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trescine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1초

Diaminododecane 자화균에 관한 연구 (제 1 보) Corynebacterium sp. DAD 2-2의 diaminododecane 자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aminododecane Utilization by Bacteria (Part 1) Studies on Diaminododecane Utilization by Corynebacterium sp. DAD 2-2)

  • Lee, Jong-Kun;Lee, Sang-Joo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5
    • /
    • 1982
  • 토양으로 부터 diaminododecane 자화균 DAD2-2주를 분리하여 검토한 결과 Corynebacterium속으로 동정되었으며 DAD2-2주의 alkane 유도체에 대한 생육특성조사에서 putrescine dihydrochloride, dodecanethiol, dodecane. laurylamine등은 탄소원으로 이용될 수 있었으나 thioanisole, decanedithiol, dicyanooctane, 1aurylcyanide, dichlorodecane등은 이용되지 못하였다. Emulgen 25ppm을 DAD배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DAD2-2주에 의한 diaminododecane 자화가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diaminododecane자화시 생성되는 중간생성물은 ethyl $\alpha$-ketoglutarate로 동정되었다. 그러나 diaminododecane을 탄소원 뿐만 아니라 질소원으로도 이용하였을 경우에 있어서는 ethyl $\alpha$-ketoglutarate와는 다른 생성물을 생성하였으며 diaminododecane 대신 glucose, putrescinc, n-dodecane을 생육기질로 이용하였을 때에도 ethyl $\alpha$-ketoglutarate와는 다른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또한 resting cell을 이용하여 alkane 유도체를 co-oxidation시키는 과정에서도 ethyl $\alpha$-ketoglutarate와는 상이한 생성물이 생성되었다.

  • PDF

Insect Ornithine Decarboxylase (ODC) Complements SPE1 Knock-Out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 Choi, Soon-Yong;Park, Hee Yun;Paek, Aron;Kim, Gil Seob;Jeong, Seong E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8권6호
    • /
    • pp.575-581
    • /
    • 2009
  • Ornithine decarboxylase (ODC) is a rate-limiting enzyme in the biosynthesis of polyamines, which are essential for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This report presents the characterization of an ODC-encoding cDNA (SlitODC) isolated from a moth species,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Lepidoptera); its expression in a polyamine-deficient strain of yeast, S. cerevisiae; and the recovery in polyamine levels and proliferation rat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insect enzyme. SlitODC encodes 448 amino acid residues, 4 amino acids longer than B. mori ODC that has 71% identity, and has a longer C-terminus, consistent with B. mori ODC, than the reported dipteran enzymes. The null mutant yeast strain in the ODC gene, SPE1, showed remarkably depleted polyamine levels; in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the levels were > 7, > 1, and > 4%, respectively, of the levels in the wild-type strain. This consequently caused a significant arrest in cell proliferation of > 4% of the wild-type strain in polyamine-free media. The transformed strain, with the substituted SlitODC for the deleted endogenous ODC, grew and proliferated rapidly at even a higher rate than the wild-type strain. Furthermore, its polyamine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ven that in the wild-type strain as well as the spe1-null mutant, particularly with a very continuously enhanced putrescine level, reflecting no inhibition mechanism operating in the putrescine synthesis step by any corresponding insect ODC antizymes to SlitODC in this yeast system.

감마선 조사가 된장 숙성중의 Biogenic Ami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Biogenic Amines Levels in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재현;안현주;김동호;조철훈;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13-716
    • /
    • 2002
  • 발효기간동안 된장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dine, spermine, histamine, tyramine 및 agmatine 등으로 총 9가지 종류이며 , 검출된 biogenic amine 중 agmatine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biogenic amine함량은 종류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발효기간 중 대부분의 biogenic amine함량이 20~60% 가량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는데, 이 중 spermine 및 agmatine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기술은 된장숙성 중의 biogenic amine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zation of the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and Gamma-Aminobutyric Acid in the Soybean Pastes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nd Lactobacillus brevis

  • Kim, Nam Yeun;Ji, Geun Eo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464-468
    • /
    • 2015
  • The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using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attractive strategy. However, some LAB may produce biogenic amines (BA), which may be of concern from the safety viewpoi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production of GABA and BA in the soybean pastes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 oryzae) FMB S46471 and GABA-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L. brevis) GABA 100. After a ripening period of 90 days, the levels of BA (putrescine, cadaverine, histamine, and tyramine) and GABA in the fermented soybean were assess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soybean pastes fermented by A. oryzae and L. brevis showed a range of 7,130-11,592 mg/kg for GABA, 178-305 mg/kg for tyramine, 139-163 mg/kg for putrescine, 7.4-10.8 mg/kg for histamine, and 7.1-7.9 mg/kg for cadaverine, whereas the soybean pastes fermented by A. oryzae only showed a range of 30-1,671 mg/kg for GABA, 0.8-189 mg/kg for tyramine, 1.3-85 mg/kg for putrescine, up to 3.6 mg/kg for histamine, and 0.2-2.4 mg/kg for cadaverin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of GABA was accompanied by the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BA, even though the production levels of histamine and cadaverine were very low. This is the first study to simultaneously characterize the production of BA and GABA in GABA-enriched fermented soybean pastes, and warrants further study to minimize the production of BA while optimizing the production of GABA.

