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ethroid pesticid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7초

Gas chromatograph-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한 식육 중 잔류농약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ction method for pesticide residues in meat by gas chromatograph-mass selective detector)

  • 홍인석;최윤화;권택부;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5-29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raction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ochlorine, organophosphorus and synthetic pyrethroid pesticide residues in beef fat by gas chromatography-mass selective detector(GC-MSD). Twenty one pesticide residues in fat were determined using a simple and rapid procedure based on solid- phase extraction(SPE) clean-up cartridges with octadecyl $(C_{18})-bonded$ porous silica, florisil, $10\%$ deactivated florisil. a tandem $C_{18}$ and florisil and a tandem $C_{18}$ and $10\%$ deactivated florisil. Solvent-solvent extraction using acetonitrile was not satisfied to eliminate fat interference for pesticide residue analysis by GC-MSD, and the recoveries of the method in fat ranged from 16.2 to $57.3\%$ except DDT$(83.2\%)$. The recoveries of SPE methods using a tandem $C_{18}$ and Florisil was $59.6\~123.8\%$ except fenitrothion $(135.2\%)$. the SPE method was verified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of pre-treatment for pesticide residues analysis in fat by GC-MSD. The efficiency of florisil deactivated with $10\%$ water has been not proved significantly on recoveries of pesticide residues in fat.

급성 농약 중독환자에서 호흡 부전 발생의 위험 인자 (Risk Factors to Predict Acute Respiratory Failure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 조남준;박삼엘;이은영;길효욱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6-122
    • /
    • 2020
  • Acute respiratory failure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to predict respiratory failure in these patients. This study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failure among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intentional poisoning by pesticide ingestion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Paraquat intoxication was excluded. Among 469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39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espiratory failure rate was 30.4%. The rate of respiratory failure according to the type of pesticide was carbamate (75.0%), organophosphate (52.6%), glufosinate (52.1%), glyphosate (23%), pyrethroid (8.9%), and others (17%). The mortality was 25.6% in the respiratory failure group. The risk factors for respiratory failure were old age, low body mass index, and ingestion of more than 300 mL. In conclusion, respiratory failure is a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esticide poisoning. Old age, low body mass index, and ingestion of more than 300 mL are the risk factors for predicting respiratory failure.

시설 고추와 오이, 과수 재배 농업인의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 살충제 노출 수준과 관련 농작업 특성 (Exposure Level to Organophosphate and Pyrethroid Pesticides and Related Agricultural Factors in Chili and Cucumber Cultivation among Greenhouse and Orchard Farmers)

  • 김신아;노상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0-297
    • /
    • 2017
  • Objectives: We assessed pesticide exposure levels according to cultivation and crop type and investigated agricultural factors related to exposure. Methods: The participants, 341 male and 127 female farm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cultivation crop type: chili greenhouse, cucumber greenhouse, and orchard. We collected questionnaire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agricultural factors, and spot urine. Pesticide exposure was examined using four organophosphate and four pyrethroids urinary metabolites: dimethylphosphate, dimethylthiophosphate, diethylphosphate, diethylthiophosphate, Cis and Trans-3-(2-2dichlorovinyl)-2, 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3-phenoxybenzoic acid (3-PBA), Cis-3-(2-2dibrmovinyl)-2, and 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Each metabolite was summed ${\Sigma}DAP$ and ${\Sigma}PY$ according to the chemical class. Results: Urinary metabolite detection rates and concentrations were similar between the greenhouse groups, but the orchard group was different. Similar 3-PBA detection rates were found in the three groups, but the geometric mean was very high in the orchard group compared to the two greenhouse groups. 3-PBA concentration in the orchard group was $4.11{\mu}g/g$ creatinine; the chili and cucumber greenhouse groups were 1.27 and $1.16{\mu}g/g$ creatinine, respectively. ${\Sigma}DA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ultivation crop type and seasonal variation, but ${\Sigma}PY$ was not relevant.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ultivation and crop type may be correlated with different pesticide types and exposure levels. Furthermore, seasonal factors were related as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organophosphate metabolites, but not for pyrethroid metabolites.

