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trefactive product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2초

Effe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dministration on Fecal Microflora and Putrefactive Metabolites in Healthy Adults

  • Park, Kyu-Yong;Jung, Hwang-Yeong;Woo, Kang-Lyung;Jun, Kyoung-Dong;Kang, Jae-Seon;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57-663
    • /
    • 2002
  • Probiotics have been suggested to improve gastrointestinal health in human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administration on fecal microflora and putrefactive metabolites in humans,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4.00${\times}$10$\sub$5/ CFU/mg) was administrated to ten healthy subjects (5 men and 5 women, average age 24 years) three times a day for 2 weeks.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1st and 2nd weeks, control), during (3rd and 4th weeks), and 2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fo11owing microbial groups were evaluated in the feces: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total lactic acid bacteria, Salmonella, Clostridium, Clostridium perfringens, Eubacterium, Staphylococcus, Coliform bacteria, Pseudomunas, and Yeast. Fecal concentrations of total aerobic bacteria (p<0.05, p<0.01, 3rd and 4th weeks), total lactic acid bacteria (p<0.01, 3rd, 4th and 5th weeks), and Bifidobacteria (p<0.05, 4th and 5th week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subjects, compared to the control, from the 3rd week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products. Clostridium (p<0.01, 4th week), Clostridium perfringens (p<0.05, p<0.01, 3rd and 4th weeks), and coliform (p<0.01,5th week) were significantly reduced from the 3rd week of administration.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fecal concentrations of Pseudomonas, Lactobacillus, Eubacterium, Staphylococcus, yeast, and total anaerobes were observed. Six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concentration of all rnicroorganlsrns returned to the basal level.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from the 3rd week to 6th week of the study. Despite the absence of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putrefactive metabolites (ammonia, indole, skatole, and $\rho$-cresol) and the pH value tended to be lower during and after the test periods than the base line. These results show that this probiotic preparation is able to colonize the intestine, and suggest that it may be useful as a beneficial probiotic in humans.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Growth Responses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Bacterial Metabolism

  • Ahn, Y.J.;Kim, M.J.;Kawamura, T.;Yamamoto, T.;Fujisawa, T.;Mitsuoka, T.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0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Korean Ginseng, 1990, Seoul, Korea
    • /
    • pp.111-122
    • /
    • 1990
  • The growth responses of a variety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to extracts of Pun(1.vKy'n.ieny and five other oriental medicinal Araliaceae were evaluated in vitro and in vivo. The extracts enhanced the growth of Bifidobncterilim breve and B. longum in Media with or without carbon sources, suggesting the bifid factor (5) might be involved in the phenomenon. This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water extract of p. ginseng, the growth of 27 bifidobacteria strains belonging to B. ndolexcentium, H. longlrm, and 1. breve and B. iniuntis being greatly stimurated, whereas seven B. bifidum strains and other bacteria such as clostridia and 5.fcherirhia coli had little or no ability to utilizes it (or growth. Methanol extracts of p, ginseng were found to selectively inhibit growth of various clostridia including C. perfringens and C. Paraputrificum, bu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on other bacteria including bifidobacteria.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intake(600 mg/day for two weeks) on the fecal microflora, pH, volatile fatty acids, ammonia, putrefactive products, and -glucuronidase, -glucosidase and nitroreductase activities, and on the blood component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ammonia) were investigated using seven healthy human volunteers. The total concentration of fecal microflora including Bri'idobucterilim app. during the period of ginseng extract intake was significantly unaffected from the proceeding and sub sequent control periods. Howev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bjects having C. perfringe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ecal pH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suggesting that the intake might increase the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Other biochemical properties in fac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ammonia and triglycerid in blood were decreased with ginseng extract intake. These results may be an indi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P ginseng as an adaptogen.

  • PDF

인삼섭취가 장내세균 및 세균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ax ginseng Extract on Growth Responses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and Bacterial Metabolism)

  • Ahn, Y.J.;Kim, M.J.;Kawamura, T.;Yamamoto, T.;Fujisawa, T.;Mitsuoka, T.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53-264
    • /
    • 1990
  • The growth responses of a variety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to extracts of Panax ginseng and five other oriental medicinal Araliaceae were elraluattd in vitro and in vivo. The extracts enhanced the growth of Brifidobnnerilrm breve and B. longlim in media with or without carbon sources, suggesting that bifidus factors) might be involved in the phenomenon. This effect was most pronounced with water extract of P. ginseng, the growth of 27 bifidobacteria strains belonging to B adolescentis, B. longum, B. brim and B. infantis being greatly stimurated, whereas seven B. bifidum strains and other bacteria such as clostridia and Escherichin soli had little or no ability to utilise it for growth. Methanol extracts of p. ginseng were found to selectively inhibit growth of various clostridia including bifidobacteria. Paraputrificum, bu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on other bacteria including bifidobacteria.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intake (600 mg/day for two weeks) on the faecal microflora, pH, volatile fatty acids, ammonia, putrefactive products, and -glucuronidase, -glucosidase and nitroreductase activities, and on the blood component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ammonia) were investigated using seven healthy human volunteers. The total concentration of faecal microflora including Bifidnkaderiifm app. during the period of ginseng extract intake %twas significantly unaffected from the preceding and subsequent control peroids. However,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ubjects having C. perfringen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aecal pH valu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suggesting that the intake might increase the activity of Bifidobncterium spry. Other biochemical properties in faec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ammonia and triglycerid in blood were decreased with ginseng extract intake. These results may be an indi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p. ginseng as an adaptogen.

