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4초

열대리슈마니아 핵형에 대한 열쇽, 약제 및 감마선 조사의 영향 (Influence of heat shock, drugs, and radiation on karyotype of Leishmania major)

  • Min Seo;Duk-Kyu Chun;Sung-Tae HONG;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77-284
    • /
    • 1993
  • 세계적으로 중요한 열대풍토병 병원체의 하나인 열대리슈마니아의 핵형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인자와 그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토기의 혈액을 포함한 N.N.N. 배지에서 유지하고 있는 열대리슈마니아(Leishmania major)의 promastigote를 열쇽. 약제 첨가 자외선 조사 및 감마선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고 주기변동전기영동(pulsed field gradient gel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핵형의 변동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여러 방식에 의한 열쇽과 약제 처리 및 자외선 조사에 따른 핵형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군에서는 50 Gy 이상 조사한 군에서 1 mesa base pair(Hb) 크기에 있는 염색체부터 소실되기 시작하여 방사선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250-500 Kb의 작은 염색체도 파괴되어 500 Gy 이상 군에서는 뚜렷한 염색체 분획이 없이 젤 하단 200 Kb 크기 아래 부분에 몰려 있었다. 이러한 소견은 방사선에 의하여 염색체가 불규칙하게 파손된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방사선을 300 Gy까지 조사한 충체는 계대 배양이 가능하였고. 이들은 원래의 핵형을 유지하였다. 방사선조사 후에 배양된 충체는 염색체가 파괴되지 않았거나 부분적인 손상 후에 DNA 재결합에 의해 원상회복된 것으로 판단된다. 열대리슈마니아의 핵형은 일시적인 자극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 안정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 PDF

Fusarium 균의 section Liseola에 대한 핵형 연구 (Study of Electrophoretic Karyotypes of Fusarium Section Liseola)

  • 밍병례;안미선;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2-196
    • /
    • 1999
  • Fusarium 균 중에서 section Liseola 에 속하는 8균주에 대하여 CHEF-PFGE를 이용하여 핵형을 분석비교하였다. 0.75 Mb에서 6.45Mb 크기의 DNA band가 9~13개로 분리되었고 전체 genome 크기는 38.19 Mb에서 43.22Mb 였으며 종간, 종내에서 염색체 길이 다형성을 볼 수 있었다. F. moniliforme 로부터 얻은 IGS sequence(2.6Kb), Neurospora crassa 의 chs-2 gene(2.8Kb) 과 trp-3gene(3.8 Kb)을 probe로 하여 hybridization을 통하여 이들 gene 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Discri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Sequence Typing Based on Two Housekeeping Genes and Its Comparison to PFGE Patterns

  • Suh, Dong-K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89-293
    • /
    • 2005
  • Two housekeeping genes, of Listeria monocytogenes dat and hlyA, were analyzed in a set of 28 isolates from different sources to estimate their genetic diversities. These strains were previously characterized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Complete gene sequences for dat (465 bp) and hlyA (584 bp) had sequence similarity of $99.87-100\%$ S and $99.96-100\%$ S among isolates, respectively. Also, we found that the numbers of sequence types (ST) were about 3-fold less than those of PFGE types (3 STs versus 11 PFGE types). There was, however,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PFGE patterns and phylogenetic grouping of two gene sequences among the isolates. Further studies on analyzing additional loci would increase the discriminatory power of sequence typing for L. monocytogenes strains.

  • PDF

Characterization of Multidrug-resistant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solated from Swine Sources

  • Suh Dong Kyun;Song Jae Cha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5-119
    • /
    • 2005
  • A total of 28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solated from diseased pigs and swine carcasses between 2001 and 2003 were characterized by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rofiles, PCR for detection of S. Typhimurium DT104 and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with the restriction enzyme XbaI. All but one isolate presented multidrug resistance (MDR) to more than two antibiotics tested. A total of 11 resistance profiles were observed, and two phenotypes, ST and ASSuTG,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em. Two isolates were found to be S. Typhimurium DT104 isolates by PCR, and their resistance profile did not show the DT104 typical resistance type ACSSuT, but ACSSuTGK instead. PFGE identified 11 banding patterns in dendrogram, and three main clusters (designated A to C) were represented. Interestingly, sixteen of 19S. Typhimurium isolates belonging to cluster B showed an identical band pattern.

