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초

돼지후지육 첨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스테이크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Properti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Steak Added with Pork Leg)

  • 윤문주;이재동;강경훈;박시영;주종찬;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849-856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basic data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fish steak products using olive flounder and pork leg. Olive flounder and pork leg were ground separately in a chopper. The methods used for processing were as follows. Chopped olive flounder (100 g) and other ingredients (bread crumbs, 13 g; onion, 12 g; garlic, 4 g; egg wash, 18 g; salt, 0.05 g; pepper, 0.05 g) were mixed in a chopper. The mixture was molded into a steak shape ($12{\times}7cm$) and roasted in an oven at $180^{\circ}C$ for 12 min (OF). FP consisting of a mixture of olive flounder (70 g) and pork leg meat (30 g) and OP consisting of pork leg meat alone (100 g) we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same procedure as described for OF. Various factors (viable bacterial count, chemical composition, pH, salinity, hardness value, color value, total amino acid content, free amino acid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mineral content)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nd hardness value, OP was deemed to be the most desirable, followed in order by FP and OF. There was a slight b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P and FP.

Comparison of Drying Yield, Meat Quality, Oxidation Stabi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Bone-in Shell Loin Cut by Different Dry-aging Conditions

  • Cho, Soohyun;Kang, Sun-Moon;Kim, Yun-Seok;Kim, Young-Chun;Ba, Hoa Van;Seo, Hyun-Woo;Lee, Eun-Mi;Seong, Pil-Nam;Kim, Jin-H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131-1143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rying yield, meat quality, oxidation stabi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Hanwoo beef loin subjected to different dry-aging conditions. A total of 54 Hanwoo beef loins (bone-in, $6^{th}-13^{th}$ ribs) with fat cover at 2 d postmortem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and hung in a dry-aging room at a controlled temperature ($2^{\circ}C-4^{\circ}C$), humidity (65%-85%) and air velocity (3 m/s). Four treatment conditions were tested; the respective temperature, humidity and treatment duration are as follows: T1, $2^{\circ}C$, 85%, 60 d; T2, $2^{\circ}C$, 65%, $20d+2^{\circ}C$, 75%, $20d+4^{\circ}C$, 85%, 20 d; T3, $2^{\circ}C$, 75%, $20d+4^{\circ}C$, 85%, 40 d; T4, $4^{\circ}C$, 85%, 60 d. The drying yield, total aerobic counts and fat contents increased, whereas the moisture content, meat color (CIE $L^*$, $a^*$, and $b^*$),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aging period for all treatments (p<0.05). The cooking loss (%)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until 40 d, and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1 and T4 than in T2 and T3 at 60 d (p<0.05). The water-holding capacity, pH and lipid oxid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increased during aging (p<0.05). The sensory scores for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dry-aged loin muscles increased as the aging period increased. T2 and T3 had significantly higher sensory scores and T1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for tenderness, juiciness,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at 20, 40, and 60 d for loin muscles (p<0.05).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Pork Jerky with Rice Bran Fiber

  • Kim, Tae-Hyun;Choi, Yun-Sang;Choi, Ji-Hun;Han, Doo-Jeong;Kim, Hack-Youn;Lee, Mi-Ai;Shim, So-Yeon;Paik, Hyun-Do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66-974
    • /
    • 2010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rice bran fiber (RBF) on the quality of semi-dried pork jerky (SDPJ). SDPJ was supplemented with RBF at levels of 0 (control), 1, 2, and 3%. The addition of RBF at various levels affected the composition of SDPJ except for the fat content (p>0.05). The addition of RBF at a level higher than 2% increased the protein and ash contents of SDPJ (p<0.05). The addition of RBF at various levels also affected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DPJ (p<0.05) except for water activity (p>0.05). Increased level of RBF increased the pH. The rancidity of SDPJ was increased (p<0.05) regardless of the RBF level, whereas the metmyoglobin content (%) of SDPJ was increased at a level higher than 2%. Increased level of RBF decreased the shear force (p<0.05) and the increased processing yield of SDPJ (p<0.05). Jerky made with 2% RBF scored highest for sensory properties, including color, tender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DPJ containing 2% RBF had the most acceptable quality characteristics, bu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reduce the rancidity induced by the addition of RBF.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 김경희;이상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50-756
    • /
    • 2009
  • 기능성 소재로서의 버찌분말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버찌분말을 0, 3, 5, 7 및 10%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물성은 버찌분말의 첨가에 따라 경도(hardness)는 증가하였고 검성(gumminess) 및 씹힘성(chewiness)은 감소하였다.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껍질(crust)과 빵속(crumb)에서 명도와 황색도가 감소하고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버찌 분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버찌분말첨가 머핀에서 색, 향, 맛, 부드러움, 촉촉함,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머핀의 품질 및 관능 특성, 기능성을 고려한 버찌분말 첨가량은 5% 첨가구가 최적 조건일것으로 판단되었다.

