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drat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127-134
    • /
    • 2002
  •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영일만 내,외해역에서 조하대 해조군집 구조의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Yeongil Inner and Outer Bay)

  • 유종수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65-369
    • /
    • 2003
  •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the subtidal zone, Yeongil Bay area were studied. The number of algal species in the quadrats were identified totally 78: 2 Cyanophyta, 10 Chlorophyta, 19 Phaeophyta, and 47 Rhodophyta.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biomass were Sargassum hornerii,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thunbergii. Vertical distribution was clear by the representative algae such as,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horneri, Corallina spp. in the upper subtidal zon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horneri, Caulerpa okamurae in the middle zone, and Dictyopteris divaricata in the lower zone.

야초지 식생의 상관분석 (Interspecific Association on a Native Grasslands)

  • 박봉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1권1_4호
    • /
    • pp.1-6
    • /
    • 1978
  • 광농의 야초지 식생에 100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출현종을 조사한 결과 96종이 기록되었으나, 5개의 방형구 미만에서 출현한 종은 제외시키고, 40종만을 대상으로 삼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간의 유연관계를 Agnew의 방법으로 처리하여 식물군집을 Group I, II, III 와 3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다. 2) Goodall의 제층분류법에 의해 Group A,B,C,D,E,F 인 6개의 식물군집을 얻었다. 3) (1)에서 얻은 Group I,II,III 을 (2)의 A,B,C,D,E,F 와 대응시켜 빈도의 총합을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백두산 달문주변 고산초원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Alpine Grassland at Dalmon on Mt. Paektu)

  • 이희선;박헌우;임영득;이성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2호
    • /
    • pp.541-547
    • /
    • 1998
  •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alpine grassland at Dalmoon on Mt. Paektu were investigated on July 24, 1997 by 1 m ${\times}$ 1 m quadrat method.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on this alpine grassland was 36 taxa belonging to 17 families, 35 genera, 29 species, 3 subspecies, 4 varieties. Te leading families were Compositae (7 taxa) and Gramineae (4 species), and the forb was more than the grass. Four dwarf shrubs which were Salix metaformosa, Dryas octopetala var. asiatica, Rhododendron aureum and Vaccinium vitis-idaea were found at the studied sites. This alpine grassland was composed of 17 communities, Astragalus uliginosus, Sanguisorba sitchensis, Deschampsia caespitosa were dominated over 18, 5 and 4 quadrats, respectively.

  • PDF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eutzia paniculata Nakai, as an Endemic Plant Species in Korea)

  • 정지영;피정훈;박정근;정미진;김은혜;서강욱;이철호;손성원
    • 생태와환경
    • /
    • 제49권1호
    • /
    • pp.31-41
    • /
    • 2016
  • 꼬리말발도리는 한반도 특산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개체군 및 자생지 특성, 그리고 이것에 기초한 종 보전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꼬리말발도리를 대상으로 종 분포 및 생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의 분포 특성은 문헌, 표본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참고하였다. 현장 조사는 6개 지역에서 11개의 대방형구 ($15{\times}15m$)와 33개 소방형구 ($5{\times}5m$)의 자생 집단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개체군 특성으로 풍부성(밀도, 피도), demographic 속성 (개화율 및 결실율)이 조사되었으며, 자생지 특성으로 식생 (구조 및 종조성), 임내광량 (광량, 수관열림도) 및 토양 (온 습도, 이화학 속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는 경상도 (강원도 태백 포함)가 분포 중심이었으며, 넓은 해발 분포 범위 (평균 493 m, 및 해발 290~959 m 범위)를 나타내었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평균 사면경사는 $16^{\circ}$ ($7{\sim}35^{\circ}$ 범위)이었으며, 주로 너덜 계곡 입지 및 그곳과 접한 사면하부에 분포하였다. 꼬리말발도리 개체군의 소방형구 ($5m{\times}5m$) 내에서 평균 12.5개체가 출현하였고, $m^2$당 평균밀도는 0.5를 보였다. 평균 개화율은 15%로 낮은 개화율을 보이며 영양생식에 의한 번식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조사구 수준 식물상은 138분류군이었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식생은 너덜 입지환경을 잘 반영하는 층층나무 (중요치 25.5%) 및 물푸레나무 (중요치 15.8%)가 우점하는 서식지로 나타났다. 층층나무 유형은 급경사 지역, 그리고 물푸레나무 유형은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 분포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꼬리말발도리는 인간 활동보다는 범람과 같은 자연 교란, 기후변화 및 진화 생태학적인 요인에 의해 개체수의 변동이 예상되는 종으로 판단되며, 개체군 및 자생지의 지속성을 위협하는 뚜렷한 증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

하천환경의 자연성 평가를 위한 식생지표의 개발 (Development of Vegetation Indicator for Assessment of Naturalness in Stream Environment)

