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nching failur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4초

수치해석을 통한 기초지반의 파괴거동 고찰 (Study on Behavior of Failure of Footing through Numerical Analysis)

  • 이승현;장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218
    • /
    • 2015
  • 세 종류의 얕은기초를 지지하는 기초지반의 하중지지거동을 살펴보고자 모래지반과 점토지반을 가정하여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띠기초를 지지하는 모래지반의 파괴영역의 형상 및 크기는 상대밀도에 따라 달랐으나 점토지반의 경우 강도에 따라 파괴영역에 차이가 거의 없으며 이론에서 고려되는 파괴영역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모래지반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하중-침하곡선의 형상을 고려해 볼 때 느슨한 모래에 놓인 기초의 경우 거의 관입전단파괴양상을 보였으며 조밀한 모래에 놓인 기초의 경우 극한하중이 뚜렷하지는 않았다. 점토지반에 놓인 기초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하중-침하량곡선의 경우 침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항복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모래지반에 의해 지지되는 기초에 대해 이론식에 의해 예측된 극한하중은 수치해석에 의한 극한하중보다 큰 값을 보였으며 점토지반에 대해 이론식에 의해 예측된 극한하중은 수치해석에 의한 극한하중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 1 인치 침하기준법에 의해 결정된 극한하중은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극한하중보다 약간 작은 값을 보여 안전측의 결과를 보였다.

Soil and ribbed concrete slab interface modeling using large shear box and 3D FEM

  • Qian, Jian-Gu;Gao, Qian;Xue, Jian-feng;Chen, Hong-Wei;Huang, Mao-So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2호
    • /
    • pp.295-312
    • /
    • 2017
  • Cast in situ and grouted concrete helical piles with 150-200 mm diameter half cylindrical ribs have become an economical and effective choice in Shanghai, China for uplift piles in deep soft soils. Though this type of pile has been successful used in practice, the reinforcing mechanism and the contribution of the ribs to the total resistance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lear guideline for the design of such piles. To study the inclusion of ribs to the contribution of shear resistance, the shear behaviour between silty sand and concrete slabs with parallel ribs at different spacing and angles were tested in a large direct shear box ($600mm{\times}400mm{\times}200mm$). The front panels of the shear box are detachable to observe the soil deformation after the test. The tests were modelled wit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in ABAQUS. It was found that, passive zones can be developed ahead of the ribs to form undulated failure surfaces. The shear resistance and failure mode are affected by the ratio of rib spacing to rib diameter. Based on the shape and continuity of the failure zones at the interface, the failure modes at the interface can be classified as "punching", "local" or "general" shear failure respectively. With the inclusion of the ribs, the pull out resistance can increase up to 17%. The optimum rib spacing to rib diameter ratio was found to be around 7 based on the observed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numerical modelling.

기계적 프레스 접합법을 이용한 A1-5052 인장-전단 시험편의 강도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Evaluation of A1-5052 Tensile-Shear Specimens Using a Mechanical Press Joining Method)

  • 임두환;이병우;류현호;김호경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58-64
    • /
    • 2003
  • A mechanical press joining was investigated in ender for joining A1-5052 sheets for automobile body weight reduction. Static tensile and fatigue tests were conducted using tensile-shear specimens for evaluation of fatigue strength of the joint. During Tox joining process for A1-5052 plates, using the current sheet thickness and punch diameter, the optimal applied punching force was found to be 32 kN under the current joining condition. For the static tensile-shear experiment results, the fracture mode is classified into interface fracture mode, in which the neck area fractured due to influence of neck thickness, and pull-out fracture mode due to influence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joining area. And, during fatigue tests for the A1-5052 tensile shear specimens, interface failure mode occurred in the region of low cycle. The fatigue endurance limit approached to 6 percents of the maximum applied load, considering fatigue lifetime of $2.5\times10^6$ cycles.

지반조건에 따른 마이크로파일 설치방법에 관한 연구 (Installation of Micro-piles Appropriate to Soil Conditions)

  • 황태현;문경련;신용석;권오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55-65
    • /
    • 2012
  • 본 연구는 지반조건에 따른 효과적인 마이크로 파일의 설치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트 또는 모래지반에서 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관입 전단파괴가 발생한 실트지반은 압축변위에 저항하도록 마이크로 파일을 엇갈리게 설치(${\theta}$ < $0^{\circ}$)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전면 또는 국부전단파괴가 발생한 모래인 경우 횡 방향 변위에 저항하도록 마이크로 파일을 경사지게 설치(${\theta}$ > $0^{\circ}$ 또는 ${\theta}$ < $0^{\circ}$)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대한 전단강도모델 (Shear Strength Model for Slab-Column Connections)

  • 최경규;박홍근;김혜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85-593
    • /
    • 2010
  •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변형률기반 전단강도모델에 근거하여, 슬래브-기둥 내부 및 외부접합부의 직접뚫림전단강도와 불균형휨모멘트강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강도모델을 개발하였다. 슬래브-기둥 접합부는 뚫림전단파괴에 앞서서 휨균열에 의해서 손상을 받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위험단면의 압축대에서 대부분의 전단저항이 발휘된다고 가정하였다. 슬래브 휨모멘트에 의해서 유발되는 압축수직응력이 콘크리트 압축대의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축응력 상태에 대한 콘크리트 재료파괴기준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위험단면의 전단성능이 휨손상의 정도에 따라서 정의되었다. 외부접합부는 비대칭적인 위험단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중재하방향을 고려하여 휨모멘트강도를 정의하였다. 실험 결과와 비교 결과, 제안된 강도모델은 현행 설계기준 보다 실험체의 강도를 더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LNG 운반선용 펌프타워의 구조해석 GUI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UI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of LNG Pump Tower)