  • PDF

가공식품(加工食品)의 내열성부패균(耐熱性腐敗菌) 분포(分布) 조사연구(調査硏究) -(제(第) 1 보(報)) 지역별(地域別)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조사(調査)- (Study on Heat Resistant Putrefactive Spore Formers in Korean Soil and Processed Foods -Part 1. Survey on regional distribution of spore forming bacteria-)

  • 구영조;신동화;김정옥;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4-230
    • /
    • 1978
  • 통조림 및 가열보조식품(加熱保存食品)의 부패원인(腐敗原因)인 내열성부패균(耐熱性腐敗菌)에 대(對)하여 충청남도(忠淸南道) 부여(夫餘) 등(等) 전국(全國) 8개지역(個地域)의 양송용가공공장(洋松茸加工工場)을 중심(中心)으로 양송용균상퇴비(洋松茸菌床堆肥), 복토(覆土), 원료양송용(原料洋松茸) 및 살균전(殺菌前)통조림제품(製品)에 대(對)하여 일반세균(一般細菌) 및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소장(消長)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하고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140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보관(保管)하였으며 이 중에서 내열성(耐熱性)이 강(强)한 아포형성균(芽胞形成菌) 9균주(菌株)를 분리선발(分離選拔), 이들에 대(對)하여 D-value와 Z-value를 구(求)하였다. 이중 가장 내열성(耐熱性)이 강(强)한 균주(菌株)는 aerobic thermophile spore former F-10(부여지방(扶餘地方) 원료양송용(原料洋松茸) 분리(分離))으로 Z=21.1F(in M/15 phosphate buffer solution), $D_{250}=6.6\;minute$ 이었다.

  • PDF

생마 저온부패 원인세균의 분리 및 부패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a from Rotted Yam)

  • 류희영;김영숙;박상조;이봉호;권순태;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4
    • /
    • 2006
  • 본 연구는 부패 생마로부터 저온성 부패균을 분리, 동정하고 분리균의 생육특성과 다양한 효소의 부패관련성을 조사하여, 생마 저온 장기저장 및 생마 가공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저온 장기저장중의 부패생마로부터 서로 다른 13종의 저온세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생마 절편을 이용한 부패력 측정 결과 분리균주 중 YAM-10및 YAM-12균주가 저온부패에 직접적으로 관련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seudomonas cepacia 및 Pseudomonas rhodesiae 동정되었다. 이들 균주는 20$^{\circ}C$에서도 우수한 amylase, CMCase, xyla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 특히 amylase 활성은 생마 부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YAM-10 및 YAM-12균주는 양파절편을 부패시키지는 못하였으며, 4$\sim$12$^{\circ}C$의 온도에서도 생육가능하며, pH 5 이하 및 pH 10 이상에서는 생육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현재 생마의 저온 장기저장 및 부패억제를 위한 저온성 Pseudomonas sp.의 제어와 생마부패에 관련되는 효소들의 특성과 저해에 대한 연구 및 저장성, 관능성이 강화된 산장, 염장 등을 통한 생마 가공식품 개발이 진행 중이다.

쑥, 양파 및 원지가 흰쥐의 장내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gwort, Onion and Polygalae Radix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of Rats)

  • 이선화;우순자;구영조;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8-604
    • /
    • 1995
  • 원지, 양파 및 쑥을 추출물, 즙 또는 분말로 하여 기준식이에 5 및 10% 첨가하여 흰쥐에게 14일간 먹여 대장내용물에서 주요균의 변화와 ${\beta}-glucosidase$${\beta}-glucuronidase$의 효소활성 및 인돌과 volatile basic nitrogen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실험쥐들의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은 쑥의 물추출물 5% 섭취구를 비롯하여 시료 첨가구들에서 대체로 높았으나, 원지물추출물 5%와 쑥의 에탄올추출물 10% 섭취구에서는 체중이 감소하였다. 쑥의 물 또는 에탄올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익균인 bifidobacteria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clostridia와 E. coli는 낮았다(p<0.05). 그외 양파즙 10% 첨가구에서도 유익균의 증가와 유해균의 감소와 같은 유리한 균총변화를 보였다. 한편 쑥분말 5% 첨가구에서 대장내용물중 ${\beta}-glucosidase$${\beta}-glucuronidase$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해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으나, 인돌함랑과 pH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그러나 원지물추출물과 양파를 10% 첨가구에서는 ${\beta}-glucosidase$ 활성이, 쑥추출물들의 첨가구에서는 ${\beta}-glucuronidase$ 활성이 높았다(p<0.05). 인돌함량은 단백질 함량이 높은 원지물추출물과 쑥에탄올추출물 첨가구에서 높았다(p<0.05). 한편 휘발성 염기태 질소화합물의 함량은 처리구들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 PDF

초산 및 말레산을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갈변억제 및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Inhibition of Browning in Yam Fresh-cut and Control of Yam-putrefactive Bacterium Using Acetic Acid or Maleic Acid.)