순대 제품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Effects of Additives on the Quality and Storagebility of soondae)

  • 이성갑;배남선
    • 기술사
    • /
    • 제35권4호
    • /
    • pp.62-67
    • /
    • 2002
  • Soondae is one of the traditional food in Korea.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ty of Soondae, Mulberry leaf, safflower, DF-100 and Chitosan were added and their effect on the property change of Soondae during storage periods were investiga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ximate compositions among samples. TBA value of all sample increased as storage periods and TBA value of Soondae with DF-100 was lowest during storage periods. The content VBN of Soondae with was lowest during the storage periods. Microbiology was inhibited by adding the DF-100 and Chitosan at Soondae. Adding Chitosan of Soondae was highest point ati Sensory test. 18:1 content of lipid acid composition was the highest among samples.

  • PDF

쌀 품종에 따른 쌀밥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I. 저장중 쌀밥의 풍미 및 겉모양의 변화- (Study on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s -I. Changes in Flavor and Appearance of Cooked Rices during Storge-)

  • 김종군;황진선;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09-117
    • /
    • 1987
  • 일반계(아끼바레)와 다수계(밀양 30, 태백)의 취반된 쌀밥이 온도별로 저장하는 동안 쌀밥의 풀어짐성과 냄새, 맛, 겉모양과 같은 관능적 성질이 변화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취반후의 쌀밥크기는 아끼바레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물속에서의 풀어짐성은 다수계가 아끼바레보다 높았다.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풀어짐성은 전반적으로 3시간 저장시 현저히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낮은온도$(4^{\circ}C)$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쌀밥의 냄새는 아끼바레가 단냄새와 구수한 냄새에서 다수계보다 높았으나 곰팡이냄새는 낮았다. 맛은 구수한 맛과 느끼한 맛에서는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만은 아끼바레가 높은 강도를 보여주었다. 온도별 저장에 따른 변화는 전반적으로 구수한 냄새와 단냄새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곰팡이 냄새는 오히려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맛에서도 구수한 맛과 단맛의 현저한 감소가 평가되었다. 한편 겉모양에서는 아끼바레가 다수계보다 윤택하였으며 이러한 성질은 저장하면서 서서히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급여가 돈육의 조직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 이정일;최진성;박준철;문홍길;김영화;박종대;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49-357
    • /
    • 2001
  • 실험동물에서 항암성, 항산화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 후기사료에 2주간 급여하여 비육돈 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출하체중이 105~110kg으로 되도록 비육말기 사료를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 2주전부터 사료회사로부터 구입한 사료의 지질원에 대하여 CLA를 4% 첨가하였으며, 처리구 2는 8%, 처리구 3은 12% 첨가하여 급여한 후 일괄적으로 도살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대조구와 CLA 급여구간의 품질평가를 하기 위해 돈육의 육색,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돈육의 등심과 삼겹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3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육색(L*, a*, b*),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분석 결과 대조구와 CLA 급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대조구와 CLA 급여구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는 CLA를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생산된 돈육이 소비자 구매 지표인 육색과 조직감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관능적 특성 변화에 CLA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육색의 변화와 조직감 변화 결과가 뒷받침해 주며, CLA 급여로 인한 이취나, 불쾌취가 발생되지 않아 상품적 가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 PDF

냉동건조보호제가 우유 또는 난백분말로 만든 젖산균발효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e Drying Protectant on Quality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Food Prepared from Milk or Egg White Powder)