Polyamine이 시호의 모상근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amine on Hairy Root Culture of Bupleurum falcatum L.)

  • 표병식;김영준황백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35-440
    • /
    • 1995
  • Polyamine이 Agrobacterium rhizogenes에 의해 유도된 시호(Buplerum falcatum L.)의 모상근 배양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olyamine을 처리하여 현탁배양했을 때 대조구에 비해 생체중량 과 건조중량을 모두 증가시 켰으며, 특히 spermme ($10{\mu}M, 100{\mu}M$) 처리구에셔는 약 7배 이상 증가시 켜 시호모상큰 배양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polyamine을 처리하여 시호모상근을 현탁배양한 후 내재 polyamine을 측정한 결과 putrescine($10{\mu}M, 100{\mu}M$) 처리구와 spermine ($10{\mu}M$) 처리구에서 대 조구보다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의 함량 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olyamine에 의한 ${\beta}$-glucan synthetase II 의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증 가시켰으며, 특히 spermidine(100$\mu$M)과 sperm me ($100{\mu}M$) 처리구에서는 각각 180%, 220% 정도의 효소활성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polyamine이 생장조절물질로서 시호모상근 배양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PDF

시판 간장 중의 biogenic amine의 함량 조사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Soy Sauce)

  • 김재현;박현진;김미정;안현주;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28
    • /
    • 2003
  • 국내에서 시판 유통되고 있는 9개$(A{\sim}I)$의 간장제품 중의 biogenic amine(BA) 함량을 조사하였다. 시판 간장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ne, histamine 및 tyramine으로 총 7종류가 검출되었으며, 각 제품에 따라 그 종류 및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PUT은 6 제품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가장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에서의 함량차이가 약 16 mg/kg이상으로 나타났다. 6개의 제품에서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 된데 반해 한 제품(I)에서 5종류의 BA만이 검출되었다. I 제품은 putrescine을 제외한 모든 BA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 수준을 보였으며, B 제품의 경우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되었고 함량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장의 화학적 유해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함량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저감화 연구 등이 필요하다.

Dexamethasone에 의한 생쥐 흉선의 Apoptosis에서 Polyamine의 역할 (Inhibitory Role of Polyamines in Dexamethasone-induced Apoptosis of Mouse Thymocytes)

  • 최상현;김용훈;홍기현;신경호;천연숙;전보권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3-123
    • /
    • 1996
  • 세포내 polyamine은 DNA 구조 뿐 아니라 전사과정, 세포의 성장, 분화, 및 증식 등에 간여하는 바, 배양 흉선세포의 apoptosis 을 억제한다고 한다. 따라서 dexamethasone에 의한 생쥐 흉선세포의 apoptosis 반응에 대한 polyamine의 억제작용을, polyamine 생성과 대사억제제들로 처치한 흉선세포의 일차배양실험에서 관찰하여, 그 결과를 A23187과 DHEA의 작용과 비교하였다. 1) 흉선세포 생존율이 dexamethasone, DHEA, A23187, DFMO, MGBG들에 의하여 직접 현저히 억제되며, aminoguanidine,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들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흉선세포 DNA의 분절화가 dexamethasone과 A2318T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강되어 있으며 DHEA에 의하여도 다소 증가되었으나, DFMO, MGBG, aminoguanidine,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들에 의하여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Dexamethasone에 의한 흉선세포의 apoptosis는 DHEA에 의하여 억제된 반면, DFMO, MGBG, 및 aminoguanid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Spermine은 dexamethasone과 A23187에 의한 세포생존율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A23187에 의한 세포생존율 감소는 putrescine과 spermidine에 의하여도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4) DFMO 및 MGBG에 의한 흉선세포 생존율 감소는 spermine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으나, putrescine과 spermidine에 의하여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Dexamethasone을 DFMO 또는 MGBG와 병합처치하여 나타나는 흉선세포 생존율 감소는 각각 spermine과 putrescine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나, aminoguanidine 또는 DHEA와 dexamethasone의 병합처치에 의한 생존율 감소는 polyamine 전처치에 의해 감소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polyamine이 흉선세포의 apoptosis 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이같은 억제효과의일부가 $[Ca^{2+}]_i$ 증가에 관련되는 신호전달과정과 연관될 뿐 아니라, 세포막의 polyamine transporter를 통한 polyamine 섭취가 이들의 생합성 또는 유리기능과 함께 세포내 polyamine 함량을 조정하므로, 흉선세포의 apoptosis에 억제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판 누룩으로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과 biogenic amine 생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genic Amine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Commercial Nuruks)