  • 류희영;권인숙;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5-141
    • /
    • 2007
  • 생마의 이용성과 저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유기산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 제품을 제조하였다. 저온 부패미생물의 초기오염이 없는 생마 신선편이의 경우, 1% 농도의 초산, 구연산, 말레산 및 아스코르빈산을 각각 처리한 후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 처리구에서는 갈변 및 부패가 유의적으로 진행되었으나, 초산 및 말레산 처리구에서 우수한 갈변 및 부패 억제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억제활성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NaOCl(100 ppm), 과산화수소수(100 ppm) 및 1종 세척제(L사, 한국)처리보다 우수하였으며, 특히 초기 부패미생물이 $10^5\;CFU/g-yam$ 이상 오염된 신선편이의 경우에도 초산 및 말레산은 강력한 부패억제 및 갈변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생마의 저온 부패미생물(Pseudomonas rhodesiae YAM-12 및 P. cepacia YAM-10)을 대상으로 초산 및 말레산의 최소처리농도를 조사한 결과 $4^{\circ}C$에서는 0.1% 처리로 우수한 항균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오염되지 않은 신선편이의 경우 0.1% 처리로 유의적인 갈변 및 부패현상 없이 14일간 저온저장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저온 부패미생물의 오염이 심각하지 않은 신선편이의 경우에는, 0.1% 초산 및 말레산 처리로 $4^{\circ}C$에서 14일 장기저장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적절한 진공포장 등이 병행된다면 생마 및 근채류 신선편이 농산물의 장기간 저온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매실추출물이 발효유제품의 Shelf-life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Shelf-life of Fermented Dairy Product)

  • 최성길;오병태;박우포;이승철;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4-309
    • /
    • 2006
  • 식물성 천연항균제를 유가공설비 및 발효유제품의 항균처리제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제를 조제하여 항균특성을 검토하고 그 처리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제한 매실추출물은 유제품의 발효 및 저장유통중 부패에 관여하는 Leu. mesenteroides, B. cereus, 및 K. pneumonia, 유제품 부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Achromobacter sp.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PME $2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미생물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광범위한 범위의 열($40^{\circ}C{\sim}150^{\circ}C$)처리온도와 pH($4{\sim}10$)에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발효유제품 제조공정 설비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부패 미생물인 대장균, 곰팡이, 효모 등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변패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매실추출물의 처리농도 범위에서 젖산균의 성장을 크게 저해하지 않아, 젖산 발효공정을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었으며, 표준방법에 의하여 발효제품을 제조하여 10시간내에 산도가 1.05%에 이르렀다. 아울러, 발효유제품에 $250{\mu}g/mL$ 이하의 PME를 첨가하고 유가공품을 발효시켜 적절한 숙성기간을 거쳐 제조할 경우, 젖산균을 제외한 변패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와 향미 및 색도면에서 관능검사적으로 손색이 없으며, 선도유지기간이 확대되어 유통구조상 상품가치가 있는 발효유제품의 생산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공(加工) 식품(食品)의 내열성(耐熱性) 부패균(腐敗菌) 분포(分布) 조사(調査) 연구(硏究) 제(第)2보(報) : 내열성(耐熱性) 부패균(腐敗菌) 최적(最適) 살균(殺菌) 조건(條件) 시험(試驗) (Study on Heat Resistant Putrefactive Spore Formers in Korean Soil and Processed Foods Part 2. Study on Thermal Resistance of Selected Spore Formers in Thermal Process of Mushroom Cans)

  • 구영조;민병용;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3-156
    • /
    • 1979
  • 양송용(洋松茸) 부패부(腐敗缶)을 수집(蒐集)하고 아포(芽胞) 형성균(形成菌) 분포(分包) 조사(調査)와 anaerobic mesophiles 34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하였다. 이중 내열성(耐熱性)이 가장 강(强)한 균주(菌株) (Cl-5) 및 제(第)1보(報)(한국식품과학회지 10(2), 224 (1978)에서 실험(實驗)한 균주(菌株) (D-29)와 PA 3679를 중성(中性) 인산(燐酸) 완충(緩衝) 액용(液溶)에서 내열성(耐熱性)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Cl-5가 가장 컸으며 이들의 부패성(腐敗性)도 확인(確認)하였다. 내열성(耐熱性)이 가장 큰 Cl-5(김제(金堤) 지방(地方) 양송용(洋松茸) 재배상(栽培床) 복토(覆土)에서 분리(分離), 혐기성(嫌氣性) 중온성(中溫性) 균(菌))의 통조림 부(缶)(4 oz. piece and stem)에서의 열(熱) 저항성(抵抗性)은 $Z=21.3^{\circ}F$, D_{250}=1.8min$ 이었으며 최적(最適) 살균(殺菌) 조건(條件)은 Z=21.3일때 적정(適定) F value 8.95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