실험한 결과 단일 측정방법도 매칭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함을 알 수 있었다.

국내 한정식 전문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ers'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in Korean Restaurants)

  • 정효선;윤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6-60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onsumers'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in Korean restaura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consumers' general characteristic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494 subjects an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subjected to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actor analysi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resulted in 4 factors: staff service (5 variables), menu quality (4 variables), price and value (4 variables) and atmosphere and convenience (5 variables). Cronbach's alpha values for the reliability were over 0.8 for all the factors. The mean value in the elicited factors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menu quality ($4.73{\pm}1.19$), atmosphere and convenience ($4.57{\pm}1.09$), price and value ($4.55{\pm}1.15$), and staff service ($4.46{\pm}1.12$).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ervice quality, which was perceived according to consumers' general characteristics. A higher mean value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shown in women than in men, in the older than in the younger, in people with a high frequency of visiting Korean restaurants than those who do so with low frequency, and in people with high cost expenditure when visiting than those with low cost expenditure. In terms of region, the mean value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for consumers in the Gwangju region than in other regions.

도시 브랜드 이미지가 도시 브랜드 인지도와 도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 김도헌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3호
    • /
    • pp.69-79
    • /
    • 2018
  • Purpose - Competition among cities around the world are rapidly shifting from competition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osts and quality of raw materials to competition between the consumption factors such as quality of life, settlement environment, culture, and place. The entry into the era of competition between consumption factors is not only attracting investment for strengthening city competitiveness, but also actively inducing urban image reconstruction and new image making. Therefore, various studies related to urban marketing are being carried ou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external citizens about Changwon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eoul and Busan citizens.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by using the AMOS program.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mong the nine hypotheses. In summary, pleasant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brand recognition. The magnanimous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ity brand recognition. In the impact of city brand image on city loyalty, magnanimous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ity loyalty. Pleasant images and dynamic imag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ity loyalty. In addition, city brand recognition positively influenced city loyalty. Conclusions - First,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re is an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n its contribu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by investigating mutual influences in urban aspect by combining place marketing with image, recognition, and loyalty. Secondly, kinetic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and dynamic image have more influence on recognition, and static images such as magnanimous images have more influence on loyalty. So,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ories.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city brand recognition and city loyalty to local cit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urban images such as pleasant image, magnanimous image, dynamic image, and good administrative image.

소스(Sauce)의 인식과 기호도 및 품질요인에 대한 평가분석 (An Evaluation of the Recognition, Preferences and Quality Factors on Sauces)

  • 김현덕;이연정;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7-209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evel of recognition, preferences and quality factors of sauces. A total of 1,340 subjects, 660 males and 680 females in the Daegu and Kyeongbuk area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respondents, 41.1% answered that they learned about the sauces from a western style restaurant. 73.4% of the respondents suggested that the taste and the quality of sauces had an influence on their preferences of western dishes. 51.2%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at sauces are mainly used when baking and broiling; it was widely known that demiglace sauce is used on steaks. The preferred colors of sauces from most popular to least popular were brown, blond, white, yellow and red. The overall favorite stock material of demiglace sauce was beef bone. Foods that were preferred to be served with sauces were found to be beef, pea seafood, fish, shellfish, poultry and cereals from most preferred to least preferred. The favorite sauces were brown stock sauce, tomato sauce, liquor sauce, and cream sauce from most preferred to least preferred. The oil and butter sauces were preferred the least. Using a scale of 1 to 5 with 5 being the highest, the respondents rated the way sauces were cooked as the most important the quality-determining factor, with a mean value of 4.31. The raw ingredi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rated 4.45. Among sensory factors, the respondents agreed taste was tha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with a mean value of 4.65. 36.0% evaluated the overall quality of sauces as good and 47.0% as ordinary when served with western dishes. 44.1%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 taste is was the topmost characteristic that needed to be improved, and that flavor and color were next in order.