  • 고영태;강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81-88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냉동건조에 의한 생균수 감소를 줄이기 위하여 첨가된 냉동건조보호제(Freeze Drying Protectant : FDP)가 우유 또는 난백분말로 만든 젖산균 발효식품의 품질(관능적 특성, 휘발성 향기 성분,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우유시료에는 0.2%의 Tween 80과 1%의 ascorbate를 각각 첨가하고, 난백분말시료에는 3%의 raffinose와 1%의 ascorbate를 각각 첨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냉동건조시키지 않은 시료의 관능적 특성은 표준시료(우유시료)와 비교하여 ascorbate 첨가 우유시료는 관능적 특성이 다소 우수하였으나, 난백분말시료 또는 FDP 첨가 난백분말시료는 관능적 특성이 다소 저조하였다. (2) 냉동건조 후 복원시킨 시료의 관능성은 표준시료(우유시료)와 다른 5종의 시료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3) Ascorbate 첨가 우유시료는 냉동건조/복원에 의하여 관능적 특성이 저하되었고, ascorbate 첨가 난백분말시료는 냉동건조/복원에 의하여 관능적 특성이 변화하지 않았다. (4) 휘발성 향기 성분의 분석 결과를 보면, 냉동건조에 의하여 모든 휘발성 향기 성분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우유시료군과 난백분말시료군 사이에는 회수율이 다소 다른 pattern을 보였다. (5)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우유시료군과 난백분말 시료군의 휘발성 향기 성분 함량은 냉동건조 전에는 차이가 비교적 컸으나, 냉동건조/복원한 후에는 차이가 비교적 작았다. (6) 냉동건조에 의하여 우유시료군의 물성은 크게 변화하였으나, 난백분말시료군의 물성변화는 비교적 작았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복어육의 이화학적.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ochemical.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Fillet under Storage Conditions)

  • 문승권;박종희;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05-219
    • /
    • 2012
  • 본 연구는 저장조건을 달리한 복어육의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복어육의 식품학적 품질특성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VBN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부패가 진행되어 색에 대한 평가가 감소하게 되며, 어취가 증가하게 되어 냄새에 대한 평가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촉감에 대한 평가 또한 감소하게 된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4^{\circ}C$에서 8-12시간 저장한 어육, $12^{\circ}C$에서 4-8시간 저장한 어육, $20^{\circ}C$에서 4시간 저장한 어육의 관능적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고 나타났다. 복어육의 이화학적,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의 상관관계에서 명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에 대한 평가는 감소하게 되는데, 기계적인 특성과 관능적 평가에 있어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게 되어 색에 대한 평가 또한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황색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에 대한 평가가 감소하였다. 경도는 단단함이 증가 할수록 손으로 느끼는 촉감이 좋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시간이 경과함에 탄력성은 감소하게 되고 촉감에 대한 평가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검성이 증가하여 촉감에 대한 평가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 착즙액 첨가 Curd Yoghurt의 관능성 및 저장성 (Sensory Property and Keeping Quality of Curd Yoghurt Added with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ey) Extract)

  • 고진경;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2-199
    • /
    • 2005
  • 비파 착즙액을 첨가한 curd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하여 비파 착즙액을 농도별$(10\%,\;15\%,\;20\%)$로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의 관능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비파 착즙액 첨가구가 향미, 단맛, 신맛,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 있어서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파 착즙액 $15\%$ 첨가구와 $20\%$ 첨가구의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15\%$ 첨가구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올리고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맛, 신맛, 후미, 전체적 인 기호도 등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20\%$$25\%$ 첨가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비파 착즙액 $15\%$ 첨가 curd yoghurt를 무첨가구와 함께 $4^{\circ}C$$20^{\circ}C$에서 31일 동안 저장한 결과 생균수의 경우 $4^{\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8.12\times10^8 CFU/mL$, 무첨가구는 $7.01\times10^8CFU/mL$이었고, $20^{\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6.43\times10^8 CFU/mL$, 무첨가구는 $4.78\times10^8CFU/mL$로 비파 착즙액 첨가 curd yoghurt의 유산균수가 약간 높게 유지되었고, $4^{\circ}C$의 저장 온도에서 $20^{\circ}C$보다 높은 유산균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pH 4.23, 척정산도 $0.97\%$, 무첨가구는 pH4.36, 적정산도 $0.93\%$이었고, $20^{\circ}C$에서는 비파 착즙액 첨가구는 pH 3.72, 적정산도 $1.42\%$, 무첨가구는 pH 3.75, 적정산도 $1.37\%$로 비파 착즙액 첨가구와 무첨가구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하는 동안 비파 착즙액 $15\%$ 첨가구의 pH와 적정산도가 yoghurt의 바람직한 pH와 적정산도의 범위에 대체적으로 일치하여 유지되었다. 따라서 비파 착즙액 $15\%$와 올리고당 $20\~25\%$를 첨가하여 제조한 curd yoghurt는 저장성과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한 상품적 가치가 인정되는 새로운 기능성 신제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