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pal stag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8초

호랑나비의 용기 동안 조직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Tissues of Papilio xuthus during Pupal Stage)

  • 신명자;김경근;임재환;정형진;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8-2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호랑나비의 용기 동안 혈림프, 지방체, 표피, 큐티클 및 중장에서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혈림프와 지방체에서 항산화효소 활성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SOD, CAT 및 GST의 활성은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GPX와 GR은 상대적으로 활성이 매우 낮으므로 곤충의 변태기 동안 항산화과정에서 이들 효소의 역할은 매우 미미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CAT의 활성은 대부분의 조직에서 용화 직후에 높은 활성을 보이며 상대적인 활성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과산화수소의 분해에는 GPX보다는 CAT가 주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PX와 GR의 활성보다는 GST의 활성이 전 조직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lipid peroxidation을 통한 항산화 과정에도 GPX보다는 주로 GST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Study of the Effects of Sodium Chloride on Segregation-Distorter Action in D. melanogaster: 4. Treatment of Sodium Chloride on the Pupal Stages

  • Chung, Yong-Jai;Kang, Moon-Ju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5-131
    • /
    • 1971
  • 초파리의 번데기 시기에 NaCl을 처리하였을때 우활율과 SD작용에 변동이 있는가를 보기 위하여 6가지 계통, 즉 SD 계통 4가지와 다른계통 2가지를 써서 6가지 농도의 NaCl사육배지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화율(즉 NaCl에 대한 저항성)은 계통간이나 NaCl의 농도간이나 다같이 매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우화율은 NaCl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 저하는 완만한 편이고 발생의 각 단계중에서 번데기 시기가 NaCl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다. 3. SD계통의 우화율은 다른 계통에 비하여 대체로 낮은 편인데, 이것은 SD계통이 NaCl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계통에 비하여 약한 것을 말한다. 4. SD작용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 k 값은 NaCl의 농도간에 유의한 차가 없으나 계통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Original-SD 계통의 k값은 Recombinant-SD계통의 k값보다 높고 또한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다. 5. NaCl은 SD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발생의 어느 단계에 NaCl을 처리하거나 관계없이 일단 우화만 되면 SD작용에는 변동이 없다.

  • PDF

초고압 동결장비와 초고압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초파리의 감간분체 형성과정의 구조분석 (Rhabdomere Formation in Late Pupal Stage of Drosophila melanogaster; Observation Using High-Pressure Freezing and Freeze-Substitution, and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 문지영;;;한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1호
    • /
    • pp.35-42
    • /
    • 2007
  • 감간분체 (Rhabdomere)가 왕성하게 형성되는 번데기시기의 Drosophila melanogaster 광수용체 세포를 고정효과가 가장 좋은 high-pressure freezing (HPF)와 freeze-substitution (FS) 기법으로 고정한 후, 초고압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1000 KV 전압에서 관찰하였다. 후박절편(250nm)의 tilting image를 통하여 광수용체 세포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세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첫째로, 감간분체의 육방정계 배열이 (hexagonal may) 서로 다른 각도로 존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 안에서 감간분체 형성의 중간 과정으로 보여지는 작은 조각의 감간분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감각분체가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 광수용체 세포의 세포질에는 최소한 세 가지의 소낭(vesicle)이 존재하였고, 이들 소낭들은 번데기 시기의 감각분체 형성을 주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들에 의하여 소낭이 감각분체 형성과 감각분체의 부분들이 모여서 감각분체를 완성되는 과정에 관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인후측선적출과 이상착색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Allatectomy (picking out of corpora allata) and abnormal colouring pupa, Bombyx mori L.)

  • 윤종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19
    • /
    • 1978
  • 곤충의 일반적인 피부조직의 색소는 물론 용체 특유의 색채에 관여하는 호르몬과 변태에 관여하는 인후측선호르몬 및 전포대상선호르몬의 연관성을 분명히 하려는 목적에서 4령기에는 포식후 48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약 12시간 간격으로 5 회에 걸친 처리구를 설정하였고 5령기에는 면기후 72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약 12 시간 간격으로 6 회에 걸쳐 4·5 령기 공히 춘·추추잠기에 걸친 처리구를 설정하였으며 상응기이후 화용전에 있어서는 7 시간 간격으로 5회에 걸쳐 인후측선을 적출하므로써 용색변화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령기초기 적출에서는 3면잠이 많이 출현했고 후기에는 4면잠이 많이 출현했다. 2) 3면잠 및 4면잠 공히 대조구에 비하여 용체 이상착색을 인정할 수 있으며 그 정도는 3면잠에 비하여 4면잠에 있어서 기하였다. 3) 대조구는 대부분 정상착색이고 1 부가 경도의 이상착색이었다. 4) Table 1 과 Table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잠기에 있어서 처리구의 경사수가 많았다. 5) 5영기 및 상족기이후 화용전에서도 인후측선 적출용체의 차색에서 그 영향력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다. 6) 결론적으로 인후측선호르몬은 용색변화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 PDF

Major Hemolymph Proteins and Vitellogenin in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 Yoon, Hyung-Joo;Mah, Young-Il;Park, Kwang-Ho;Jin, Byung-Rae;Sohn, Hung-Dae;Moon, Jae-Yu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2-86
    • /
    • 1999
  • Hemolymph proteins and vitellogenin from mulberry longicorn beetle, Apriona germari HOPE, were indentified, and their changed were analyzed during the larval-pupal-adult development and in the newly laid eggs. Thres major hemolymph proteins were observed in the hemolymph during the larval-pupal-adult development and the intensity of their proteins was clearly observed during the pupal stage. From SDS-[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molecular weights of three major hemolymph proteins were approximately 74 kDa, 78kDa and 85kDa. Vitellogenin in A. Germati appeared in the hemolymph of only abult female and is considered to be a product synthersized within 10 days after adult emergence. The molecular weight of vitellogenin was consited of a heavy subunit (165 kDa) and a light subunit (40 kDa).