  • PDF

도시 노숙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 (Factors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Urban Homeless)

  • 윤경아;노병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1호
    • /
    • pp.219-2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WHOQOL-BREF)을 사용하여 우리 사회의 대표적 빈곤층인 노숙자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어떻게 평가하며, 또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20세 이상 된 185명의 노숙자이며, 조사기간은 2003년 9월 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이었다. 연구결과, 노숙자의 삶의 질이 낮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삶의 질 하위영역별로 예측요인이 다소 다르긴 하지만,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공공부조 수급, 인지된 건강상태, 음주, 알코올중독, 거주형태, 타인의 인정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숙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주거최우선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알코올중독 문제와 노숙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를 위한 대책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VoIP 음질의 주관적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ubjective Speech Quality Measurement in VoIP)

  • 강영도;강진석;최연성;김장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79-287
    • /
    • 2001
  • 본 논문은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전송 방식인 VoIP(Voice over IP) 서비스에서의 음질의 주관적 평가에 관한 연구이다. PSNR이나 지터 갊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객관적 파라미터는 명료히 정의되어 있고 쉽게 측정되나, 그것이 이용자의 지각적 인지도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송화자 내용 발생과정에 있어서 어느 정도 완전히 표현되었는가를 나타내는 송화 품질과 음성이 전송계를 통해 수화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왜곡이나 잡음 등의 방해요인에 의해 열화 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전송 품질, 그리고 수화자가 청각에서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 송화자의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화 품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법과 그 척도를 제시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일부 치기공과 학생의 비대면 강의 서비스 품질 인식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recognition of lecture and satisfaction with its quality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 권은자;최에스더;한민수;김창희;김형미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3-65
    • /
    • 2021
  • Background: To survey and analyze awareness and recognition during a non-face-to-face lecture, and satisfaction with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Total 179 undergraduates were surveyed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zing statistics.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lecture was the highest (p=.037) while watching a recorded lecture in the theory curriculum subject.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s,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lectures appeared to be higher (p=.039) compared to non-face-to-face lectures.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non-face-to-face lecture quality included awareness of a place to conduct a class and of face-to-face delivered lecture quality,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lecture, and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ectur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a non-face-to-face lecture included a place to conduct a class, the most effective theory non-face-to-face class method, the method of having been experienced the most among non-face-to-face lecture methods, and the recognition of non-face-to-face lecture quality. Conclusions: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include combin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ctures. An efficient educational indicator will be needed to evaluate learners' assessments and opinions about online classes, followed by its application to teaching methods.

SNS 정보와 네일서비스 품질 및 만족도 관련 연구 (Study on SNS Information and Quality of Service)

  • 리순화;최성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25-235
    • /
    • 2021
  • 본 연구는 20대-50대의 네일샵 이용 여성고객 257명을 대상으로 네일샵 SNS 정보인식과 네일서비스 품질인식이 네일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설문을 시행하였다. 네일샵 SNS 정보인식을 이해도, 활용도, 충성도로 구성하였고 네일서비스 품질인식을 외적서비스, 내적서비스, 직원서비스로 구성하여 요인들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정을 진행하였다. 네일 관련 정보는 인터넷 또는 SNS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네일샵 SNS 정보인식은 SNS 이용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네일서비스 품질인식은 네일서비스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SNS 이용 만족도가 네일서비스 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체계적인 고객서비스 제공을 통한 다양한 SNS 활용은 네일샵 홍보마케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객관적인 화질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동적 폭, 노이즈, 해상도, 색재현성, 선호도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Model : Focus on Dynamic Range, Noise, Resolution, Color Reproduction, and Preference)

  • 박형주;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87-95
    • /
    • 2012
  • 본 연구는 객관적인 화질 평가 요소들과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구축하여 감상자들의 화질에 대한 선호도를 객관적 요소들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제조사들이 이해하기 쉬운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선정하고, 이와 같은 요소들을 질문하는 문항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화질 평가에 사용되는 실제 사진을 일반인들이 주로 촬영하는 장면인 인물사진으로 선택하여 실험결과의 일반화와 타당성을 추구하였다. 본 실험의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통하여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화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가 최종적인 사진의 선호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해 파악하고 화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선호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색재현력, 다이내믹 레인지, 노이즈, 해상도 순이었으며, 인물 사진 자극의 특성상 색재현력과 선호도가 가장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 수치화된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언어로 확장시켜, 선호도에 기반을 둔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와 제조사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