  • PDF

VanB-vanA Incongruent VRE Isolated from Animals and Humans in 1999

  • Shin En-Joo;Hong Hyun-Gin;Ike Yasuyoshi;Lee Kyung-Won;Park Yong-Ho;Lee Dong-Taek;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453-456
    • /
    • 2006
  • 16 chicken isolates and four clinical isolates of VanB-vanA incongruent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strains without vanS were isolated in 1999.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revealed only a periph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chicken isolates and clinical isolates, but suggested clonal spread in the chicken isolates.

Laboratory Confirmation of A Suspicious Meningococcal Meningitis Death Case

  • Zhang Tie-Gang;He Xiong;Chen Li-Juan;He Jing-Guo;Luo Ming;Yang Jie;Shao Zhu-Jun;Sun Mei-Pi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457-460
    • /
    • 2006
  • A suspicious meningococcal meningitis death case was reported to the Beijing CDC. The blood specimen was analyzed via multi-PCR and MLST. 6 isolates from close contacts were analyzed via PFGE and ML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the cause of this case was identified as a serogroup A Neisseria meningitidis, which, in terms of sequence typing, belonged the ST7 group.

핵형 추적에 의한 카리니주폐포자충의 전파 양상 확인 (Transmission modes of Pneumocystis carinii among rats observed by karyotype analysis)

  • 홍성태;류진숙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83-288
    • /
    • 1992
  • 현재 국내에서 사육 공급되는 실험용 흰쥐의 계통에 따라 감염되는 Pneumocystis carinii(Pc)의 핵형이 다르 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정 핵형의 병원체를 추적하여 전파를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다른 공급처에 서 얻은 Sprague-Dawley(SD), Fisher(F), Wistar(W) 흰쥐를 여러 장소에서 사육하면서 면역억제하여 Pc를 발현시키고, 이를 순수하게 모아서 field inversion gel electrophoresis를 사용하여 염색체 분자를 분리 관찰하였다. 한 실험실(A)에서 감염을 유발시킨 F 횐쥐는 두 공급원(P, K)에 따라서 같은 실험실에서 사육하였는데도 다른 핵형을 보였다. SD 횐쥐를 M, P, S 세 군데에서 공급받아 서로 격리된 다른 사육실 세 군데에 (A, B, C) 나누어 사육한 결과 P공급원의 횐쥐를 다른 밤 A와 C에서 사육하였는데 같은 핵형(I형)을 보였고, 또한 다른 두 공급원 M과 S에서 구한 SD 계통 흰쥐를 같은 방(B)에서 사육하여 같은 핵형 (II형)을 얻었다. P에서 공급한 F 흰쥐와 M에서 공급한 W 흰쥐를 A 사육실에서 SP 흰쥐와 함께 실험한 결과, F와 SD는 같은 Pc의 핵형 (I형)을 보이고, W는 감염 5주에 B 사육실의 늰퀴와 같은 유형 (II형)을 가졌으나 7주 및 8주에는 II 유형과 I 유형의 복합형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핵형 변화의 유형으로 이들 숙주가 면역억제될 때에는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Pc가 발현되나 같은 환경 내에 다른 중감염될 숙주가 있을 경우에는 이 동물로부터 또한 감염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재성 병원체에 감염되지 않게 생산한 동물은 주위의 동물로부터 감염되는 것이 확실하며, 또한 단순하게 같은 방에서 다른 사육조(animal cage)에 사육을 하는 것으로 Pc의 전파가 일어난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면, 이 병원체가 공기를 통하여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1990년도 서 울대학교 의과대학 발전기금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 PDF