  • 정석태;곽희정;김순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27-734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약 탁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개량누룩 1종과 재래누룩 4종을 선발하여 막걸리를 담고, 담금 과정 중의 누룩에 따른 술덧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와 BA생성 특성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효 초기 술덧의 pH는 4.40-5.00이었으나 4일째 감소한 후 이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효 7일째의 총 산 함량은 시험구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누룩 C가 가장 많았으며, 개량누룩을 사용한 누룩 A가 가장 낮았다. 술덧의 당도는 누룩 D가 가장 낮았으며, 누룩 A는 발효 초기부터 7일까지 가장 높은 당도를 유지하였다. 발효 7일째 술덧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밝기는 누룩 A가 가장 높고, 누룩 E가 가장 낮았으나 적색과 황색은 이와 반대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술덧의 알코올 농도는 누룩 A가 가장 많았으며, 누룩 B, 누룩 C, 누룩 E, 누룩 D의 순이었으나, 휘발산은 알코올 농도가 가장 많았던 누룩 A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술덧의 효모 수와 총 세균 수는 발효 1일에 비해 7일에 감소하였다. 발효 7일째 효모 수는 가장 높은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누룩 A가 가장 많았고, 총 세균 수는 누룩 E가 가장 많았다. 술덧에서 검출된 BA는 총 3종으로 putrescine은 5종의 술덧 모두에서 발효 초기부터 검출되었으며, tyramine은 누룩 C, 누룩 D, 누룩 E의 발효 7일째에서만 검출되었고, cadaverine은 누룩 E에서만 발효 1일째부터 검출되었다. 이들 술덧의 미생물 균주의 변화를 PCR-DGGE 기법으로 살펴본 결과 발효 1일과 7일째 BA 생성량이 가장 많았던 누룩 E의 밴드가 가장 다양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이러한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 세균수는 putrescine 및 총 BA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BA와 색도(L, a, b값) 역시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막걸리의 품질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BA의 생성이 누룩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것과 함께 막걸리의 품질 관리는 누룩의 제조 단계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시금치에서 Polyamine에 의한 카드늄의 산소방출억제 경감효과 (Polyamine Alleviates Inhibition of O2 Evolution by Cd for Spinich)

  • 김태완;이주영;이용세;황선웅;윤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7-252
    • /
    • 2000
  • 카트뮴은 잎과 엽록체내 폴리아민함량을 증가시키지만 틸라코이드와 광포집체II내에서는 증가효과가 없었다. 카드뮴에 의해 새로 생합성된 폴리아민은 스트로마공간상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였다. 폴리아민은 이미 포화되더라도 틸라코이드막에 결합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엽록체내 putrescine과 spermine은 잎세포내에서 보다 각각 36배와 20배 적었던 반면 agmatine은 3.7배 적었다. 카드뮴의 산소방출 억제효과는 0.2mM spermine 첨가로 현저히 완화되었다. 폴리아민은 또한 시금치 틸라코미드에서 0.5mM 농도이하에서 산소방출을 촉진하였다. 이러한 촉진효과는 동일농도에서 단자엽보다는 쌍자엽에서 2배정도 높았다. 더욱이 쌍자엽 밀에서 상승효과는 putrescine보다는 agmatine처리에서 오히려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자엽과 쌍자엽 식물간에 폴리아민의 산소방출 과정에서 다른 효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아미노산, Polyamine 및 flavonoid 첨가가 복숭아 화분의 저온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 Polyamine, and Flavonoid on the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1-715
    • /
    • 2006
  •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개화기가 빨라 저온으로 인한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복숭아의 화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 polyamine, flavonoid 등을 첨가하여 일련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배지내 첨가물질로써 asparagine, glutamine, spermine, putrescine, kaemferol이 유효하였으며, 이들의 적정농도는 asparagine과 glutamine는 10 mM, spermine 100 mM, putrescine 1000 uM, kaemferol은 1.0 uM 이였다. 저온에서 발아율이 높았던 처리는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혼용조합이었고, 다음이 $100\;mg{\cdot}L^{-1}\;H_3BO_3+10\;mM$ glutamine 혼용조합, $100\;mg{\cdot}L^{-1}\;H_3BO_3+200\;{\mu}M$ spermine 혼용조합 순이었다. 기본배지에 치상된 ‘장택백봉’의 화분 발아율은 25.4%, '수봉' 13.9% 불과하였으나,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첨가된 배지는 두 품종 모두 대조구보다 화분 발아율이 $18{\sim}19%$ 증진되었다. 아미노산과 폴리아민 첨가에 의한 화분발아율 증진 효과는 '장택백봉' 보다는 '수봉'에서 더욱 현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