  • PDF

누에의 變態에 따른 貯藏蛋白質의 出現과 分布에 관하여 (On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Storage Proteins During the Metamorphosis of Bombyx mori L)

  • Eul Won Seo;Hak Ryul Kim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
    • /
    • 1986
  • 누에의 變態期 동안 貯藏蛋白質의 出現과 번데기 시기동안 각 組織에 따른 貯藏蛋白質의 分布를 살펴보기 위해 電氣泳動法, 免疫學的 方法 및 column chromatography法을 使用하였다. 혈림프의 貯藏蛋白質은 2개로 區分이 되었고, 5령 初期부터 出現하고 있으며 지방체 단백질과도 동일한 전기영동상의 移動度를 갖고 있다. 이의 量的 變化는 終令期에는 혈림프에서 높은 濃度를 유지하다.  化後에는 脂肪體에 축적이 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특히 저장단백질-2가 암수에서 모두 두드러진 저장단백질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貯藏蛋白質은 종령 末期에는 큐리클 단백질 형성에도 관여하는 것 같으며 번데기에는 中腸도 일시적으로 저장단백질을 저장하는 것 같다. 또한 貯藏蛋白質中 저장단백질-2는 vitellogenin과 정기영동 및 면역학적으로 동일한 이동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번데기시기동안 卵黃蛋白質의 항체에 대해 항원-항체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卵形成過程에도 밀접하게 관여하는 것 같다.

  • PDF

인공사육한 침파리(Stomoxys calcitrans)용의 체장 및 체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ize and Weight of Pupae of Laboratory Reared Stable Flies (Stomoxys calcitrans))

  • 정규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8-231
    • /
    • 1983
  • 웅성불임기술을 이용한 침파리구제시 방산밀도는 야외밀도의 10배는 되어야 하기 때문에 일시적이기는 하지만 필요없이 방산되어 피해를 주는 자성충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용시기에 효과적인 성식별방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침파리의 용무게 및 크기를 조사하여 성식별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용체중과 제장은 웅충보다 자충이 무겁고 길었으며 용의 체장과 폭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2. 용의 체장과 성충의 흉폭간에도 유의성이 있었다. 3. 자웅용의 체장과 체중의 평균치는 중립수를 이용하여 성식별를 한다면 체장의 경우는 1.4배, 체중에서는 2.2배의 웅성을 취득할 수 있겠다.

  • PDF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Vitellogenin of the Bumblebee Bombus ignitus

  • Lee, Kyung-Yong;Yoon, Hyung-Joo;Lee, Sang-Beom;Park, In-Gyun;Sohn, Hung-Dae;Jin, By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8권1호
    • /
    • pp.33-40
    • /
    • 2009
  • A vitellogenin cDNA was cloned from the bumblebee Bombus ignitus. The cDNA encoding B. ignitus vitellogenin (BiVg) is 5473 bases long with an open reading frame of 1773 amino acid residues. BiVg possesses two consensus (RXXR/S) cleavage sites and has the conserved DGXR and GL/ICG motif near its C-terminu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BiVg cDNA showed significant similarity with hymenopteran Vgs (51% identity to Apis mellifera Vg, and $33{\sim}36%$ to other insect Vgs). The BiVg cDNA was expressed as a 200-kDa polypeptide in baculovirus-infected insect Sf9 cells. Northern and Western blot analyses showed the expression of BiVg in fat bodies of pupae and adults. In queens, the expression of BiVg was first detected in late pupal stage fat bodies, and secreted BiVg was also observed in late pupal stage hemolymph.

담배나방 저장단백질 SP-2의 정제 및 생화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Storage Protein SP-2 in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 정성은;채순용;김선봉;이형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8
    • /
    • 1996
  • A storage protein(SP-2) was confirmed in haemolymph during larval-pupal-adult development of tobacco burdworm(Helicoverpa assulta Guenee), and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titer of SP-2 showed a peak at mature larva, decreased gradually through the late pupal stage, and became undetectable at adult period. As the results from electrophoretic mnysis, SP-2 was confirmed to be glycolipoprotein(M.W. 332kDa) relatively stable to heat( $\leq$ 68$^{\circ}C$ ). This storage protein was determined to be a tetramer composed of a single subunit with MW of 83kDa, and the isoelectric point was 5.7.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SP-2 was characterized. It has relatively high content of methionine and histidine, whereas the contents of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relatively low.

  • PDF

배추흰나비 복안의 각막 형성 (Corneal Formation of the Compound Eye in Pieris rapae L.)

  • 김창식;김우갑;김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4호
    • /
    • pp.98-106
    • /
    • 1994
  • The corneal formation of compound eye of Pieris rapae L., which was mostly made during pupal stage, was morphologically investigated with light 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generation of the microvilli were found on the surface membranes of corneagen cells and retinular pigment cells of preommatidium after apolysis pupal cuticle. The microvilli were finally differentiated to corneal nipples of the ommatidium. The corneal cuticle was generated on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preommatidium from corneagen cells and retinular pigment cells. The corneal process was also formed under the cuticular layer from the corneagen cells. The pore canal was appeared within the cuticular layer and connected with the retinular pigment cell as if the root of interommatidial hair was connected. The interommatidial hair was projected randomly among the ommatidial facets and cornal nipple was arrayed regular on the ommatidial facets. The cornea was convex lens and the refracting power by its convex shape was 4 diop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