국내 시판 Salmonella gallinarum 9R vaccine의 안전성 및 면역원성 비교 (Comparison of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commercial S. gallinarum 9R vaccine)

  • 황제균;이영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7-133
    • /
    • 2009
  •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gallinarum (S. gallinarum) is the agent of fowl typhoid, and the 9R vaccine is a commercial live vaccine for the prevention of fowl typhoi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different brands of S. gallinarum 9R vaccine used in commercial laying chickens in Korea. All 9R strains originated from three different brands showed the same pattern in the biochemical and serological properties,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profil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rhamnose fermentaion, agglutination with Salmonella group $D_1$ antiserum and PFGE pattern between 9R vaccine strain and field S. gallinarum isolates. In laboratory and field trials for assesment of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9R vaccine, all of the three 9R vaccines showed the same safety in commercial laying chicken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accinated and unvaccinated control groups in mortality and the re-isolation rate of the challenge strain from the tissues (p < 0.05), and no difference by the brands of 9R vaccin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all three different brands of S. gallinarum 9R vaccine showed highly protection against mortality and organ invasion in commercial laying chickens exposed to virulent strains of S. gallinarum.

경기도내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레지오넬라균의 분포현황 및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의 유전학적 다양성 연구 (Distribution of Legionella species from water systems and genetic diversity of L. pneumophila serogroup 1 in Gyeonggi-do)

  • 이현경;박용배;황선일;김영수;박난주;박광희;윤미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56-162
    • /
    • 2017
  • 레지오넬라증은 인공수계환경이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에어로졸의 전파에 의하여 집단 발생되는 심각한 폐렴과 높은 치명률을 일으키는 호흡기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수계시설로부터 147주의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하였고, 시설별, 수계환경별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레지오넬라균 중에서 Legionella pneumophila의 검출률은 85.7%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군을 분석한 결과 L. pneumophila serogroup (sg) 1이 주로 검출되었다. Non-L. pneumophila 중에서는 L. wadsworthii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L. pneumophila sg 1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와 sequence-based typing (SBT)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2주에 대해 PFGE 분석 결과 22개의 PFGE pattern을 보였고, SBT 분석 결과 9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PFGE와 SBT 분석에서 모두 크게 3개 group으로 분류되어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SBT 유형 중 ST1이 가장 우점하였고, 2개의 새로운 유형도 찾아낼 수 있었다. SBT는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있어 균주 간의 유전학적 유형분석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오넬라증의 분자역학적 연구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Legionella pneumophila의 분자역학적 특성 (Molecular Epidemiology of Legionella pneumophila Isolated from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Korea)

  • 전수진;정지헌;승현정;김창규;진영희;오영희;최성민;채영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6-177
    • /
    • 2013
  • Objectives: The genus Legionella is common in aquatic environments. Some species of Legionella are recognized as potential opportunistic pathogens for human, notably Legionella pneumophila that causes, Legionellosis. Thus, we investigated the contamination of Legionella pneumophila on water supply systems in Seoul, including cooling towers, public baths, hospitals and fountains. Methods: The existence of 16S rRNA and mip gene of L. pneumophila was confirmed in the genome of the isolated strains by PCR. Results: During the summer season of 2010 and 2011, Legionella pneumophila were detected from 163 samples (21.1%) out of 772 samples collected. Among the 163 strains of L. pneumophila, eighty one isolates belonged to serogroup 1 (57.4%), 23 isolates were serogroup 5 (16.3%), 21 isolates were serogroup 6 (14.9%), 8 isolates were serogroup 2 (5.79%), and 8 isolates were identified in serogroup 3 (5.7%). Through PFGE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using Sfi I, genetic types of L. pneumophila were classified into five (A to E) patterns by the band similarity with excess of 70% from public baths. Conclusions: The PFGE patterns of the serotypes showed a tendency for diversity of L. pneumophila. Our results suggest the existence of serological and genetic diversity among the L. pneumophila isol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