감귤원에서 초생관리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조합처리가 귤응애와 천적의 발생양상에 미치는 단기효과 (Effects of Ground Vegetation and Pyrethroid Spra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anonychus citri (Acari: Tetranychidae) and Natural Enemies in Citrus Orchard: A Short-term Effect)

  • 현승용;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55-26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감귤원에서 초생재배 유무(초생재배 W, 제초제 살포 NW)와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유무(살포 P, 무살포 NP)에 따른 귤응애의 개체군 동태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두 가지 기본적인 가설로 1) 초생재배는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천적의 정착을 높이므로 귤응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2) 합성피레스로이드계는 천적을 제거하여 귤응애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가정하였다. 관측된 천적 개체군(주로 이리응애류와 마름응애류)의 발생은 가정에 근거한 기대치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11년의 경우 NW+NP 처리구와 W+NP 처리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2012년 실험에서는 기대치와 관측치가 거의 일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약제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서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시 천적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잡초효과는 엇갈리는 결과를 보였는데, 봄-유래 여름 개체군 대비 가을 개체군의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초생재배를 하는 경우 천적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다만,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살포구에서 귤응애가 감소하는 비이상적인 결과는 귤응애의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에 대한 강한 기피성을 전제로 해석할 수 있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 Anopheles sinensis의 피레스로이드계 저항성 대립형질 분석 (Analysis of Pyrethroid Resistance Allele in Malaria Vector Anopheles sinensis from Malaria High-risk Area)

  • 최광식;이승열;황도운;김흥철;장규식;정희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86-292
    • /
    • 2016
  • 우리나라 경기북부지역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말라리아는 주로 이 지역의 우점종인 Anopheles sinensis에 의해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에 대한 방제는 주로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가 사용되고 있고 지금까지의 살충제 저항성 조사에서 지속적으로 저항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말라리아 주요 매개모기인 An. sinensis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저항성을 조사하여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의 매개모기 방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파주, 김포, 강화 세 지역에서 채집된 An. sinensis를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저항성 유전형질을 분석하였다. 파주는 동형 감수성 유전형질은 발견되지 않았고 모든 개체에서 저항성 유전형질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김포에서는 6.7%의 동형 감수성 유전형질과 93.3%의 이형 또는 동형 저항성 유전형질을 나타내었고 강화의 경우는 5.7%의 동형 감수성 유전형질과 94.3%의 이형 또는 동형 저항성 유전형질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우리나라 말라리아 위험지역인 파주, 김포, 강화에서의 말라리아 주요매개 모기인 An. sinensis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저항성은 이전 조사에서보다 매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지역의 말라리아 매개모기 방제를 위해서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저항성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요중 3-phenoxybenzoic acid 미량 분석 및 pyrethroid계 살포자 노출 평가 (Determination of 3-phenoxybenzoic Acid in Urine and Exposure Assessment of Pyrethroid Insecticides to Human Being)

  • 서종철;송재석;최홍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7-94
    • /
    • 2007
  • 본 연구는 Pyrethroid계 살충제인 deltamethrin의 작업자 노출을 평가하기 위해 약제살포 환경의 공기중 농도분석과 아울러 인체내에 흡수되어 요중으로 대사되는 산물인 3-PBA의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였고, deltamethrin과 3-PBA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3-PBA의 가수분해 최적 조건은 시료에 HCl을 첨가하여 pH1 로 조절한 후 $90^{\circ}C$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을 때 이었다. 요 시료는 Amberlite XAD-16에 흡착시킨 후 acetone을 0.1 mL $min^{-1}$의 속도로 3mL에서 최고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공기중 deltamethrin의 농도는 N.D. ${\sim}0.00079\;mg\;m^{-3}$이었고, 요중 3-PBA 농도는 $467.5{\pm}2.4\;{\mu}g\;g^{-1}$ creatinine이었다.

대전시 유통 과실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위해성 평가 (Pesticide Residue Survey and Risk Assessment of Fruits in Daejeon)

  • 한국탁;박혜진;이규승;김일중;김규섭;조성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9-285
    • /
    • 2002
  • 대전시 노은 도매 시장에서 채취한 과실류와 6종의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후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20건의 분석시료 중 70.8%가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고 그중 1.67%가 잔류허용기준치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검출 비율이 높은 시료는 사과 복숭아, 포도 등이었다. 검출된 성분에서 살충제는 유기인계, 합성 pyrethroid계, 유기염소계가 비슷한 비율로 검출되었고, 살균제에서는 특히 procymidone(dicarboximide계)과 chlorothalonil(유기염소계)의 검출비율이 높았다.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은 chlorothalonil, chlorpyrifos, fenvalerate, pocymidone, deltamethrin EPN의 순이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농작물에 대한 농약의 추정섭취량과 ADI를 비교한 결과 추정섭취량의 비율이 1.221% 이하로 나타나 그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농약 잔류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농작물인 복숭아에서 chlorothalonil, EPN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서울시 유통 건조농산물 중의 농약잔류 실태 연구 (A Study of Current Status on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Dried Agricultural Products)

