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 test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3초

Pull-out behaviour of recycled aggregate based self compacting concrete

  • Siempu, Rakesh;Pancharathi, Rathish Kumar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1권3호
    • /
    • pp.249-259
    • /
    • 2018
  •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 in concrete is gaining much attention due to the growing need for sustainability in construction. In the present study, Self Compacting Concrete (SCC) is made using both natural and recycled aggregate (crushed recycled concrete aggregate from building demolished waste) and performance of recycled aggregate based SCC for the bond behaviour of reinforcement is evaluated.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bond lik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Mix-A, B and C), diameter of bar ($D_b=10$, 12 and 16 mm) and embedment length of bar ($L_d=2.5Db$, $5D_b$ and full depth of specimen) are the parameters considered in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to type of aggregates (natural and recycled aggregates). The mix proportions of Natural Aggregate SCC (NASCC) are arrived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IS 10262. The mix proportions also satisfy the guidelines of EFNARC. In case of Recycled Aggregate SCC (RASCC), both the natural coarse and fine aggregates are replaced 100% by volume with that of recycled aggregates. These mixes are also evaluated for fresh properties as per EFNARC. The hardened properties like compressive strength, split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re also determined. The pull-out test is conducted as per the specifications of IS 2770 (Part-1) for determining the bond strength of reinforcement. Bond stress versus slip curves were plotted and a typical comparison of RASCC is made with NASCC. The fracture energy i.e., area under the bond stress slip curve is determined. With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s, reduction in maximum bond stress is noticed whereas, the normalised maximum bond stress is higher in case of recycled aggregate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and an equation is proposed to predict the maximum bond stress of RASCC. The equation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vailable models in the literature are made use to predict the maximum bond stress and compare the present results.

비탈면 보강에 적용된 네일강화구 거동 분석 (Analysis on Behavior of Mechanical Bulb (GangWhaGu) Applied to Slope Reinforcement)

  • 정순국;이승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0호
    • /
    • pp.55-62
    • /
    • 2016
  • 매년 이상기후로 인하여 비탈면 붕괴 빈도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로 연결되어 피해규모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기술자들은 보다 나은 보강재를 개선하고 인발력이나 전단력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쏘일 네일 공법을 발전시킨 것으로 네일 선단에 강화구를 장착하여 인발저항력을 증대하고 네일과 일체된 강화구는 접촉면적을 극대화 시켜 지반-그라우트체간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비탈면 안정에 증가효과를 보인다. 보강효과를 검증하고자 일반적인 쏘일 네일과 강화구 네일의 실내인발시험과 현장실험을 통한 거동 특성과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강화구 네일의 경우 인발시험을 통해 일반 네일의 인장력과 비교하여 약 20% 증가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0.18{\mu}m$ Generic 공정 기반의 8비트 eFuse OTP Memory 설계 (Design of an eFuse OTP Memory of 8bits Based on a Generic Process)

  • 장지혜;김광일;전황곤;하판봉;김영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7-69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트리밍용으로 사용되는 $0.18{\mu}m$ generic 공정 기반의 EM(Electro-Migration)과 eFuse의 저항 변동을 고려한 8bit eFuse OTP (One-Time Programmable) 메모리를 설계하였다. eFuse OTP 메모리는 eFuse에 인가되는 program power를 증가시키기 위해 external program voltage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되지 않은 cell에 흐르는 read current를 낮추기 위해 RWL (Read Word-Line) activation 이전에 BL을 VSS로 precharging하는 방식과 read NMOS transistor를 최적화 설계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된 eFuse 저항의 변동을 고려한 variable pull-up load를 갖는 sensing margin test 회로를 설계하였다. 한편 eFuse link의 length를 split하여 eFuse OTP의 프로그램 수율 (program yield)을 높였다.

