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4490/ALGAE.2003.18.4.365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Yeongil Inner and Outer Bay  

Yu,Jong-Su
Publication Information
ALGAE / v.18, no.4, 2003 , pp. 365-3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the subtidal zone, Yeongil Bay area were studied. The number of algal species in the quadrats were identified totally 78: 2 Cyanophyta, 10 Chlorophyta, 19 Phaeophyta, and 47 Rhodophyta.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biomass were Sargassum hornerii,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sum thunbergii. Vertical distribution was clear by the representative algae such as,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horneri, Corallina spp. in the upper subtidal zone,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horneri, Caulerpa okamurae in the middle zone, and Dictyopteris divaricata in the lower zone.
Keywords
benthic marine algae; community structure; subtidal zone; vertidal distirbution; Yeongil Ba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영환. 1983. 한국 조간대 해조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75 pp.
2 남기완, 김영식, 김영환, 손철현. 1996. 한국 동해 연안역의 저서 해조류: 해조상, 분포 및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29: 727-743.
3 유종수 2003.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 420-425.
4 이순열, 이재완, 이해복. 1997. 동해안 영일만 그 주변 지역의 해조상. Algae 12: 303-311.
5 이용필, 강서영. 2001.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출판부, 제주. 662 pp.
6 이인규, 김훈수, 고철환, 강제원, 홍성훈, 김일회, 부성민. 강영철. 1984. 한국연안해역의 저서생물군집에 관한 연구 II. 동남연안의 군집구조에 관한 성정정량적 분석.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보 9: 71-126.
7 이재완. 1991. 한국 동해안 조간대의 해조류 군집구조와 지리적 분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10 pp.
8 Kim K.Y., Choi T.S., Huh S.H. and Garbary D.J. 1998. Seasonal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subtidal benthic algae from Daedo Island, southern Korea. Bot. Mar. 41: 357-365.   DOI   ScienceOn
9 Lee H.B. and Oh Y.S. 1986. A summer algal vegetation in You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1: 225-240.
10 이재완, 이해복. 1988. 동해안 영일만 일대의 해조상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3: 165-182
11 Chung H., Lee H.-J. and Lee I.K. 1991. Vert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on Gallam rocky shore of the mid-east coast of Korea. Korean J. Phycol. 6: 55-67.
12 이해복, 오윤식. 1986. 동해안 영일만의 하계 해조군집. 한국조류학회지 1: 225-240.
13 Terawaki T., Hasegawa H., Arai S. and Ohno M. 1998. Technical view of seaweed forest formation in Japan. The 1st Joint Meeting of the CEST Panel of the UJNR 21: 1-11.
14 김훈수, 이인규, 고철환, 김일회, 수배영, 성낙길. 1983. 한국 연안 해역의 저서생물 군집에 관한 연구 1. 안인진의 저서생물 군집 구조.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보 8: 71-108
15 유종수, 천병수, 김남길. 2001. 해조류 내 Na+ 챈널 차단 생리활성 물질의 측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9: 107-112.
16 서영완, 유종수. 2003. 부산 연안 해조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스크리닝. Ocean Res. 25: 129-132.   DOI   ScienceOn
17 Yoo J.S. 2003. Community dynamic of benthic marine algae at the intertidal and subtidal rocky shore of Samyang, Jejudo Island. Algae 18: 301-309.   DOI   ScienceOn
18 Kim N.-G. and Yoo J.S. 2003.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marine Forest. 2. Population dynamics of Ecklonia stolonifera as submarine forest-forming component. Algae 18: 295-299.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