  • 김복순;박성규;김미선;조태희;한창호;조한빈;최병현;김성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4-121
    • /
    • 2007
  • 서울지역에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 및 수입산 건조농산물 58건을 대상으로 다성분 동시분석방법에 따라 GC-NPD, $GC-{\mu}ECD$, HPLC-UV와 HPLC-FLD로 분석가능한 총 253종의 농약잔류량을 분석한 후 GC-MSD로 확인한 결과 총 14건의 건조농산물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24.1%의 검출률을 나타내었고, 이 중 건조 채소류의 검출률은 25.5%였다. 품목별 잔류농약의 검출률은 건조과채류, 건조엽채류, 건조엽경채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건조 과채류 중 건조고추의 잔류농약 분포가 다양하고 검출빈도가 상당히 높았다. 건조 농산물의 기준에 없는 12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순으로 검출빈도가 높았고, 특히 합성피레스로이드계 중 cypermethrin의 검출 횟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대상목적에 따라 분류하면,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선충제 순서로 검출건수가 많았다. 산지별로 보면, 국내산, 중국산 ,북한산, 미국산, 베트남산의 순서로 잔류농약의 검출건수가 많았으며, 국내산은 과채류에서 수입산은 엽경채류에서 잔류농약의 검출빈도가 높았다.

농약 중독에 의한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영향에 대한 예비 연구 (Inflammatory cytokines in patients with pesticide poisoning: a pilot study)

  • 김현준;김욱준;이동욱;정승현;조남준;박삼엘;이은영;길효욱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1
    • /
    • 2022
  • Purpose: Acute pesticide poisoning is lethal and can lead to death. A few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acute pesticide poisoning have focused on the immune system. In the current study, we preliminaril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blood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in acute pesticide poisoning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admitted from February 2021 to November 2021 with a diagnosis of intentional poisoning by pesticide ingestion. The inflammatory cytokines measured were IFN-γ, IL-1β, IL-6, and TNF-α. Results: Totally, 27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types of pesticide ingested were glufosinate (n=6), glyphosate (n=8), organophosphate (n=4), pyrethroid (n=2), and others (n=7). The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obtained were as follows: IFN-γ 2.78±8.03 pg/ml, IL-1β 2.62±2.03 pg/ml, IL-6 44.58±80.16 pg/ml, and TNF-α 11.80±15.60 pg/ml.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11.1% (3/27), and levels of IL-1β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ath group compared to the survival group.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NF-α were observed in patients with acute pesticide poisoning. IL-1β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ath group as compared to the survival group. Our results indicate the occurrence of an inflammatory response due to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by pesticide poisoning. Future large-scal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s predictors and therapeutic targets.

약용건조과실류의 잔류농약분석 (Analysis on Pesticide Residue in Medicinal Dried Fruits)

  • 이경아;강성태;김욱희;박성규;하광태;최영희;조한빈;최병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9-218
    • /
    • 2010
  • 2007~2009년 서울 강북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건조과실류 4종류에 대하여 전제 213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 농약을 분석하였다. 20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66건(31.0%)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8건(3.8%)의 시료에서 잔류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농약성분별 검출 빈도는 cypcrmethrin, fenvalerate, endosulfan, chlorpyrifos, bifenthrin 순이었다. 농약계열별 분포로는 피레스로이드계, 유기인계, 유가염소계, 다카르복시미드계 농약 순으로 검출이 높았다. 작물별 구기자(53.0%), 대추(34.9%), 복분자(7.6%), 오미자(4.6%) 순으로 검출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검출농약이 잔류하는 건조대추의 섭취로 인체에 유입될 원일 섭취 추정량으로 평가된 위해지수는 각 농약별 위해성 평가는 %ADI 값이 모두가 0.0001~0.0081%로서 인제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