  • PDF

모자(Hat)형 보강재를 가진 복합재 패널의 제작과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Composite Panel with Hat-shaped Stiffeners)

  • 김건희;임도완;최진호;권진회;이태주;송민환;신상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31-3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모자(Hat)형 보강구조를 가진 복합재 패널을 일체성형(Co-curing), 동시접착(Co-bonding), 이차접착(Secondary bonding)의 세 가지 공법으로 제작하였다. 일체성형은 별도의 접착제 없이 프리프레그 상태의 외피와 보강재를 만들어 함께 성형하는 방법으로 다른 제작 공법에 비해 별도의 조립공정이 불필요한 경제적인 공법이다. 동시접착은 외피와 보강재 중 하나를 먼저 성형하고, 나머지는 프리프레그 상태로 먼저 성형된 구조물과 함께 성형하는 방법이며, 이차접착은 복합재 외피와 보강재를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별도로 접착하는 방법이다. 일체성형으로 보강 패널을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경화 후 내부 금형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무금형을 설계, 제작하였고, 경화 온도로 인해 고무금형에서 발생하는 팽창압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제작된 보강 패널은 3-D 측정 장비와 초음파 장비로 치수정밀도 및 내부 결함을 평가하였으며, 직접인장시험(Pull-off test)을 수행하여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GFRP Rebar로 보강된 콘크리트보의 피로 휨·부착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tigue Flexural Bonding Characteristic of Concrete Beam Reinforced with GFRP Rebar)

  • 오홍섭;심종성;강태성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01-10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철근과 같은 기계적 맞물림 현상을 활용하기 위하여 이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GFRP 보강근을 제작하여 철근대체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FRP 보강근의 부착성능을 규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많은 기존 연구자들이 부착성능에 대한 실험으로 단순 1방향(수직, 수평)인장실험으로 철근과 콘크리트 또는 FRP 보강근과 콘크리트사이의 부착특성을 고찰하여 두 재료 사이의 부착-슬립에 관한 제안식을 도출해왔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GFRP 보강근의 부착에 대한 관심이 증대대고 있는 실정이지만 피로부착에 관한연구는 미흡한 편이이어서 GFRP 보강근의 피로 연구가 필요로 하다. 본 연구에서는 BRITISH STANDARD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법에 의하여 휨 부착 시험체를 제작하여 정적 휨 부착실험 최대파괴하중의 70% ~ 90%의 하중으로 반복하중재하 후 정적실험을 통하여 GFRP로 보강된 콘크리트 피로부착 성능을 검증하였다.

Single Well Push-Pull Test를 이용한 TCE 오염 지하수의 In-Situ Bioremediation 타당성조사

  • 김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88-191
    • /
    • 2003
  • Sing]e-well-push-pull tests were developed for use in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in-situ aerobic cometabolism of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 The series includes Transport tests, Biostimulation tests, and Activity tests. Transport test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bility of solutes used in subsequent tests. These included bromide or chloride (conservative tracers), propane (growth substrate), ethylene, propylene (CAH surrogates), dissolved oxygen (electron acceptor) and nitrate (a minor nutrient). Tests were conducted at an experimental well field of Oregon State University. At this site, extraction phase breakthrough curves for all solutes were similar, indicating apparent conservative transport of the dissolved gases and nitrate prior to biostimulation. Biostimulation tests were conducted to stimulate propane-utilizing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and consisted of sequential injections of site groundwater containing dissolved propane and oxygen. Biostimulation was detected by the increase in rates of propane and oxygen utilization after each injection. Activity tests were conducted to quantify rates of substrate utilization and to confirm that CAH-transforming activity had been stimulated. In particular, the transformation of injected CAH surrogates ethylene and propylene to the cometabolic byproducts ethylene oxide and propylene oxide provided evidence that activity of the monooxygenase enzyme system, responsible for aerobic cometabolic transformations of CAHs had been stimulated. Estimated zero-order transformation rates decreased in the order propane > ethylene > propylene. The series of push-pu3l tests developed and field tested in this study should prove useful for conducting rapid, low-cost feasibility assessments for in situ aerobic cometabolism of CAHs.