  • 이강수;손충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05-61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LNG 펌프타워 구조물의 전용 구조해석 GUI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시스템은 펌프타워 구조물의 유한요소모델을 가장 적절한 형태로 만들어 주며, 가장 적합한 과정을 통하여 해석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해준다. 펌프타워 구조물은 LNG선의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이다. 펌프타워 구조물은 주로 카고탱크 안의 LNG가 채워져 있는 양과 선박의 운동에 의한 슬로싱(sloshing) 하중이 주가된다. 그 밖에 하중의 형태는 열, 관성, 자중 등의 세 가지에 대하여도 고려하였다. 이러한 하중들을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에 적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미국선급협회(ABS) 내의 API Unity check를 통하여 구조부재의 강도 계산과 조인트(Joint)에서의 Punching shear unity 값도 검토하여 그 건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위의 과정을 새로운 형태의 GUI로 개발하였다. 펌프타워 전용해석 툴(tool)은 Tcl/tk언어로 개발되었다. 위의 모든 과정들이 GUI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에서 전단보강체에 정창성능에 따른 영향 (The Effect of Anchorage of Reinforcement in Slab-Column Connection)

  • 최현기;김준서;이문성;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185-188
    • /
    • 2008
  •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은 펀칭전단과 같은 구조적 취약점이 있다. 펀칭전단의 저항력은 기둥단면의 증가, 슬래브 유효춤의 증가, 콘크리트 강도의 증가, 휨철근의 증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단보강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경제적, 시공적, 안정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슬래브 두께가 250mm보다 작은 슬래브에서는 전단보강체의 충분한 정착길이를 확보할수 없기 때문에 충분한 정착효과를 발휘하기 힘들다.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전단보강체의 경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의 사이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전단철근의 항복강도에 도달하기 전에 미끄러짐 파괴가 발생하였다. 정착강도의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효정착길이, 콘크리트강도, 전단철근의 직경, 정착상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 두께와 콘크리트 강도를 고려하여 제안된 보강체의 강도산정시 K factor를 제안하였다. 정착길이와 콘크리트강도를 고려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플랫플레이트 슬래브내에서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를 정확히 산정할수 있을 것으포 판단된다..

  • PDF

무량판 구조시스템 접합부의 기둥 형상비에 따른 내진 성능 평가 (Seismic Performane Evaluation of Flat Plate System Considering Column Aspect Ratio)

  • 이현호;천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74-80
    • /
    • 2008
  • 본 논문은 기둥형상비를 실험 변수로 가지는 무량판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량판 슬래브의 뚫림 전단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연구와 병행하여 진행된 연구에서 개발된 연속 절곡된 전단보강근을 적용하였다. 기둥형상비에 따른 실험체는 각각 FIS1-05(0.5), FIS1- 10(1.0), FIS1-20(2.0) 이다. 실험체의 수평방향으로 정적 수평하중을 가력 하였으며, 중력하중비에 의한 일정 수직 하중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수평 변위 및 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FIS1-05, FIS1-20와 같은 장방형 기둥을 갖는 접합부의 성능이 FIS1-10와 같은 정방형 기둥을 갖는 접합부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플랫 플레이트 외부접합부의 불균형모멘트에 관한연구 (A Study on Unbalanced Moment of Flat Plate Exterior Connections)

  • 최현기;백성우;백영수;진언식;최창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4
    • /
    • 2008
  •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다른 구조형식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인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횡하중을 받는 플랫 플레이트 구조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뚫림전단파괴에 대해 취약하다. 플랫 플레이트 구조의 외부접합부는 편심전단에 대해 비대칭형의 위험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위험단면의 길이가 내부접합부 보다 작고 중력하중과 횡하중 모두에 의해 편심전다응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뚫림전단파괴에 대해 매우 취약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플랫 플레이트 외부접합부의 실험결과와 기존 데이터를 바탕으로 ACI 318-05와 CEB-FIP MC 90의 설계기준식을 비교한 결과 편심전단응력, 불균형모멘트에 대해서 CEB-FIP식이 더 정확했고 형상비의 영향은 기둥 형상비가 큰 경우에는 기준식의 적용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력전단력비의 영향은 기준식의 제안을 만족하였으나 설계 기준에서는 단순히 중력전단비만 고려하고 있어서 다른 설계조건 변화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무량판-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 (Shear Reinforcement for Flat Plate-Column Connections Using Lattice Bars)

  • 안경수;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91-200
    • /
    • 2005
  • 무량판 구조의 슬래브-기둥 접합부는 취성적인 전단유형으로 파괴되며, 이는 전 구조물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전단보강방법으로서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전단보강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연구를 실시하여 래티스 전단보강 실험체와 무보강 실험체의 접합부 전단강도 및 연성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래티스 철근으로 전단보강한 실험체는 전단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평균적으로 강도면에서 1.37배, 연성도면에서 9.16배 증가하였다. 이는 래티스 철근이 무량판 구조의 전단보강재로서 전단강도와 연성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보강방법임을 입증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에서 접합부 전단보강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터드레일 전단보강보다 연성능력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래티스전단보강의 강도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