  • 전승훈;채수권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6호
    • /
    • pp.384-401
    • /
    • 2016
  • 본 연구는 하천환경평가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식생 평가 지표 및 평가 기준의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5개 시험하천을 대상으로 68개의 평가단위에서 총 204개의 식생 표본조사구를 설정하였으며, 표본조사구별 상관-종조성 수준에서 식생군집의 분류 및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현존식생도를 기준으로 식생자료의 분석을 통해 표본조사의 적정 규모, 식생 지수의 점수 기준, 식생 군집분류의 표준화, 그리고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를 위한 종합 점수기준을 검토하였다. 하천 식생 평가를 위해 개발된 식생 다양도 지수와 식생 복잡도, 그리고 식생자연도 지수로 이루어진 식생평가지표의 종합점수 산정 및 등급화는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에 대한 식생지수의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식생자연도 지수가 다른 지수에 비해 보다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세부 식생지수 사이의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성립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의 기준의 재검토 및 식생군집 분류의 표준화 작업 등을 통해 개정된 기준을 적용한 결과 식생평가등급 간 변별력이 크게 확보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하천구간의 유형에 따른 식생 지수 및 식생평가지표의 등급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림의 버섯의 다양성,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 (Diversity, Production and Nutrients Concentration of Mushrooms in a Pitch Pine Forest)

  • 남궁정;문형태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197-204
    • /
    • 2007
  • 2000년 3월부터 2000년 11월까지 공주시 근교의 리기다소나무림에서 계절별 버섯의 출현종과 종별 개체수, 생산량 및 영양염류 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영구방형구 내에 출현한 종은 총 32종류이었다. 버섯은 6월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9월에 종다양성과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월별 우점종은 6월과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은 갈색털꾀꼬리버섯 이었으며, 10월에 젖버섯아재비버섯을 끝으로 더 이상 출현하지 않았다. 연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인 버섯은 갈색털꾀꼬리버섯이었다. 버섯의 연간 생산량은 12.13kg $Dwha^{-1}yr^{-1}$으로 조사되었으며, 8월과 9월에 각각 3.95, 6.92kg $Dwha^{-1}$로 전체 생산량의 95%이상을 차지하였다. 월별 생산량이 많은 종은 7월에는 밀버섯, 8월과 9월에는 갈색털꾀꼬리버섯이었으며, 최대 생산량을 보인 버섯은 갈색털꾀꼬리버섯으로 전체 생산량의 27.1%를 차지하였다. 버섯의 평균 영양염류 함량은 때, N, P, K, Ca 그리고 Mg가 각각$38.81{\pm}4.82,\;0.90{\pm}0.44,\;28.41{\pm}7.81,\;0.24{\pm}0.16,\;0.76{\pm}0.26mg\;g^{-1}$으로 Ca과 Mg을 제외하고는 주변의 낙엽이나 토양보다 훨씬 높은 값이었다. 버섯을 통해 연간 임상에 축적되는 영양염류의 양은 N, P, K, Ca그리고 Mg가 각각 463.41, 10.26, 345.21, 3.14, $8.99g\;ha^{-1}yr^{-1}$이었다.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and a Ridge Forest at Mt. Gaya Area)

  • 박인협;조재창;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2-50
    • /
    • 1989
  •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인사-두리봉 동측 계곡부(해발 600~1,000m)에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63개 조사구 국일암-가야산 정부 능선부(해발 700m~1,430m)에 해발고에 따라 38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계곡부 전체의 군집형은 신갈나무-조록싸리군집이었으며, 능선부는 소나무, 신갈나무-진달래군집이었다. 계곡부와 능선부의 유사도지수는 38.2%이었다. 계곡부 전체의 종다양도는 1.3402m 능선부는 1.0098이었다. 식생천이는 소나무, 잣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서어나무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계곡부의 사면 하부에서 상부로 감에 따라 상대우점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갈참나무, 진달래, 조록싸리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서어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계곡부와 능선부에서 모두 신갈나무의 상대 점치는 증가하는 반면, 소나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곡부에서는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상층 밀도, 관목층 밀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출현종수, 종다양도는 해발고와 사면 부위가 높아짐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다. 계곡부의 사면 상, 중, 하부간 유사도지수는 66.6~69.2%,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25.9~79.8%로써 사면 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능선부에서는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상층 밀도, 흉고단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다양도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능선부의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27.9~98.2%이었다.

  • PDF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전영문;이호영;권재환;박홍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5-577
    • /
    • 2019
  •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geq}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1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 J자형의 분포를 보였다. 분비나무의 연평균 비대생장은 0.96~1.73mm/year 였으며, 활력도가 감소 추세를 보인 귀때기청봉2,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서 비대생장은 대체로 생장이 저하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향후 모니터링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식생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리산 아고산대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 및 침엽수의 직경과 연령분포 (Community Structure, and Size and Age Distribution of Conifers in Subalpine Korean Fir (Abies koreana) Forest in Mt. Chiri)

  • 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415-424
    • /
    • 1994
  • Community structure, size and age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of the subalpine Korean fir (Abies koreana) forest at the elevation of 1, 400~1, 700m were strudied in the north-west side of Chonwangbong Peak (1915m) in Mt. Chiri for the purpose of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pulation dynamics of Abies koreana. Eight 20m X 20m permanent quadrats were established in 1991, and trees $\geq$ 2.5cm DBH for all species were marked with numbered aluminum tag, and saplings of Korean fir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were also tagged with aluminum sheet. These two conifer species comprised more than 60% of the total density and total basal area of the community. Quercus mongolic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were subdominats. Oridination study showed that cool temperate species such as Sorbus commixta, Betula costata, Acer tschonoskii and Acer ukurunduense occurred in close association with Abies koreana and Pinus koraiensis. Major tree species, especially Abies koreana and Pinus koraiensis, were well represented in samller size classes, indicating that they were regenerating well. Age distributuion of the Abies koreana and Pinus koraiensis showed that the former has longer physiological longevity than the latter, and that establishment were episodic and varied with sites, which impli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natural and artificial disturbances in this Abies kireana for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