  • PDF

선단확장형 쏘일네일링 공법 개발과 거동특성 분석 (The Development of End-expanded Soil Nailing Method for Ground Reinforcement and its Behavior Characteristics)

  • 문홍득;정연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9-27
    • /
    • 2013
  • 최근, 갑작스런 집중호우로 인하여 자연 및 인공사면의 붕괴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보강공 법들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쏘일네일링 공법은 시공성과 경제성 등의 이유로 그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쏘일네일링 공법은 다른 보강공법들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강재와 시멘트그라우팅과의 일종의 복합 구조체로서 지반과 그라우팅사이의 마찰력을 활용하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단확장형 쏘일네일링 공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네일 끝단에 앵커체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앵커체는 네일링 작업 중 네일 끝단에서 확개되면서 지반에 정착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네일링 시공 후 그라우팅을 하지 않은 상태와 그라우팅 후 양생이 된 경우 각각에 대해 현장인발저항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선단확장형 쏘일네일의 선단쐐기력을 분석하였으며, 거동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AFRP 보강근의 부착강도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ond Strength of AFRP Rebar in Normal Strength Concrete)

  • 최준호;박경찬;이영학;김희철;이재삼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16
    • /
    • 2009
  • 철근 콘크리트 부재에서 부착강도는 콘크리트와 보강근 사이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인발실험을 통해 AFRP 보강근의 부착강도에 대하여 실험하고, AFRP 보강근과 이형철근의 부착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묻힘 길이와 보강근의 직경이 실험의 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실험을 통해서 AFRP 보강근의 부착응력-미끌림 관계 및 파괴양상을 평가하였다. AFRP 보강근의 부착응력-미끌림 관계는 이형철근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며, 보강근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인발하중은 증가하나 부착응력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FRP 보강근의 부착강도는 이형철근의 약 5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arative Biomechanical Study of Self-tapping and Non Self-tapping Tapered Dental Implants in Artificially Simulated Quality 2 Bone

  • Baek, Yeon-Wha;Kim, Duck-Rae;Park, Ju-Hee;Lim, Young-Ju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52-58
    • /
    • 2011
  • Purpose: Modifications of implant design have been related to improving initial st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ir respective effect on initial stability between two tapered implant systems (self-tapping vs. non-self-tapping) in medium density bone using three different analytic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Self-tapping implant (GS III$^{(R)}$; Osstem Implant Co., Busan, Korea) and non-self-tapping implant (Replace Select$^{(R)}$; Nobel Biocare, G$\H{o}$teborg, Sweden) were investigated. In Solid rigid polyurethane blocks of artificially simulated Quality 2 bone, each of the 5 implants was inser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for medium-bone drilling protocol. Evaluation of initial stability was carried out by recording the maximum insertion torque (IT) and performing the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and the pull-out test. Results: The IT and RFA values of self-tapping impla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 self-tapping implant (P=.009 and P=.047, respectively). In the pull-out valu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mplants between two groups (P=.117). Within each implant system,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three different outcome variabl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sign characteristics of implant geometr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initial stability in medium bone density.

연약지반에 시공된 전주의 실물인장실험을 통한 수평변위분석 (Horizontal Displacement Analysis of Electric Pole from Full Scale Pull-Out Test in Softground)

  • 안태봉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15-126
    • /
    • 2009
  • 연약지반상에 시공하는 수많은 전주가 태풍 등의 외부하중으로 전도파괴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가위치, 근가깊이, 근가개수, 전주근입깊이 등을 달리하며 연약지반에 실물크기의 전주에 인장실험을 실시하여 전주의 수평 변위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주는 10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변위는 근가의 위치 및 수량, 전주기초의 근입깊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초기하중 재하시 상부에서 굴절된 양상을 보이다 점증하중에 따라 전주의 중앙부로 굴절의 양상이 전이되었다. 근가위치는 G.L(-) 0.5[m]인 상태에서 전주기초 깊이 1.3[m]를 추가로 근입시 최대 수평변위는 약 1.6배의 감소를 보여 전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근가의 수는 근가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변위에 유리하나 큰 차이는 아니며 근가를 다수 설치하고 굴착면적이 커져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근가를 1개만 설치하여도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